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H.332 표준안에 근거한 소결합 멀티미디어 회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osely-coupled Multimedia Conference System based on H.332 Standar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326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ltimedia conference systems are classified into the tightly coupled conference and the loosely-coupled conference, the former is a peer-to-peer-conference or multi-point-conference based un the ITU-T H.323 standard, and the latter is the H.332 standard extended from the ITU-T H.323 standard. Loosely-coupled conference based on the H.332 standard is composed of small participants with the capacity of the send-receive mode and large participants with the capacity of the receive-only mode. In the H.332 conference, a subject and a media type of the multimedia conference is pre-announced for conquest of the difficulty of capability negotiation, and used SDP of IETF for that. Therefore, the H.332-conference can conquer a defect of the H.323 multimedia conference scalability. This paper analyzes H.332 standard for the loosely-coupled conference and describes an implementation of the H.332 multimedia conference systems.
      번역하기

      Multimedia conference systems are classified into the tightly coupled conference and the loosely-coupled conference, the former is a peer-to-peer-conference or multi-point-conference based un the ITU-T H.323 standard, and the latter is the H.332 stand...

      Multimedia conference systems are classified into the tightly coupled conference and the loosely-coupled conference, the former is a peer-to-peer-conference or multi-point-conference based un the ITU-T H.323 standard, and the latter is the H.332 standard extended from the ITU-T H.323 standard. Loosely-coupled conference based on the H.332 standard is composed of small participants with the capacity of the send-receive mode and large participants with the capacity of the receive-only mode. In the H.332 conference, a subject and a media type of the multimedia conference is pre-announced for conquest of the difficulty of capability negotiation, and used SDP of IETF for that. Therefore, the H.332-conference can conquer a defect of the H.323 multimedia conference scalability. This paper analyzes H.332 standard for the loosely-coupled conference and describes an implementation of the H.332 multimedia conference syste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멀티미디어 회의는 크게 밀결합 회의와 소결합 회의로 구분되며, 전자의 경우는 ITU-T의 H.323 표준에 근거한 일대일 또는 다자간 멀티미디어 회의가 있고, 후자의 경우로는 H.323 표준을 확장한 ITU-T의 H.332 표준이 있다. H.332 표준을 근거로 한 소결합 멀티미디어 회의는 송수신 능력을 갖는 소수의 패널과 수신능력 만을 갖는 다수의 청중들로 이루어진다. H.332에서는 참가자가 다수일 때 능력교환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회의의 주제나 미디어 형식등을 회의가 열리기 전에 미리 알리며 이를 위해 IETF의 SDP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H.323 멀티미디어 회의의 단점인 확장성을 극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결합 멀티미디어 회의를 위하여 표준화되고 있는 H.332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구현된 시스템을 소개한다.
      번역하기

      멀티미디어 회의는 크게 밀결합 회의와 소결합 회의로 구분되며, 전자의 경우는 ITU-T의 H.323 표준에 근거한 일대일 또는 다자간 멀티미디어 회의가 있고, 후자의 경우로는 H.323 표준을 확장한...

      멀티미디어 회의는 크게 밀결합 회의와 소결합 회의로 구분되며, 전자의 경우는 ITU-T의 H.323 표준에 근거한 일대일 또는 다자간 멀티미디어 회의가 있고, 후자의 경우로는 H.323 표준을 확장한 ITU-T의 H.332 표준이 있다. H.332 표준을 근거로 한 소결합 멀티미디어 회의는 송수신 능력을 갖는 소수의 패널과 수신능력 만을 갖는 다수의 청중들로 이루어진다. H.332에서는 참가자가 다수일 때 능력교환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회의의 주제나 미디어 형식등을 회의가 열리기 전에 미리 알리며 이를 위해 IETF의 SDP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H.323 멀티미디어 회의의 단점인 확장성을 극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결합 멀티미디어 회의를 위하여 표준화되고 있는 H.332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구현된 시스템을 소개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