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인 성년후견제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in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82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in Korea was revised on March 7, 2011 and enforced on July 1, 2013. It is the system to support property management and custody for personal affairs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vulnerable to clerical ability and self-determination. The kinds of the guardianship system include adult guardianship for legal adults, limited guardianship, specific guardianship, and voluntary guardianship contract. The process of the guardianship system is (1) adjudication of guardianship commencement and a guardian, (2) notification of appointing a guardianship supervisor, (3) investigation of the property and welfare needs of a person under guardianship, (4) guardianship activity, (5) submission of a regular report, and (6)period expiration and termination. The family cour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local governments operate, administer, and supervise the guardianship system. They appoint, examine, judge, claim, administer, and supervise guardians to secure clear application of the law. The Kore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 Developmental Disabilities(KAIDD) and the Research Institute of the Differently Abled Person's Right perform educational support projects. They train public guardians, pick out a person under guardianship, recommend a candidate for the public guardian, and support the administration and supervision of guardian activity as a responsible organiz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meaning of special education in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번역하기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in Korea was revised on March 7, 2011 and enforced on July 1, 2013. It is the system to support property management and custody for personal affairs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vulnerable to cleric...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in Korea was revised on March 7, 2011 and enforced on July 1, 2013. It is the system to support property management and custody for personal affairs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vulnerable to clerical ability and self-determination. The kinds of the guardianship system include adult guardianship for legal adults, limited guardianship, specific guardianship, and voluntary guardianship contract. The process of the guardianship system is (1) adjudication of guardianship commencement and a guardian, (2) notification of appointing a guardianship supervisor, (3) investigation of the property and welfare needs of a person under guardianship, (4) guardianship activity, (5) submission of a regular report, and (6)period expiration and termination. The family cour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local governments operate, administer, and supervise the guardianship system. They appoint, examine, judge, claim, administer, and supervise guardians to secure clear application of the law. The Kore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 Developmental Disabilities(KAIDD) and the Research Institute of the Differently Abled Person's Right perform educational support projects. They train public guardians, pick out a person under guardianship, recommend a candidate for the public guardian, and support the administration and supervision of guardian activity as a responsible organiz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meaning of special education in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성년후견제도는 2011년 3월 7일 개정되어 2013년 7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고, 사무능력부족과 자기결정권이 취약한 발달장애인에 대하여 재산관리 및 신상보호를 지원해주는 후견활동제도이다. 후견인제도의 종류는 법정성년후견의 성년후견, 한정후견, 특정후견과 임의 후견으로 나뉜다. 후견인제도 진행과정은 (1) 후견개시 심판결정 및 후견인, (2) 후견감독인 선임통지, (3) 피후견인의 재산상황과 복지수요조사, (4) 후견활동, (5) 정례보고서 제출, (6) 기간만료 및 종료이다. 후견인제도의 운영과 관리감독은 가정법원과 보건복지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후견인을 선임하고 심사하여 심판청구하고, 이후 관리·감독하여 법 적용의 명확성을 확보하며, 한국지적장애인복지협회와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는 교육지원사업 수행기관으로 공공후견인양성, 피후견인 발굴, 공공후견인 후보자 추천 및 후견인 활동 관리 및 감독지원 등을 실행함으로 책임 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성년후견제도에 대해서 특수교육학적 의의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번역하기

      한국의 성년후견제도는 2011년 3월 7일 개정되어 2013년 7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고, 사무능력부족과 자기결정권이 취약한 발달장애인에 대하여 재산관리 및 신상보호를 지원해주는 후견활동...

      한국의 성년후견제도는 2011년 3월 7일 개정되어 2013년 7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고, 사무능력부족과 자기결정권이 취약한 발달장애인에 대하여 재산관리 및 신상보호를 지원해주는 후견활동제도이다. 후견인제도의 종류는 법정성년후견의 성년후견, 한정후견, 특정후견과 임의 후견으로 나뉜다. 후견인제도 진행과정은 (1) 후견개시 심판결정 및 후견인, (2) 후견감독인 선임통지, (3) 피후견인의 재산상황과 복지수요조사, (4) 후견활동, (5) 정례보고서 제출, (6) 기간만료 및 종료이다. 후견인제도의 운영과 관리감독은 가정법원과 보건복지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후견인을 선임하고 심사하여 심판청구하고, 이후 관리·감독하여 법 적용의 명확성을 확보하며, 한국지적장애인복지협회와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는 교육지원사업 수행기관으로 공공후견인양성, 피후견인 발굴, 공공후견인 후보자 추천 및 후견인 활동 관리 및 감독지원 등을 실행함으로 책임 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성년후견제도에 대해서 특수교육학적 의의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호, "한․일간 성년후견제도의 비교" 한국일본근대학회 (40) : 309-330, 2013

      2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11

      3 박태신,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행위능력 -일본의 성년후견제도를 중심으로 -" 안암법학회 (27) : 133-183, 2008

      4 유수진, "장애자녀 보호자와 공무원의 성년후견제도에 대한 인식비교 융복합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275-286, 2015

      5 우주형, "장애성년후견제도 도입에 관한 소고" 중앙법학회 10 (10): 201-244, 2008

      6 최현태, "임의후견계약의 문제점과 법정책적 제언" 법학연구원 (44) : 183-212, 2013

      7 오호철, "일본의 성년후견제도와 우리나라의 성년후견법안의 비교" 한국비교사법학회 15 (15): 295-335, 2008

      8 최지현, "일본의 성년후견제도" 20 : 509-530, 2000

      9 박인환,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성년후견제도의 평가와 모색" 한국비교사법학회 22 (22): 725-758, 2015

      10 장동원, "영국의 정신보건법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 45-48, 1999

      1 박상호, "한․일간 성년후견제도의 비교" 한국일본근대학회 (40) : 309-330, 2013

      2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11

      3 박태신,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행위능력 -일본의 성년후견제도를 중심으로 -" 안암법학회 (27) : 133-183, 2008

      4 유수진, "장애자녀 보호자와 공무원의 성년후견제도에 대한 인식비교 융복합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3 (13): 275-286, 2015

      5 우주형, "장애성년후견제도 도입에 관한 소고" 중앙법학회 10 (10): 201-244, 2008

      6 최현태, "임의후견계약의 문제점과 법정책적 제언" 법학연구원 (44) : 183-212, 2013

      7 오호철, "일본의 성년후견제도와 우리나라의 성년후견법안의 비교" 한국비교사법학회 15 (15): 295-335, 2008

      8 최지현, "일본의 성년후견제도" 20 : 509-530, 2000

      9 박인환,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성년후견제도의 평가와 모색" 한국비교사법학회 22 (22): 725-758, 2015

      10 장동원, "영국의 정신보건법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 45-48, 1999

      11 김봉철, "영국의 성년 후견 제도 관련 규범" 보건복지부 33-, 2009

      12 이명현, "영국 성년후견법을 통해 본 복지사회 구상: 의사결정능력법(Mental Capacity Act)의 자기결정 지원을 중심으로" 5.18연구소 12 (12): 407-444, 2012

      13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알기 쉬운 성년후견제도"

      14 이지민, "신상영역에서의 의사결정능력 - 영국법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사법학회 20 (20): 91-126, 2013

      15 신권철, "성년후견제도의 쟁점과 과제" 2 (2): 39-88, 2013

      16 백승흠, "성년후견제도의 입법모델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독일과 일본의 유형을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회 15 (15): 17-52, 2005

      17 이성진, "성년후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성년후견을 중심으로 -"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18 (18): 187-210, 2015

      18 제철웅, "성년후견제도의 도입논의와 영국의 정신능력법의 시사점" 한국가족법학회 21 (21): 275-310, 2007

      19 전동일, "성년후견제도에 대한 성년후견수요자의 부모와 서비스 제공자의 인식 비교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11-23, 2013

      20 이득환, "성년후견제도에 대한 각국의 입법과 우리나라의 그에 대한 민법개정에서의 시사점" 법학연구소 26 (26): 373-393, 2009

      21 권민규, "성년후견제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22 정환담, "성년후견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15 : 199-223, 1995

      23 윤찬영, "성년후견제도 실시에 따른 사회복지 입법의 과제" 2 : 111-129, 2014

      24 서울가정법원, "성년후견제도 소개"

      25 이영규, "성년후견법안의 검토 및 향후과제" 26 : 209-247, 2010

      26 박인환, "새로운 성년후견제도의 시행과 결격조항 정비의 과제" 한국비교사법학회 21 (21): 1221-1254, 2014

      27 문장원, "발달재활서비스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발달장애학회 19 (19): 1-23, 2015

      28 이학준, "발달장애인지원법 제정에 따른 장애인복지관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연구" 서울시장애인복지관협회 2013

      29 제철웅, "발달장애인을 위한 후견제도의 이해와 실제"

      30 조성혜, "발달장애인을 위한 후견계약과 개선과제" 한국비교노동법학회 32 : 269-306, 2014

      31 김진우, "발달장애인복지론" EM커뮤니티 2014

      32 광주지적장애인자립지원센터, "발달장애인 후견인 교육용 교재"

      33 고재욱, "발달장애아동의 의사결정능력과 자기결정권에서 후견인제도 도입 고찰"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8 (18): 187-207, 2014

      34 조홍중, "발달장애아동의 법적지원방안" 한국발달장애학회 1-22, 2012

      35 송호열, "미국의 성년후견법제" 10 (10): 1-46, 2006

      36 이덕환, "미국에 있어서 성년후견제도의 개혁" 11 : 7-34, 2000

      37 백승흠, "독일의 후견·성년후견제도의 개혁에 관한 소고" 한독사회과학회 21 (21): 161-182, 2011

      38 한봉희, "독일의 성년후견제도의 소고" 3 : 23-60, 2000

      39 송호열, "독일의 성년후견법제" 8 (8): 29-79, 2004

      40 김선이, "독일성년후견법" 2003

      41 구상엽, "개정민법상 성년후견제도에 대한 연구 : 입법배경, 입법자의 의사 및 향후 과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42 이병화, "成年後見制度의 導入에 따른 國際後見法의 再考察" 한국비교사법학회 13 (13): 85-137, 2006

      43 조홍중, "‘발달장애’의 개념에 관한 고찰 -관련 법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발달장애학회 16 (16): 1-21, 2012

      44 Accardo, P. J., "Dictionary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terminology" Paul H. Brookes 1996

      45 Dunlap, L. L., "An intruduction to ealr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Birth to age five" Pearson 2009

      46 보건복지부, "2014 장애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4

      47 보건복지부, "2013 발달장애인 성년후견지원 안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발달장애학회지 -> 발달장애연구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98 1.17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