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현경, "충남 오서산과 봉수산의 식물상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6 (16): 63-81, 2013
2 신학섭, "충남 오서산 산림식생의 종 조성 및 군집 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7 (17): 35-51, 2014
3 신학섭, "충남 가야산 산림식생의 종조성 및 군집특성"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8 (48): 25-35, 2014
4 전철현, "제주시험림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특성 - 한남시험림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섬)학회 28 (28): 221-238, 2016
5 이정윤, "전라남도 가거도 식생 분포 현황" 한국도서(섬)학회 27 (27): 195-210, 2015
6 김세미, "일본잎갈나무조림지의 생태적 변화와 그 결과를 통해 확인된 복원 효과" 한국하천호수학회 46 (46): 241-250, 2013
7 이하영, "응복산 사면 일대 산림식생의 종 조성 및 군집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9 (29): 791-802, 2015
8 김준수, "유인도서와 무인도서 산림식생의 종조성 및 군락 구조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 30 (30): 771-782, 2016
9 이정윤, "월악산국립공원 영봉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하천호수학회 48 (48): 51-60, 2015
10 송호경, "울릉도 삼림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한국환경생태학회 21 (21): 82-92, 2007
1 오현경, "충남 오서산과 봉수산의 식물상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6 (16): 63-81, 2013
2 신학섭, "충남 오서산 산림식생의 종 조성 및 군집 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7 (17): 35-51, 2014
3 신학섭, "충남 가야산 산림식생의 종조성 및 군집특성" 농업생명과학연구원 48 (48): 25-35, 2014
4 전철현, "제주시험림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특성 - 한남시험림을 중심으로 -" 한국도서(섬)학회 28 (28): 221-238, 2016
5 이정윤, "전라남도 가거도 식생 분포 현황" 한국도서(섬)학회 27 (27): 195-210, 2015
6 김세미, "일본잎갈나무조림지의 생태적 변화와 그 결과를 통해 확인된 복원 효과" 한국하천호수학회 46 (46): 241-250, 2013
7 이하영, "응복산 사면 일대 산림식생의 종 조성 및 군집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9 (29): 791-802, 2015
8 김준수, "유인도서와 무인도서 산림식생의 종조성 및 군락 구조 비교" 한국환경생태학회 30 (30): 771-782, 2016
9 이정윤, "월악산국립공원 영봉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하천호수학회 48 (48): 51-60, 2015
10 송호경, "울릉도 삼림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 한국환경생태학회 21 (21): 82-92, 2007
11 윤충원, "우리나라의 산림식생에 대한 군락형 분류" 한국산림과학회 100 (100): 504-521, 2011
12 변성엽, "봉화군 장군봉 일대 천연림과 인공조림지내 현존식생의 임분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30 (30): 1032-1046, 2016
13 김혜진, "문수산․옥석산 일대의 산림식생유형 분류와 종간연관 분석" 한국산림과학회 98 (98): 379-391, 2009
14 한상학, "덕유산 향적봉 및 중봉 아고산대의 산림식생유형분류와 임분 특성" 한국산림과학회 105 (105): 48-62, 2016
15 정흥락, "대구 인접 지역 삼림 식생의 진행 천이와 잠재 자연 식생" 한국생태학회 29 (29): 175-183, 2006
16 배기욱, "내장산국립공원 금선계곡과 원적계곡의 현존식생 및 식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26 (26): 412-425, 2012
17 고승연, "계방산 가문비나무 및 전나무 임분의 산림식생유형분류와 정량적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28 (28): 182-196, 2014
18 신학섭, "강화도 마니산 산림식생의 군집구조 특성" 한국농림기상학회 16 (16): 11-21, 2014
19 Hwang, S.M., "Vegetation structure of Secheon valley area and forest vegetation types in Mt. Sikjang" 25 (25): 249-259, 2007
20 Toyohara, G., "The vegetation and its mapping of the Hiba mountains, Southwestern Honshu, Japan" 8 (8): 151-164, 1977
21 Agnew, A.D.Q., "The ecology of Juncus effusus L. in North Wales" 49 (49): 83-102, 1961
22 Becking, R. W, "The Zürich-Montpellier School of phytosociogy" 23 (23): 411-488, 1957
23 Sun, B.Y., "The Whole Country of the Natural Ecosystem an Investigation : Degree of Green Naturality of Cungnam" Ministry of Environment 1991
24 Korea Forest Service., "The Study on a Conservation Plan and Status Survey in the Geumbuk-Jeongmaek" Korea Forest Service 467-, 2011
25 Barbour, M. G., "Terrestrial Pant Ecology" The Benjamin Cummings Publishing Company 604-, 1980
26 Hill, M. O, "TWINSPAN-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Cornell University, Press 50-, 1979
27 Chung, Y.H., "Studies on the range with degree of green naturality of Chungnam" 6 : 5-180, 1984
28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Restructuring Mountain Systems in Korean Peninsula :Focusing on Mountain Range Analysi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29-, 2004
29 Han, B.H.,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Donghaksa valley in Kyeryongsan national park" 14 (14): 238-251, 2001
30 Kim, I.T.,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vegetation in Mt. Geum" 3 (3): 122-126, 2003
31 Braun-Blaunquet, J., "Pflanzensoziologie Grundzü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Springer-Verlag 865-, 1964
32 McCune, B.,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237-, 2006
33 Kim, J. M., "Methods of Vegetation Survey" Ilsinsa 170-, 1987
34 "Korean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35 Korea Forest Service, "Korea plant names index committee"
36 Korea Forest Service,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3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38 Park, I.H.,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and a ridge forest at Mt. Gaya area" 3 (3): 52-50, 1989
39 Lee, K. J., "Forest Ecology" Hyangmunsa 335-, 1996
40 Son, Y. H., "Forest Ecology" Hyangmunsa 346-, 2016
41 Ko, S.C., "Flora of Ohseosan(Chungnam of Yesan and Hongseong) : The Whole Country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 Investig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1999
42 Brower, J.E.,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ublishers 596-, 1977
43 Yun, C. W., "Field Guide to Trees and Shrubs." Geobook 703-, 2016
44 Krebs, C. J, "Ecology" Haber & Row, Publishing company 3-14, 1985
45 Lee, T. B.,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999-, 2003
46 Hong, S. C., "Colored Illustrations of Trees and Shrubs in Korea" Gyemyengsa 310-, 1987
47 Whittaker. R. H, "Classification of natural communities" 28 : 1-239, 1962
48 Kim, J. W.,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 Science 240-, 2006
49 Ellenberg, H., "Aufgaben a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Ulmer 136-, 1956
50 Lee, K.J.,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of Daewon valley in Mt. Chiri by the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5 (5): 54-67, 1991
51 Müller-Dombois, D.,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Wiley 547-, 1974
52 Kwak, J. I., "A Study on Vegetation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Ecological Succession Trends of Seoul Urban Forest" Seoulsirip University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