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미정, "흔들리는 재현⋅대의의 시간 - 2017년 한국소설 안팎" 50 : 26-49, 2017
2 신샛별, "프레카리아트 페미니스트: 조남주, 강화길 소설에 주목하여" 문장웹진
3 소영현, "페미니즘이라는 문학" 24 (24): 1-16, 2017
4 오길영, "페미니즘 소설의 몇 가지 양상" 335-346, 2018
5 이선옥, "페미니즘 소설의 감정지도 그리기" 46 (46): 324-343, 2018
6 허윤, "페미니즘 대중서 시장과 브랜드화: 페미니즘 번역서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40) : 269-280, 2017
7 오혜진, "지극히 문학적인 취향: 한국 문학의 정상성을 묻다" 오월의 봄 182-210, 2019
8 복도훈, "정치적 올바름입니까, 혐오입니까?-아뇨, 괜찮아요! -슬라보예 지젝의 ‘정치적 올바름’ 비판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56) : 41-75, 2018
9 Peterson, J. B., "정치적 올바름에 대하여" 프시케의숲 2019
10 문형준, "정치적 올바름과 살균된 문화" 한국비교문학회 (73) : 103-128, 2017
1 김미정, "흔들리는 재현⋅대의의 시간 - 2017년 한국소설 안팎" 50 : 26-49, 2017
2 신샛별, "프레카리아트 페미니스트: 조남주, 강화길 소설에 주목하여" 문장웹진
3 소영현, "페미니즘이라는 문학" 24 (24): 1-16, 2017
4 오길영, "페미니즘 소설의 몇 가지 양상" 335-346, 2018
5 이선옥, "페미니즘 소설의 감정지도 그리기" 46 (46): 324-343, 2018
6 허윤, "페미니즘 대중서 시장과 브랜드화: 페미니즘 번역서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40) : 269-280, 2017
7 오혜진, "지극히 문학적인 취향: 한국 문학의 정상성을 묻다" 오월의 봄 182-210, 2019
8 복도훈, "정치적 올바름입니까, 혐오입니까?-아뇨, 괜찮아요! -슬라보예 지젝의 ‘정치적 올바름’ 비판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56) : 41-75, 2018
9 Peterson, J. B., "정치적 올바름에 대하여" 프시케의숲 2019
10 문형준, "정치적 올바름과 살균된 문화" 한국비교문학회 (73) : 103-128, 2017
11 이종일, "정치적 올바름 논쟁과 시민성" 교육과학사 21-45, 2019
12 임경규, "정치적 올바름 vs. 예술의 자율성-다문화시대 문학의 운명" 24 (24): 1-23, 2017
13 김도현, "장애인 당사자주의의 비판적 이해를 위하여" 52 : 172-190, 2012
14 CBS노컷뉴스, "웹툰 속 여성혐오 여전히 '심각'…자율 위한 '규범' 필요"
15 한국경제, "여성혐오 논란 웹툰 '헬퍼'…BTS⋅아이유 팬들까지 분노한 이유"
16 미디어오늘, "여성혐오 논란 기안84 퇴출요구에 “파시즘”vs“공공선 추구”"
17 양경언, "안녕을 묻는 방식" 창비 163-174, 2019
18 이창남, "아도르노 문화산업론의 비판과 전유" 인문학연구원 (39) : 55-76, 2010
19 복도훈, "신을 보는 자들은 늘 목마르다: 2017년의 한국문학과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비판적인 단상들" 문장웹진
20 김주희, "속도의 페미니즘과 관성의 정치" 29 (29): 19-34, 2016
21 심영의, "소설적 상상력과 젠더(Gender) 정치학" 5.18연구소 19 (19): 165-203, 2019
22 강진옥, "소설『82년생 김지영』에 나타난 랑시에르의 ‘문학의 정치’와 그 한계" 한국정치사상학회 25 (25): 180-204, 2019
23 오연경, "비평의 당사자성, 이토록 말할 수 없는 말하기" 11 : 70-83, 2020
24 임지훈, "비평은 정치적으로 올바를 수 있을까?" 문학3
25 뉴스핌, "불붙은 '웹툰 검열' 논란...“규제 필요” vs “파시즘”"
26 심진경, "미투 시대에 페미니즘 문학은 어떻게 전개되는가?" 37 : 300-343, 2018
27 장세룡, "미셸 드 세르토의 일상과 민중문화" 한국서양사학회 (82) : 205-238, 2004
28 Bennett, T, "문화, 일상, 대중 : 문화에 관한 8개의 탐구" 한나래 247-269, 1996
29 Certeau, M, "문화, 일상, 대중" 한나래출판사 1994
30 조연정, "문학의 미래보다 현실의 우리를" 문장웹진
31 이은지, "문학은 정치적으로 올발라야 하는가" 문학3
32 김주선, "모든 문학과 모든 정치를 위해? 최근 문학과 정치(페미니즘) 논쟁에 부쳐" (52) : 324-337, 2018
33 조강석, "메시지의 전경화와 소설의 ‘실효성’" 문장웹진
34 씨네리와인드, "디즈니의 PC주의와 뮬란의 오류"
35 허윤, "광장의 페미니즘과 한국문학의 정치성" 한국근대문학회 19 (19): 123-151, 2018
36 뉴스1,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하나”…성인지 감수성 vs 검열, 몸살 앓는 'K-웹툰'"
37 경향신문, "‘혐오 표현’ 대 ‘재갈 물리기’ 웹툰계 논쟁"
38 강준만, "‘정치적 올바름’의 소통을 위하여: ‘자유⋅위선⋅계급’의 3대 쟁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7 (57): 227-257, 2018
39 홍진석, "‘정치적 올바름’과 문학의 역할-『현남 오빠에게』의 기획과 현상적 징후-" 42 : 143-158, 2018
40 강준만, "‘미디어혁명’이 파괴한 ‘위선의 제도화’: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본 ‘트럼프 현상’" 사회과학연구원 9 (9): 85-115, 2016
41 선우은실, "‘문학성’과 문학비평" 31 (31): 84-86, 2018
42 Hall, S, "The War of the Words: The Political Correctness Debate" Virago 1994
43 장은정, "#문학은_위험하다: 지금 여기의 페미니즘과 독자 시대의 한국문학" 민음사 95-121, 2019
44 조연정, "#문학은_위험하다: 지금 여기의 페미니즘과 독자 시대의 한국문학" 민음사 393-404,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