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선시대 끊임없이 문제가 되어왔던 북방 국경문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조사의 일환으로 다음과 같은 배경에서 출발하였다. 첫째, 한중관계사의 새로운 역사상을 정립할 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시대 끊임없이 문제가 되어왔던 북방 국경문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조사의 일환으로 다음과 같은 배경에서 출발하였다. 첫째, 한중관계사의 새로운 역사상을 정립할 필...
본 연구는 조선시대 끊임없이 문제가 되어왔던 북방 국경문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조사의 일환으로 다음과 같은 배경에서 출발하였다.
첫째, 한중관계사의 새로운 역사상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동아시아의 국제관계는 각국의 문화적인 공통성을 기반으로 밀접한 관계에 역점을 두어 통합성이 강조되는 한편에서 일본에 의한 역사 왜곡은 계속되고 있고, 또 최근에는 고구려사를 둘러싼 역사 문제들이 중국, 한국의 관계에서 심각한 수준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주목되고 있는 중국 동북 공정문제와 관련하여, 한국에서 중국사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은 어떻게 이 문제를 보아야 하는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연구의 기초를 이룰 수 있는 자료의 수집과 정확한 분석을 통해 보다 객관적인 역사적 사실을 규명하는 작업을 위해 청대 조선과의 국경문제와 관련하여 청 정부 측에 기록으로 남겨진 사료의 특징과 자료의 분포상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는 자료의 수집을 통해 한국사 기초연구에 기여할 뿐 만 아니라, 한중관계사를 새롭게 재정립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둘째, 중국사와 한국사의 공동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한국에서 對중국관계를 올바로 파악하기 위해서 한국사 자료뿐만 아니라 중국 자료와 한국 자료를 동시에 비교 분석하고, 중국인들의 논리에 대응하며, 청의 對조선관계를 살피는 연구에 절실한 것이다. 이처럼 양국의 사료를 함께 조명하는 상호인식에 대한 고찰은 조선의 입장에서만 진행된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작업을 위해 청조의 자료 수집 및 정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상호인식의 흐름과 모습을 균형 있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그간 홀시되어 왔던 역사학의 분야에서 한국사와 중국사는 진정한 학제간의 교류와 연구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국문 초록 (Abstract)
Ⅰ. 연구내용(총괄)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및 범위, 연구내용 Ⅱ. 연구내용 1. 당초 연구계획(목적, 방법, 내용) 2.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내용 및 결...
Ⅰ. 연구내용(총괄)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및 범위, 연구내용
Ⅱ. 연구내용
1. 당초 연구계획(목적, 방법, 내용)
2.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내용 및 결과(목적, 방법, 내용, 결과)
Ⅲ. 차년도 연구계획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내용
3. 학문·사회발전에 기여 및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4. 참고문헌
Ⅳ. 연구비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