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와 경제성장을 거치면서 우리 사회는 이미 많은 외국인을 포용하며 살고 있다. 이제는 저출산에 따른 인구감소와 고령화의 문제까지 봉착하면서 적극적인 이민정책으로써 대응하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85935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19-339(21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세계화와 경제성장을 거치면서 우리 사회는 이미 많은 외국인을 포용하며 살고 있다. 이제는 저출산에 따른 인구감소와 고령화의 문제까지 봉착하면서 적극적인 이민정책으로써 대응하려 ...
세계화와 경제성장을 거치면서 우리 사회는 이미 많은 외국인을 포용하며 살고 있다. 이제는 저출산에 따른 인구감소와 고령화의 문제까지 봉착하면서 적극적인 이민정책으로써 대응하려 는 모색도 진행되는 상황이다. 국내 체류 외국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통합의 길은 법제도의 개선과 정비가 뒷받침되지 않고는 어렵다. 체류 외국인 중 특히 영주자는 사회구성원으로 영속 적으로 함께 살아갈 의지와 객관적 기초를 갖춘 사람으로서, 그들에게 국민에 준하는 법적 지위 를 부여하는 것은 포용과 통합을 통한 사회발전에 중요한 요소이다. 같은 맥락에서 국민의 인접 개념인 시민 개념을 법적 개념으로 끌어올려 시민사회적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외국인을 일정 한 법적 주체로 수용하는 것도 검토해볼 만하다. 외국인을 차별의 대상이 아닌 보편적 인권의 대상으로 인식을 전환하는 것은 국민의 인권의식을 확대하고 사회통합을 진전시킴으로써 민주 시민으로의 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법무부의 주도로, 영주자격을 전제로 일반귀 화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영주자의 일반적 지위를 법률 수준에서 보장하는 법률개정이 이루어졌다. 헌법상 국민의 개념을 재고함과 더불어 외국인의 권리보장을 강화하는 법제도가 필요하다. 개정된 「국적법」과 「출입국관리법」의 규정은 아직 시행을 기다리고 있으나, 이 개정과정은 영주 제도 및 귀화제도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전망을 돌아볼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rough glob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our society is already embracing many foreigners. Now, as the country is facing a population decrease due to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it is seeking to cope with the situation with the situation wi...
Through glob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our society is already embracing many foreigners. Now, as the country is facing a population decrease due to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it is seeking to cope with the situation with the situation with an aggressive immigration policy. The way to integrate society with foreigners who are staying in Korea is difficult unless the legal system is supported by improvement and adjustment. Among foreign residents, particularly permanent residents are persons with an objective basis and will to live together permanently as a member of society, and giving them legal status equivalent to the nation is an important element of acceptance and integration. In the same vein, it should consider taking foreigners who can participate in civic and social activities as legal entities by bringing up the concept of citizen, which is the concept of their neighbors, to the legal concept. Transitioning foreigners into the subject of universal human rights, not discrimination, would contribute to the growth of democratic citizens by expanding the people's human rights awareness and advancing social integration. Recently,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inistry of Justice, a law revision was made to ensure the general status of the permanent resident at the statutory level while allowing them to naturalize under the condition of permanent residency. Under the Constitution, a legal system that strengthens the rights of foreigners while reconsidering the concept of the nation is needed. The revised Nationality Act and the revised Immigration Act are still waiting to be implemented, but this revision process is likely to provide a glimpse into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permanent residency and naturalization system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2 계희열, "헌법학(중)" 박영사 2007
3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2
4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4
5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이민정보과, "출입국⋅외국인 통계월보"
6 법무부, "제3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7 소라미, "이주민에 대한 귀화⋅영주 제도의 변천과 영주자격 전치주의 도입에 대한 검토, 영주자격 전치주의 도입, 이대로 좋은가?"
8 이근태, "생산가능인구 감소 시대의 경제성장과 노동시장" LG경제연구원 2017
9 도회근, "사회통합을 위한 국민 개념 재고" 한국법학원 134 (134): 429-449, 2013
10 서보건, "다문화사회와 헌법상 국민개념의 변용" 유럽헌법학회 (13) : 293-320, 2013
1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2 계희열, "헌법학(중)" 박영사 2007
3 한수웅, "헌법학" 법문사 2012
4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14
5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이민정보과, "출입국⋅외국인 통계월보"
6 법무부, "제3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7 소라미, "이주민에 대한 귀화⋅영주 제도의 변천과 영주자격 전치주의 도입에 대한 검토, 영주자격 전치주의 도입, 이대로 좋은가?"
8 이근태, "생산가능인구 감소 시대의 경제성장과 노동시장" LG경제연구원 2017
9 도회근, "사회통합을 위한 국민 개념 재고" 한국법학원 134 (134): 429-449, 2013
10 서보건, "다문화사회와 헌법상 국민개념의 변용" 유럽헌법학회 (13) : 293-320, 2013
11 김수연, "기본권 주체로서의 외국인" 유럽헌법학회 (7) : 291-322, 2010
12 송소영, "귀화와 영주자격의 연결방안에 관한 연구 ― 영주권전치주의 도입과 관련하여" 8 : 2011
13 이기흠, "국적법⋅출입국관리법 개정안 설명, 영주자격 전치주의 도입, 이대로 좋은가?"
14 법제사법위원회, "국적법 일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
15 조한상, "국민의 헌법적 의미" 한국법학회 (48) : 75-97, 2012
16 도회근, "국민과 국적" 울산대학교 9 (9): 1999
17 박명규, "국민⋅인민⋅시민-개념사로 본 한국의 정치주체" 소화 2009
18 최경옥, "국가구성원과 시민주권" 한국헌법학회 19 (19): 155-197, 2013
19 법무부, "2016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인공지능 기술과 IT법체계 : 법정보학적 함의를 중심으로
지능정보사회에서 지능로봇의 윤리화 과제와 전망 - 근대적 윤리담론에 대한 대안적 접근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4 | 0.34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1 | 0.31 | 0.412 | 0.23 |
외국인의 시각에서의 미국
COURSERA Dr. Julie Fette 외 4명외국인근로자 사업담당자가 알아야 할 보건의료지원의 이해
K-MOOC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김미선, 주영수, 고기복, 장덕규, 장주영, 이은하외국인근로자 사업담당자가 알아야 할 보건의료지원의 이해
K-MOOC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김미선, 주영수, 고기복, 장덕규, 장주영, 이은하외국인근로자 사업담당자가 알아야 할 보건의료지원의 이해
K-MOOC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김미선, 주영수, 고기복, 장덕규, 장주영, 이은하외국인근로자 사업담당자가 알아야 할 보건의료지원의 이해
K-MOOC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김미선, 주영수, 고기복, 장덕규, 장주영, 이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