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학편(兒學編)』의 구성과 뜻풀이의 특징에 대하여 = A study on structure and definition in Ahakpy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275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다산(茶山)의 『아학편(兒學篇)』의 구성과 뜻풀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아학편』이 어떤 목록(目錄)으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우선 살피고, 한자(漢字)들의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고찰하고 각각의 한자에 이루어진 뜻풀이가 보이는 특징을 이전 시기의 초학서(初學書)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학편』에는 비록 목록은 제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산은 54개 정도에 해당하는 부문(部門)으로 나누고 이 부문별로 한자를 구성하고 이에 걸맞은 뜻풀이를 하고자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이전 초학서를 꼼꼼하게 분석하여 이전 초학서와는 달리 그 구성을 간략화하여 윤곽을 제시하는 데에 신경을 써서 필요한 한자만 고르고 이전 초학서에서 빠진 한자는 새로이 제시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한자들의 구성 방식은 병렬 관계, 유의 관계, 대립 관계에 의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구성 방식에 어울리게 한자의 뜻풀이를 하고자 한 특징이 보인다. 이 과정에서 이전 초학서의 뜻풀이를 많이 참고하고 그대로 가져다 쓰거나 일부 변형하여 쓰는 경우가 있었고, 어렵거나 생소한 말 대신에 쉽고 익숙한 말로써 뜻풀이를 하는 모습도 보였고, 새로 풀이한 예들도 상당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다른 한자의 뜻풀이에 쓰인 어휘와 품사가 일치하지 않는 것들이 있는데 이것이 당시 언어 현실을 고려하여 뜻풀이를 하는 과정에서 생긴 자연스러운 결과인지 다신이 품사의 일치까지는 충분히 고려하지 못해서 생긴 것인지는 좀 더 살펴봐야 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다산(茶山)의 『아학편(兒學篇)』의 구성과 뜻풀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아학편』이 어떤 목록(目錄)으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우선 살피고, 한자(漢字)들의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고...

      다산(茶山)의 『아학편(兒學篇)』의 구성과 뜻풀이를 이해하기 위하여 『아학편』이 어떤 목록(目錄)으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우선 살피고, 한자(漢字)들의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를 고찰하고 각각의 한자에 이루어진 뜻풀이가 보이는 특징을 이전 시기의 초학서(初學書)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학편』에는 비록 목록은 제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산은 54개 정도에 해당하는 부문(部門)으로 나누고 이 부문별로 한자를 구성하고 이에 걸맞은 뜻풀이를 하고자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이전 초학서를 꼼꼼하게 분석하여 이전 초학서와는 달리 그 구성을 간략화하여 윤곽을 제시하는 데에 신경을 써서 필요한 한자만 고르고 이전 초학서에서 빠진 한자는 새로이 제시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한자들의 구성 방식은 병렬 관계, 유의 관계, 대립 관계에 의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구성 방식에 어울리게 한자의 뜻풀이를 하고자 한 특징이 보인다. 이 과정에서 이전 초학서의 뜻풀이를 많이 참고하고 그대로 가져다 쓰거나 일부 변형하여 쓰는 경우가 있었고, 어렵거나 생소한 말 대신에 쉽고 익숙한 말로써 뜻풀이를 하는 모습도 보였고, 새로 풀이한 예들도 상당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다른 한자의 뜻풀이에 쓰인 어휘와 품사가 일치하지 않는 것들이 있는데 이것이 당시 언어 현실을 고려하여 뜻풀이를 하는 과정에서 생긴 자연스러운 결과인지 다신이 품사의 일치까지는 충분히 고려하지 못해서 생긴 것인지는 좀 더 살펴봐야 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structure and definition in Ahakpyeon written by Jeong Yak-yong. For this aim, I will consider list and definition of Ahakpyeon in a comparative manner with early Chinese character study materials published in before the early 19th century. After a review of the text, I could see the following. First, it has a list of the 54 degree is made up of the sector in Ahakpyeon. Second, each sector is composed according to Chinese characters and the definition of these sectors to be in harmony. Third, the configuration is more compact than previous early Chinese character study materials. Construction of Chinese character can be summarized as parallel relationship, similar relationship or opposite relationship.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fined to be a good match. In this process Jeong Yak-yong referred to the previous early Chinese character study materials`s definition and he just brought it used. And he defined as easy and familiar words rather than difficult or unfamiliar words. And he used newly defined words too. However,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written in a different part of speech does not match the words and things were.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structure and definition in Ahakpyeon written by Jeong Yak-yong. For this aim, I will consider list and definition of Ahakpyeon in a comparative manner with early Chinese character study materials published in b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structure and definition in Ahakpyeon written by Jeong Yak-yong. For this aim, I will consider list and definition of Ahakpyeon in a comparative manner with early Chinese character study materials published in before the early 19th century. After a review of the text, I could see the following. First, it has a list of the 54 degree is made up of the sector in Ahakpyeon. Second, each sector is composed according to Chinese characters and the definition of these sectors to be in harmony. Third, the configuration is more compact than previous early Chinese character study materials. Construction of Chinese character can be summarized as parallel relationship, similar relationship or opposite relationship.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fined to be a good match. In this process Jeong Yak-yong referred to the previous early Chinese character study materials`s definition and he just brought it used. And he defined as easy and familiar words rather than difficult or unfamiliar words. And he used newly defined words too. However,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written in a different part of speech does not match the words and things we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성우, "근대 이행기 동아시아의 언어 지식" 인하대학교 출판부 2010

      2 임지룡, "국어 분류어휘집의 체제와 상관성" 國語學會 19 : 395-425, 1989

      3 金希珍, "訓蒙字會의 語彙 敎育에 관한 考察-名詞 字訓의 類義關係 構造를 中心으로-" 韓國語文敎育硏究會 16 (16): 465-494, 1998

      4 金希珍, "訓蒙字會의 語彙 敎育에 관한 考察(Ⅲ)-同音異義關係와 反意關係 構造를 中心으로-" 韓國語文敎育硏究會 17 (17): 74-93, 1988

      5 李基文, "訓蒙字會硏究" 서울대 출판부 1971

      6 정재영, "茶山의 ≪兒學篇≫" 국어사학회 (창간) : 151-174, 2000

      7 정재영, "茶山 정약용의 兒學篇" 태학사 2000

      8 이준환, "池錫永 『兒學篇』의 표기 및 음운론적 특징" 대동문화연구원 (83) : 201-236, 2013

      9 김종택, "千字文, 類合, 訓蒙字會의 어휘분류 체계 대비" 한국어문학회 52 : 160-192, 1991

      10 박금자, "分類 解釋 학습서로서의 訓蒙字會-訓蒙字會의 의미론적 어휘 분류와 의미 해석-" 國語學會 26 : 317-340, 1995

      1 한성우, "근대 이행기 동아시아의 언어 지식" 인하대학교 출판부 2010

      2 임지룡, "국어 분류어휘집의 체제와 상관성" 國語學會 19 : 395-425, 1989

      3 金希珍, "訓蒙字會의 語彙 敎育에 관한 考察-名詞 字訓의 類義關係 構造를 中心으로-" 韓國語文敎育硏究會 16 (16): 465-494, 1998

      4 金希珍, "訓蒙字會의 語彙 敎育에 관한 考察(Ⅲ)-同音異義關係와 反意關係 構造를 中心으로-" 韓國語文敎育硏究會 17 (17): 74-93, 1988

      5 李基文, "訓蒙字會硏究" 서울대 출판부 1971

      6 정재영, "茶山의 ≪兒學篇≫" 국어사학회 (창간) : 151-174, 2000

      7 정재영, "茶山 정약용의 兒學篇" 태학사 2000

      8 이준환, "池錫永 『兒學篇』의 표기 및 음운론적 특징" 대동문화연구원 (83) : 201-236, 2013

      9 김종택, "千字文, 類合, 訓蒙字會의 어휘분류 체계 대비" 한국어문학회 52 : 160-192, 1991

      10 박금자, "分類 解釋 학습서로서의 訓蒙字會-訓蒙字會의 의미론적 어휘 분류와 의미 해석-" 國語學會 26 : 317-340,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2 1.76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