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연구 내용: 본 연구의 결과는 2편의 논문으로 발표될 예정이며 연차별 연구 과제명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차년도 연구 과제명: 근대 자연 철학의 모험 I - 데카르트와 홉스의 운동학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9404
200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I. 연구 내용: 본 연구의 결과는 2편의 논문으로 발표될 예정이며 연차별 연구 과제명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차년도 연구 과제명: 근대 자연 철학의 모험 I - 데카르트와 홉스의 운동학적 ...
I. 연구 내용: 본 연구의 결과는 2편의 논문으로 발표될 예정이며 연차별 연구 과제명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차년도 연구 과제명: 근대 자연 철학의 모험 I - 데카르트와 홉스의 운동학적 기계론. <목차> 1. 자연 마술에서 자연 철학으로 2. 데카르트와 홉스의 운동학적 기계론 2-1. 환원주의 방법론 2-2. 수동적 물체론 2-3. 신비한 성질의 제거 3. 인간론으로의 확장 4. 운동학적 기계론에서 동력학적 기계론으로. * 2차년도 연구 과제명: 근대 자연 철학의 모험 II - 뉴턴과 라이프니츠의 동력학적 기계론. 1. 마술 전통의 부활 (1) 데카르트와 홉스의 운동학적 기계론은 철학에서 마술 전통을 완전히 몰아내는 데 성공했을까? 그렇지 않다. 단순화의 위험을 무릅쓰면 근대 과학사의 진보는 문화사의 퇴보였다.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독자적으로 힘 개념을 도입하여 동력학적 기계론을 확립하고 과학 혁명을 완성하는 데는 마술 전통의 부활이 필요했다. (2) 최근 과학사 연구에 따르면 뉴턴은 1660년대 후반부터 1690년대 말까지 지속적으로 연금술을 연구했다. 뉴턴은 데카르트가 자연에 접근하는 방법은 정신과 신체를 극단적으로 분리하고 자연의 작용에서 정신의 역할을 제거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뉴턴이 연금술을 연구함으로써 발견하려 한 진리는 생명의 원리였다. (3) 한편 최근 철학사 연구에 따르면 라이프니츠가 모나드 이론으로 완성되는 형이상학을 개발하는 데는 플로티노스의 신플라톤주의, 프란시스 판 헬몬트의 유심론, 크노르 폰 로젠로스의 카발라주의 등 신비주의(occultism)도 영향을 미쳤다. 물체가 궁극적으로 정신적 요소를 포함한다고 보는 라이프니츠의 실체론은 자연 철학에서 힘 개념을 중심으로 동력학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형이상학적 기초가 되었다. 2. 뉴턴과 라이프니츠의 동력학적 기계론. 2-1. 데카르트와 갈릴레오의 유산 (1) 뉴턴과 라이프니츠의 동력학은 어떤 뿌리를 가지고 있을까? 뉴턴과 라이프니츠는 비록 힘 개념과 미적분학의 발견 우선권을 둘러싸고 서로 날카롭게 대립하지만, 둘 다 데카르트의 자연 철학을 비판하는 동시에 갈릴레오의 역학에 진 빚을 인정한다. (2) 왜 데카르트는 비판의 표적이 될까? 뉴턴이 자연 철학자들에게 형이상학을 조심하라고 경계하면서 가장 염두에 둔 것은 데카르트가 도입한 소용돌이, 물질 입자로 꽉 찬 공간 등의 가설이다. 뉴턴이 데카르트의 형이상학적 가설웰옌綢피求?근본 이유는 힘 개념과 능동적 물체론을 중심으로 그의 형이상학을 재구성해야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라이프니츠의 동력학은 데카르트가 물체의 본성으로 본 연장을 가진 물체의 운동이 물질 실체의 내재적 본성인 힘에 기초한다는 형이상학을 바탕으로 삼는다. (3) 뉴턴과 라이프니츠의 동력학이 갈릴레오의 역학에 진 빚은 무엇일까? 데카르트는 갈릴레오가 자연 현상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기술하는 데만 관심을 기울이고 왜 일어나는지를 설명하지 않는다고 비판하지만 그의 대안은 자연 현상의 원인을 정성적으로 설명하는 가설들이다. 갈릴레오에 대한 데카르트의 불만을 해소하면서도 자연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을 정성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정량적으로 설명하려면 뉴턴과 라이프니츠가 도입한 힘 개념이 필요하다. 갈릴레오는 뉴턴과 라이프니츠에게 자연 현상을 정량화하는 전통과 함께 이 전통을 계승하여 힘 개념으로 가는 데 필요한 운동 이론을 물려준다. 2-2. 힘 개념. (1) 뉴턴과 라이프니츠의 동력학적 기계론을 구성하는 핵심 원리인 힘 개념은 어떤 것일까? [프린키피아]에서는 적어도 두 가지 힘을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그가 관성의 힘이라 부른 '물체의 고유한 힘'이고 또 하나는 구심력이라 부른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이다. 뉴턴은 이 두 가지 힘의 관계를 계속 탐구하면서 동력학적 기계론을 개척한다. (2) 한편 라이프니츠는 갈릴레오의 자유 낙하 법칙과 호이겐스의 충돌 법칙을 바탕으로 살아있는 힘(vis viva) 개념을 이끌어낸다. 라이프니츠가 살아있는 힘 개념을 유도하는 데는 데카르트의 운동량 개념에 대한 비판이 바탕을 이룬다. (3) 뉴턴과 라이프니츠의 힘 개념은 어떻게 비교할 수 있을까? 라이프니츠의 힘 개념은 물체의 내재적 본성으로 실체화된다는 점에서 뉴턴의 경험적 힘 개념과 다르다. 그러나 뉴턴은 중력을 단순히 수학적 구성물로만 보는 데 불만을 품고 지상 물체의 시공간 관계와 천체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실재적 힘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뉴턴과 라이프니츠의 힘 개념을 비교하려면 동력학의 배경을 이루는 물체의 형이상학을 재구성해야 한다. 2-3. 능동적 물체의 형이상학 (1) 뉴턴과 라이프니츠의 힘 개념은 어떤 형이상학적 배경을 가지고 있을까? 뉴턴과 라이프니츠는 운동하는 물질 입자에 관해 계속 논의하는 한 기계론자이지만 데카르트나 홉스와는 매우 다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