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헤겔 철학에서 “세계사”의 체계론적 규정 = Sytematic phase of “World History” in Hegel’s Philoso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309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헤겔의 역사철학은 객관정신론 전체의 종결부에 해당한다. “세계사”는 - “세계사”를 제외한 - 객관정신론 전체(법철학)와 서술 구조상 상이성을 갖는데, 논리적 전개와 시간적 전개를 종합함으로써 객관정신론의 최고 심급으로 자리매김한다. 시간을 매개로 한 인간의 역사적 행위를 통해 실현되는 이념의 전개상이 세계사이며 이에 대한 개념적 파악이 “세계사의 철학”이다. 즉 세계정신은 객관정신이지만 이를 세계정신으로 파악하는 앎의 형식은 절대정신이며, “세계정신”이 곧 절대정신은 아니지만 후자는 “세계사”를 통해 자신을 실현한다. “절대적 정신”은 정신철학 전체의 논리적 전개와 “세계사”의 역사적 전개를 거듭 통합함으로써 진정한 정신의 역사를 보여준다. 이때 “세계사”는 단지 객관정신론의 종결부일 뿐만 아니라 절대정신으로의 이행부로서 고유한 체계론적 위상을 갖는다.
      번역하기

      헤겔의 역사철학은 객관정신론 전체의 종결부에 해당한다. “세계사”는 - “세계사”를 제외한 - 객관정신론 전체(법철학)와 서술 구조상 상이성을 갖는데, 논리적 전개와 시간적 전개를 ...

      헤겔의 역사철학은 객관정신론 전체의 종결부에 해당한다. “세계사”는 - “세계사”를 제외한 - 객관정신론 전체(법철학)와 서술 구조상 상이성을 갖는데, 논리적 전개와 시간적 전개를 종합함으로써 객관정신론의 최고 심급으로 자리매김한다. 시간을 매개로 한 인간의 역사적 행위를 통해 실현되는 이념의 전개상이 세계사이며 이에 대한 개념적 파악이 “세계사의 철학”이다. 즉 세계정신은 객관정신이지만 이를 세계정신으로 파악하는 앎의 형식은 절대정신이며, “세계정신”이 곧 절대정신은 아니지만 후자는 “세계사”를 통해 자신을 실현한다. “절대적 정신”은 정신철학 전체의 논리적 전개와 “세계사”의 역사적 전개를 거듭 통합함으로써 진정한 정신의 역사를 보여준다. 이때 “세계사”는 단지 객관정신론의 종결부일 뿐만 아니라 절대정신으로의 이행부로서 고유한 체계론적 위상을 갖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egel’s philosophy of history places on the last part of the whole theory of ‘Objective Spirit’. “World History” and the whole ‘Philosophy of Right’ - exclusive of “World History” - has heterogeneous descriptive structures; the former establishes itself as the supreme instance of the theory of ‘Objective Spirit’ by encompassing the logical development and the temporal development. The contents of “World History” is the development of the ‘idea(Idee)’ which is realized through the hum an historical actions in the aspect of time; and the conceptual grasp for “World History” is “Philosophy of World History”. That is to say, “World Spirit” ist ‘Objective Spirit’, but it is ‘Absolute Spirit’ that is the form of know ledge to understand it as “World Spirit” “World Spirit” is soon not ‘Absolute Spirit’, but the latter realizes itself through “World History”. ‘Absolute Spirit’ show s the true history of spirit by again integrating the logical development of the w hole philosophy of spirit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World History”. Consequently “World History” has its own systematic phase not only as the last part of theory of ‘Objective Spirit’, but also as of the period of transition into ‘Absolute Spirit’.
      번역하기

      Hegel’s philosophy of history places on the last part of the whole theory of ‘Objective Spirit’. “World History” and the whole ‘Philosophy of Right’ - exclusive of “World History” - has heterogeneous descriptive structures; the forme...

      Hegel’s philosophy of history places on the last part of the whole theory of ‘Objective Spirit’. “World History” and the whole ‘Philosophy of Right’ - exclusive of “World History” - has heterogeneous descriptive structures; the former establishes itself as the supreme instance of the theory of ‘Objective Spirit’ by encompassing the logical development and the temporal development. The contents of “World History” is the development of the ‘idea(Idee)’ which is realized through the hum an historical actions in the aspect of time; and the conceptual grasp for “World History” is “Philosophy of World History”. That is to say, “World Spirit” ist ‘Objective Spirit’, but it is ‘Absolute Spirit’ that is the form of know ledge to understand it as “World Spirit” “World Spirit” is soon not ‘Absolute Spirit’, but the latter realizes itself through “World History”. ‘Absolute Spirit’ show s the true history of spirit by again integrating the logical development of the w hole philosophy of spirit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World History”. Consequently “World History” has its own systematic phase not only as the last part of theory of ‘Objective Spirit’, but also as of the period of transition into ‘Absolute Spir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Ⅰ. 서론
      • Ⅱ. 논리와 역사
      • Ⅲ. 객관정신론의 최고 심급으로서의 “세계사”
      • Ⅳ. 세계사와 절대정신
      • [논문개요]
      • Ⅰ. 서론
      • Ⅱ. 논리와 역사
      • Ⅲ. 객관정신론의 최고 심급으로서의 “세계사”
      • Ⅳ. 세계사와 절대정신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ösle, V., "헤겔의 체계1" 한길사 2007

      2 유헌식, "헤겔의 역사철학에 나타난 세계사적 민족의 출현구조-역사 진행의 연속과 불연속의 양면성" 한국철학회 (63) : 2000

      3 Ritter, J, "헤겔과 프랑스혁명" 한울 1983

      4 김윤상, "헤겔 철학의 방법론적 근간으로서의 발생론적 범주론" 한국헤겔학회 (15) : 117-145, 2004

      5 남기호, "헤겔 철학에서의 이성의 교지(巧智) 개념"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 (20): 49-91, 2009

      6 은우근, "헤겔 철학에서 ‘이성과 자유’에 관한 소고" 광주대학교 민족문화예술연구소 (3) : 1994

      7 조극훈, "헤겔 역사철학에 나타난 자유와 필연의 변증법" 중앙철학연구소 27 : 29-56, 2010

      8 윤병태, "민족정신의 세 기둥으로서 종교와 예술과 학문" 한국헤겔학회 (34) : 101-131, 2013

      9 Angehrn, E., "Zeitschrift für Philosophische Forschung 35" Meisenheim am Glan 1981

      10 Schiller, F, "Sämtliche Werke(Auf der Grundlage der Textedition von H. G. Göpfert)" 2004

      1 Hösle, V., "헤겔의 체계1" 한길사 2007

      2 유헌식, "헤겔의 역사철학에 나타난 세계사적 민족의 출현구조-역사 진행의 연속과 불연속의 양면성" 한국철학회 (63) : 2000

      3 Ritter, J, "헤겔과 프랑스혁명" 한울 1983

      4 김윤상, "헤겔 철학의 방법론적 근간으로서의 발생론적 범주론" 한국헤겔학회 (15) : 117-145, 2004

      5 남기호, "헤겔 철학에서의 이성의 교지(巧智) 개념"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 (20): 49-91, 2009

      6 은우근, "헤겔 철학에서 ‘이성과 자유’에 관한 소고" 광주대학교 민족문화예술연구소 (3) : 1994

      7 조극훈, "헤겔 역사철학에 나타난 자유와 필연의 변증법" 중앙철학연구소 27 : 29-56, 2010

      8 윤병태, "민족정신의 세 기둥으로서 종교와 예술과 학문" 한국헤겔학회 (34) : 101-131, 2013

      9 Angehrn, E., "Zeitschrift für Philosophische Forschung 35" Meisenheim am Glan 1981

      10 Schiller, F, "Sämtliche Werke(Auf der Grundlage der Textedition von H. G. Göpfert)" 2004

      11 Luserke-Jaqui, M, "Schiller-Hadbuch. Leben-Werk-Wirkung" 2005

      12 Schilbach, E, "Philosophie des Rechts. Nachschrift der Vorlesung von 1822/23 von Karl Wilhelm Ludwig Heyse"

      13 Pöggeler, O, "Hegels Kritik der Romantik" 1999

      14 Vos, L. de, "Hegel-Studien, Bd. 16" 1981

      15 Cobben, P., "Hegel-Lexikon" 2006

      16 Amengual, G., "Hegel-Jahrbuch 2001" Beyer 2001

      17 Jaeschke, W., "Hegel-Handbuch. Leben-Werk-Wirkung" 2003

      18 Hegel, G. W. F., "Gesammelte Werke, Bd. 13" [철학대계 초판] 1817

      19 Ilting, K.-H, "G. W. F. Hegel. Vorlesungen über Rechtsphilosophie 1818-1831, Bd. 1" 1 1973

      20 Hegel, G. W. F., "Enzyklopädie der philosophischen Wissenschaften im Grundrisse III" 1969

      21 Jüngel, E., "Die Weltgeschichte - das Weltgericht?" 2001

      22 Ottmann, H, "Die Weltgeschichte" 1997

      23 Siep, L, "Das Endliche und das Unendliche in Hegels Denken: Hegel-Kongress in Padua und Montegrotto Terme 2001" 2003

      24 Hegel, G. W. F., "Bd. 8: Enzyklopädie der philosophischen Wissenschaften im Grundrisse I" 1969

      25 Hegel, G. W. F, "Bd. 7: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oder Naturrecht und Staatswissenschaft im Grundrisse" 1969

      26 Hegel, G. W. F, "Bd. 6: Wissenschaft der logik II" 1969

      27 Hegel, G. W. F, "Bd. 5: Wissenschaft der logik I" 1969

      28 Hegel, G. W. F., "Bd. 14: Vorlesungen über die Ästhetik II" 1832

      29 Hegel, G. W. F., "Bd. 13: Vorlesungen über die Ästhetik I" 1969

      30 Hegel, G. W. F., "Bd. 12: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Geschichte" 196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ocial Philosoph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6 학술지등록 한글명 : 사회와 철학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83 1.65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