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개인맞춤약물 실용화 경제성 평가에 관한 기획 연구 = Economic evaluation for a proposed national strategy of integration of personalized pharmacotherapy into clinical practice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613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Ⅰ. Objectives of the study
      1. Need for the study
      ○ An increasing number of approved drugs include pharmacogenomic information on their labels and list biomarkers that allow the prediction of dosing, thereby preventing underdosing and the consequent lack of efficacy or preventing overdosing and reducing the risks of ADRs.
      ○ Pharmacogenomic test kits optimized for Korean population have been developed and
      scientific evidences for clinical validation allowing the prediction of drug response are accumulated.
      ○ KFDA would like to develop the nation-wide framework for implementing personalized pharmacotherapy into clinical prectice and public health ○ To this end, KFDA seeks for a developmental proposal of the personalized pharmacotherapy framework in Korea and its economic assessment.
      2. Purposes of the study
      Developing strategies for implementing personalized pharmacotherapy into the established healthcare system in Korea with economic considerations
      ○ Economic evaluation for a proposed national strategy of integration of personalized
      pharmacotherapy into clinical practice in Korea
      ○ Developing strategies for implementing personalized pharmacotherapy into the established healthcare system in Korea
      Ⅱ. Methods of the study
      1. Economic evaluation for a proposed national strategy of integration of personalized pharmacotherapy into clinical practice in Korea
      ...중략 [원문참고]
      번역하기

      Ⅰ. Objectives of the study 1. Need for the study ○ An increasing number of approved drugs include pharmacogenomic information on their labels and list biomarkers that allow the prediction of dosing, thereby preventing underdosing and the consequen...

      Ⅰ. Objectives of the study
      1. Need for the study
      ○ An increasing number of approved drugs include pharmacogenomic information on their labels and list biomarkers that allow the prediction of dosing, thereby preventing underdosing and the consequent lack of efficacy or preventing overdosing and reducing the risks of ADRs.
      ○ Pharmacogenomic test kits optimized for Korean population have been developed and
      scientific evidences for clinical validation allowing the prediction of drug response are accumulated.
      ○ KFDA would like to develop the nation-wide framework for implementing personalized pharmacotherapy into clinical prectice and public health ○ To this end, KFDA seeks for a developmental proposal of the personalized pharmacotherapy framework in Korea and its economic assessment.
      2. Purposes of the study
      Developing strategies for implementing personalized pharmacotherapy into the established healthcare system in Korea with economic considerations
      ○ Economic evaluation for a proposed national strategy of integration of personalized
      pharmacotherapy into clinical practice in Korea
      ○ Developing strategies for implementing personalized pharmacotherapy into the established healthcare system in Korea
      Ⅱ. Methods of the study
      1. Economic evaluation for a proposed national strategy of integration of personalized pharmacotherapy into clinical practice in Korea
      ...중략 [원문참고]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Ⅰ. 연구개발과제의 목적 및 필요성
      1. 연구의 필요성
      ○ 부작용은 줄이고 효과는 높이는 개인맞춤약물 정보가 의약품 허가사항에 지속적으로 반영되고 있음.
      ○ 한국인 약물유전형 진단키트를 개발하고, 약물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들을 확보하였음.
      ○ 식약청에서는 개인맞춤약물 실용화를 위한 국가적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 이에 한국인에 적합한 개인맞춤약물의 실용화 추진 구상과 개인맞춤약물의 경제성을 평가하자 함.
      2. 연구 목표
      한국형 맞춤약물치료의 실용화 및 국가적 체계 구축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진단하여 맞춤약물치료의 국가적 체계 구축 방안 제안
      ○ 맞춤약물치료의 실용화 및 국가적 체계 구축에 대한 경제성평가
      ○ 보건의료체계 내 맞춤약물치료 체계 구축방안 개발
      Ⅱ. 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1 맞춤약물치료의 실용화 및 국가적 체계 구축에 대한 경제성 평가
      ○전통적 약물치료체계를 개인유전정보를 활용하는맞춤약물치료 체계(연구 대안)로 대체 시 소요비용과 개선된 임상적 유용성의 결과로 얻어지는 비용감소분 혹은 편익 분석
      ○ 특정약물의 맞춤약물치료 시행에 대한 경제성평가
      2. 보건의료체계 내 맞춤약물치료 체계 구축방안 개발
      ○ 국내 및 국외 현황 고찰
      - 맞춤약치료체계의 국내 인프라 실태 파악.미국, 유럽 맞춤약물치료체계 분석: FDA, EMA의 역할
      - 맞춤약물치료의 글로벌 네트워크 활동 파악. 한국의 참여 방안 모색
      ○ 국내 환경에 적합한 맞춤약물치료 체계 제안
      - 경제성평가에 따른 최적의 맞춤약물치료체계 도출: 임상적 유용성, 사회적 수용성을 동시에 고려한 최적의 체계 제안
      - 맞춤약물치료체계 실행 관련 제반 문제점 파악. 대응책 제시
      ○ 전문가 의견 수렴과 일반인 설문조사를 통한 합리적 방안 도출
      - 국내 맞춤의료 전문가 대상 포커스그룹 인터뷰
      - 맞춤약물치료에 대한 일반인 설문조사: 인지도, 우려사항, 지불의사 등
      ...중략 [원문참고]
      번역하기

      Ⅰ. 연구개발과제의 목적 및 필요성 1. 연구의 필요성 ○ 부작용은 줄이고 효과는 높이는 개인맞춤약물 정보가 의약품 허가사항에 지속적으로 반영되고 있음. ○ 한국인 약물유전형 진단키...

      Ⅰ. 연구개발과제의 목적 및 필요성
      1. 연구의 필요성
      ○ 부작용은 줄이고 효과는 높이는 개인맞춤약물 정보가 의약품 허가사항에 지속적으로 반영되고 있음.
      ○ 한국인 약물유전형 진단키트를 개발하고, 약물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들을 확보하였음.
      ○ 식약청에서는 개인맞춤약물 실용화를 위한 국가적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 이에 한국인에 적합한 개인맞춤약물의 실용화 추진 구상과 개인맞춤약물의 경제성을 평가하자 함.
      2. 연구 목표
      한국형 맞춤약물치료의 실용화 및 국가적 체계 구축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진단하여 맞춤약물치료의 국가적 체계 구축 방안 제안
      ○ 맞춤약물치료의 실용화 및 국가적 체계 구축에 대한 경제성평가
      ○ 보건의료체계 내 맞춤약물치료 체계 구축방안 개발
      Ⅱ. 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1 맞춤약물치료의 실용화 및 국가적 체계 구축에 대한 경제성 평가
      ○전통적 약물치료체계를 개인유전정보를 활용하는맞춤약물치료 체계(연구 대안)로 대체 시 소요비용과 개선된 임상적 유용성의 결과로 얻어지는 비용감소분 혹은 편익 분석
      ○ 특정약물의 맞춤약물치료 시행에 대한 경제성평가
      2. 보건의료체계 내 맞춤약물치료 체계 구축방안 개발
      ○ 국내 및 국외 현황 고찰
      - 맞춤약치료체계의 국내 인프라 실태 파악.미국, 유럽 맞춤약물치료체계 분석: FDA, EMA의 역할
      - 맞춤약물치료의 글로벌 네트워크 활동 파악. 한국의 참여 방안 모색
      ○ 국내 환경에 적합한 맞춤약물치료 체계 제안
      - 경제성평가에 따른 최적의 맞춤약물치료체계 도출: 임상적 유용성, 사회적 수용성을 동시에 고려한 최적의 체계 제안
      - 맞춤약물치료체계 실행 관련 제반 문제점 파악. 대응책 제시
      ○ 전문가 의견 수렴과 일반인 설문조사를 통한 합리적 방안 도출
      - 국내 맞춤의료 전문가 대상 포커스그룹 인터뷰
      - 맞춤약물치료에 대한 일반인 설문조사: 인지도, 우려사항, 지불의사 등
      ...중략 [원문참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