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연구개발과제의 목적 및 필요성
1. 연구의 필요성
○ 부작용은 줄이고 효과는 높이는 개인맞춤약물 정보가 의약품 허가사항에 지속적으로 반영되고 있음.
○ 한국인 약물유전형 진단키...
Ⅰ. 연구개발과제의 목적 및 필요성
1. 연구의 필요성
○ 부작용은 줄이고 효과는 높이는 개인맞춤약물 정보가 의약품 허가사항에 지속적으로 반영되고 있음.
○ 한국인 약물유전형 진단키트를 개발하고, 약물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들을 확보하였음.
○ 식약청에서는 개인맞춤약물 실용화를 위한 국가적 체계를 구축하고자 함.
○ 이에 한국인에 적합한 개인맞춤약물의 실용화 추진 구상과 개인맞춤약물의 경제성을 평가하자 함.
2. 연구 목표
한국형 맞춤약물치료의 실용화 및 국가적 체계 구축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진단하여 맞춤약물치료의 국가적 체계 구축 방안 제안
○ 맞춤약물치료의 실용화 및 국가적 체계 구축에 대한 경제성평가
○ 보건의료체계 내 맞춤약물치료 체계 구축방안 개발
Ⅱ. 연구개발과제의 내용 및 방법
1 맞춤약물치료의 실용화 및 국가적 체계 구축에 대한 경제성 평가
○전통적 약물치료체계를 개인유전정보를 활용하는맞춤약물치료 체계(연구 대안)로 대체 시 소요비용과 개선된 임상적 유용성의 결과로 얻어지는 비용감소분 혹은 편익 분석
○ 특정약물의 맞춤약물치료 시행에 대한 경제성평가
2. 보건의료체계 내 맞춤약물치료 체계 구축방안 개발
○ 국내 및 국외 현황 고찰
- 맞춤약치료체계의 국내 인프라 실태 파악.미국, 유럽 맞춤약물치료체계 분석: FDA, EMA의 역할
- 맞춤약물치료의 글로벌 네트워크 활동 파악. 한국의 참여 방안 모색
○ 국내 환경에 적합한 맞춤약물치료 체계 제안
- 경제성평가에 따른 최적의 맞춤약물치료체계 도출: 임상적 유용성, 사회적 수용성을 동시에 고려한 최적의 체계 제안
- 맞춤약물치료체계 실행 관련 제반 문제점 파악. 대응책 제시
○ 전문가 의견 수렴과 일반인 설문조사를 통한 합리적 방안 도출
- 국내 맞춤의료 전문가 대상 포커스그룹 인터뷰
- 맞춤약물치료에 대한 일반인 설문조사: 인지도, 우려사항, 지불의사 등
...중략 [원문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