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국가의 존립과 공공의 안녕질서에 대한 심각한 위험에 직면했을 때 헌법적으로 문제시 되는 국가긴급권에 대해 역사적 발전과정과 비교법적인 고찰, 그리고 우리나라의 규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의 존립과 공공의 안녕질서에 대한 심각한 위험에 직면했을 때 헌법적으로 문제시 되는 국가긴급권에 대해 역사적 발전과정과 비교법적인 고찰, 그리고 우리나라의 규정...
본 연구에서는 국가의 존립과 공공의 안녕질서에 대한 심각한 위험에 직면했을 때 헌법적으로 문제시 되는 국가긴급권에 대해 역사적 발전과정과 비교법적인 고찰, 그리고 우리나라의 규정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가긴급권제도를 헌법에 실정화함으로써 비상시에 있어서 합법적인 독재적 권력을 인정하는 대신 그의 발동요건, 기간 및 한계 등을 규정함으로써 무제약적인 국가긴급권의 남용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현행 헌법상의 대통령의 긴급재정경제처분, 명령권과 긴급명령권은 제4, 5공화국헌법상의 비상조치권에 비해 현격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이는 제정헌법과 제3공화국헌법상의 규정을 부활시키는 축소, 제한된 긴급권이라 볼 수 있다. 국가긴급권은 국가비상사태가 발생한 상황에서, 통상적 수단으로는 극복할 수 없는 예외적인 경우에 한해, 국가존립을 보전하거나 국가안전을 신속히 회복시킬 목적으로, 헌법에 규정된 긴급권 발동권자가 필요한 최소한도 내에서 발동해야 한다. 이처럼 국가긴급권에 관한 헌법규정은 엄격하게 해석해야 하며, 함부로 그 해석을 넓히거나 예외를 인정하는 것은 헌법이 국가긴급권을 인정한 취지에 반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한상, "현행 헌법상 국가긴급권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한국헌법학회 13 (13): 473-507, 2007
2 김철수, "헌법학개론" 법문사 2013
3 계희열, "헌법학(상)" 박영사 2005
4 성낙인, "헌법보장과 대통령의 국가긴급권" 41 (41): 150-164, 1996
5 한태연, "헌법과 정치체제" 법문사 1987
6 류지태, "행정법에서의 위험관리 - 사법심사의 기준을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32 (32): 457-491, 2004
7 김영수, "한국헌법사" 홍문사 2000
8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3
9 李桂洙, "한국의 군사법과 치안법― 군사와 치안의 착종(錯綜)과 민군관계의 전도(顚倒) ―" 한국공법학회 31 (31): 12-12, 2003
10 성낙인, "프랑스 제5공화국헌법과 유신헌법상 대통령의 국가긴급권에 관한 비교 연구" 28 (28): 151-171, 2006
1 조한상, "현행 헌법상 국가긴급권의 개선방향에 관한 고찰" 한국헌법학회 13 (13): 473-507, 2007
2 김철수, "헌법학개론" 법문사 2013
3 계희열, "헌법학(상)" 박영사 2005
4 성낙인, "헌법보장과 대통령의 국가긴급권" 41 (41): 150-164, 1996
5 한태연, "헌법과 정치체제" 법문사 1987
6 류지태, "행정법에서의 위험관리 - 사법심사의 기준을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32 (32): 457-491, 2004
7 김영수, "한국헌법사" 홍문사 2000
8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3
9 李桂洙, "한국의 군사법과 치안법― 군사와 치안의 착종(錯綜)과 민군관계의 전도(顚倒) ―" 한국공법학회 31 (31): 12-12, 2003
10 성낙인, "프랑스 제5공화국헌법과 유신헌법상 대통령의 국가긴급권에 관한 비교 연구" 28 (28): 151-171, 2006
11 이재은, "포괄적 안보 개념 하에서의 국가 위기관리 법제화의 의의와 내용 분석"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 (2): 19-35, 2006
12 김문현, "초헌법적 국가긴급권과 저항권" 507 : 5-23, 1995
13 김철수, "입법자료교재 헌법" 박영사 1985
14 강승식, "외교·국방영역에서의 행정부의 권한" 한국헌법학회 12 (12): 215-242, 2006
15 김명재, "독일 헌법상 보호청구권" 전남대학교 법률행정연구소 1999
16 이승우, "기본권보호의무와 공권이론" 234 : 71-88, 1993
17 오준수, "국방법령상의 용어의 정의"
18 문현철, "국가인명구조행정작용에 대한 방재행정법학적 검토" 2002
19 이승우,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 1994
20 이강혁, "국가긴급권제도" 394 : 54-66, 1989
21 김상겸, "계엄법에 관한 연구" 한국헌법학회 11 (11): 323-356, 2005
22 박종보, "계엄법 개정방안 연구" 합동참모본부 2005
23 김남진, "경찰상의 위험과 위험의 혐의 등" 28 (28): 87-96, 2001
24 정하중, "경찰법상 책임" 25 (25): 109-142, 1997
25 남승길, "경찰관직무집행법" 25 (25): 89-108, 1997
26 李起椿, "警察秩序法上 危險槪念 및 表見危險과 危險의 疑心― 독일경찰법학의 위험개념 검토를 중심으로 ―" 한국공법학회 31 (31): 16-16, 2003
27 헌법재판소, "1994. 6. 30. 선고. 92헌가18결정"
토석류 모델에서 하상경사, 내부마찰각이 유사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Political Trust and National Pride on National Security Control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2-09-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 2015-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외국어명 :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Crisisonomy |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0.84 | 0.84 | 0.85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0.85 | 0.86 | 1.09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