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차량용 텔레매틱스 콘텐츠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utomobile Telematics Cont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915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ust a few years ago, an automobile has been used as a means of transfer which makes physical space be enlarged. But owing to the advance of IT and Internet, an automobile history has newly been changed as an idea that expanding a virtual space in the big flow of ubiquitous. Till now, It is at an early stage and is focused on contents for convenience and entertainment. But from now on, the contents which are provided by telematics will become so affluent not to imagine.As an advent of Internet has brought many changes in our lifestyles, a new type of telematics is expected to bring many changes in an auto lifestyle. Telematics contents, which are now available, are provided to drivers undiscriminatingly. Sometimes these pose a threat to drivers' safety.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on in what kind of type these telematics contents should be provided to driver or passenger and in what direction these contents will develop. As a result, the study showed that safety and convenience-centered contents should be provided to drivers and entertainment-oriented contents should be provided to passengers. Also showed that contents should be provided differently by the type of driver and passenger.From the development type to the present, telematics contents have been developed with information science and will continue to develop with information science in the future.
      번역하기

      Just a few years ago, an automobile has been used as a means of transfer which makes physical space be enlarged. But owing to the advance of IT and Internet, an automobile history has newly been changed as an idea that expanding a virtual space in the...

      Just a few years ago, an automobile has been used as a means of transfer which makes physical space be enlarged. But owing to the advance of IT and Internet, an automobile history has newly been changed as an idea that expanding a virtual space in the big flow of ubiquitous. Till now, It is at an early stage and is focused on contents for convenience and entertainment. But from now on, the contents which are provided by telematics will become so affluent not to imagine.As an advent of Internet has brought many changes in our lifestyles, a new type of telematics is expected to bring many changes in an auto lifestyle. Telematics contents, which are now available, are provided to drivers undiscriminatingly. Sometimes these pose a threat to drivers' safety.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on in what kind of type these telematics contents should be provided to driver or passenger and in what direction these contents will develop. As a result, the study showed that safety and convenience-centered contents should be provided to drivers and entertainment-oriented contents should be provided to passengers. Also showed that contents should be provided differently by the type of driver and passenger.From the development type to the present, telematics contents have been developed with information science and will continue to develop with information science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자동차는 물리적 공간을 확장해주는 이동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IT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유비쿼터스라는 큰 흐름 속에 가상공간을 확장해주는 개념으로 자동차의 역사를 새롭게 변화시키고 있다. 아직까지는 태동 단계의 편의성 위주와 약간의 엔터테인먼트성의 콘텐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만 향후 텔레매틱스를 통해 제공되어지는 콘텐츠는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풍부해지리라 본다.인터넷의 등장이 우리 라이프스타일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듯이 새로운 형태의 텔레매틱스의 등장으로 인해 자동차 생활 또한 크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현재 제공되어지고 있는 텔레매틱스 콘텐츠는 운전자에게 구분없이 콘텐츠를 제공하여 때로는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텔레매틱스 콘텐츠가 운전자와 동승자에 따라서 어떤 형태로 제공이 되어야 하며 앞으로는 콘텐츠가 어떤 방향으로 발전할 것인지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연구결과 운전자에게는 안전과 편의성 위주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동승자에게는 엔터테인먼트성 위주의 콘텐츠를 제공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동승자와 운전자의 형태에 따라서 콘텐츠를 다르게 제공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현재까지의 발전형태를 보더라도 텔레매틱스 콘텐츠는 정보과학과 함께 발전하였으며 미래에도 정보과학과 더불어 계속 발전해 갈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자동차는 물리적 공간을 확장해주는 이동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IT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유비쿼터스라는 큰 흐름 속에 가상공간을 확장해주는 개념으...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자동차는 물리적 공간을 확장해주는 이동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IT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유비쿼터스라는 큰 흐름 속에 가상공간을 확장해주는 개념으로 자동차의 역사를 새롭게 변화시키고 있다. 아직까지는 태동 단계의 편의성 위주와 약간의 엔터테인먼트성의 콘텐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지만 향후 텔레매틱스를 통해 제공되어지는 콘텐츠는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풍부해지리라 본다.인터넷의 등장이 우리 라이프스타일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듯이 새로운 형태의 텔레매틱스의 등장으로 인해 자동차 생활 또한 크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현재 제공되어지고 있는 텔레매틱스 콘텐츠는 운전자에게 구분없이 콘텐츠를 제공하여 때로는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텔레매틱스 콘텐츠가 운전자와 동승자에 따라서 어떤 형태로 제공이 되어야 하며 앞으로는 콘텐츠가 어떤 방향으로 발전할 것인지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연구결과 운전자에게는 안전과 편의성 위주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동승자에게는 엔터테인먼트성 위주의 콘텐츠를 제공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동승자와 운전자의 형태에 따라서 콘텐츠를 다르게 제공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현재까지의 발전형태를 보더라도 텔레매틱스 콘텐츠는 정보과학과 함께 발전하였으며 미래에도 정보과학과 더불어 계속 발전해 갈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석, "훤히 보이는 WiBro" ETRI 2005.6

      2 남찬기, "한국 텔레매틱스 시장에서의 소비자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비즈니스학회 2002

      3 이현호, "텔레매틱스의 개요 및 정책 추진 방향" 전파지 2005

      4 임은모, "텔레매틱스가 자동차 문화를 바꾼다" 진한도서 2002

      5 배효수, "텔레매틱스 현황" 21 (21): 2004.5

      6 권수갑, "텔레매틱스 산업동향" 전자정보센터 2006.6

      7 문영백, "텔레매틱스 단말 기술 및 시장 동향" 20 (20): 2005.6

      8 송준화, "텔레매틱스 개론" 홍릉과학출판사 2004

      9 배성수, "차세대 네트워크와 IT830 응용기술" 세화출판사 2006

      10 라이터스, "자동차와 이동통신의 만남 텔레매틱스" 텔레매틱스 2005.5

      1 김용석, "훤히 보이는 WiBro" ETRI 2005.6

      2 남찬기, "한국 텔레매틱스 시장에서의 소비자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비즈니스학회 2002

      3 이현호, "텔레매틱스의 개요 및 정책 추진 방향" 전파지 2005

      4 임은모, "텔레매틱스가 자동차 문화를 바꾼다" 진한도서 2002

      5 배효수, "텔레매틱스 현황" 21 (21): 2004.5

      6 권수갑, "텔레매틱스 산업동향" 전자정보센터 2006.6

      7 문영백, "텔레매틱스 단말 기술 및 시장 동향" 20 (20): 2005.6

      8 송준화, "텔레매틱스 개론" 홍릉과학출판사 2004

      9 배성수, "차세대 네트워크와 IT830 응용기술" 세화출판사 2006

      10 라이터스, "자동차와 이동통신의 만남 텔레매틱스" 텔레매틱스 2005.5

      11 장성환,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컨텐츠 제작에 관한 연구" 6 (6): 2005

      12 김성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마케팅 활용을 위한 디지털컨텐츠 수용자 유형별 특성연구" 2004.12

      13 정완영,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위한 센서 인터페이스" 성안당 2005

      14 김재윤, "유비쿼터스 컴퓨팅" 삼성경제연구소 보고서 2003

      15 최진열, "본격적인 시장형성이 기대되는 텔레매틱스 산업" 사내한 2004.6

      16 송진석, "무선인터넷에 관한 고찰" 2005

      17 송민정, "디지털미디어와 콘텐츠의 이해" 진한도서 2003

      18 송해룡,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 그리고 콘텐츠" 다락방 2003

      19 임명환, "국내 텔레매틱스 서비스 및 사업동향 분석" 19 (19): 2004.12

      20 이기준, "공학기술 복합시대" 생각의 나무 2003

      21 SKT, "http www sktelecom com"

      22 OnStar, "http www onstar com"

      23 MOZEN, "http www mozen com"

      24 G-book, "http G book com"

      25 문형돈, "IT신성장동력 Brief" 텔레매틱스 2005.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