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교육 보조인력 직무역량의 측정학적 적합성 분석 = An Analysis of Psychometric Adequacy on the Job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69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 보조인력이 인식하는 직무역량의 분포 경향성, 타당도, 신뢰도와 같은 측정학적 적합성을 검증하여 특수교육 보조인력에게 적절한 직무역량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G교육청 소속 특수교육 보조인력 1,09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역량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개인욕구 지원’, ‘학습 지원’, ‘문제행동 지원’, ‘학교활동 지원’, ‘협력 및 의사소통’의 5개 역량, 2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와 같은 기술통계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문항내적 일치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육 보조인력이 인식하는 직무역량은 왜도 –0.75~-0.53, 첨도 –0.12~0.62의 범위로 정규분포에 가까웠다. 둘째,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역량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80.84%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TLI, CFI, NFI, IFI는 0.932~0.940, RMSEA는 0.80, SMC에서는 착탈의(0.365), 보조공학(0.361)을 제외하고 0.622~0.900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역량에 대한 변별 타당도 분석 결과 유형, 연령, 교육정도, 경력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역량 구성의 문항내적 일치도를 살펴본 결과 전체 0.981이었으며 직무역량별로는 0.872~0.941로 높은 수치의 내적 일치도로 신뢰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특수교육 보조인력이 인식하는 직무역량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연수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 보조인력이 인식하는 직무역량의 분포 경향성, 타당도, 신뢰도와 같은 측정학적 적합성을 검증하여 특수교육 보조인력에게 적절한 직무역량을 도출하고...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 보조인력이 인식하는 직무역량의 분포 경향성, 타당도, 신뢰도와 같은 측정학적 적합성을 검증하여 특수교육 보조인력에게 적절한 직무역량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G교육청 소속 특수교육 보조인력 1,09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역량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개인욕구 지원’, ‘학습 지원’, ‘문제행동 지원’, ‘학교활동 지원’, ‘협력 및 의사소통’의 5개 역량, 2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와 같은 기술통계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문항내적 일치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육 보조인력이 인식하는 직무역량은 왜도 –0.75~-0.53, 첨도 –0.12~0.62의 범위로 정규분포에 가까웠다. 둘째,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역량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80.84%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TLI, CFI, NFI, IFI는 0.932~0.940, RMSEA는 0.80, SMC에서는 착탈의(0.365), 보조공학(0.361)을 제외하고 0.622~0.900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역량에 대한 변별 타당도 분석 결과 유형, 연령, 교육정도, 경력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역량 구성의 문항내적 일치도를 살펴본 결과 전체 0.981이었으며 직무역량별로는 0.872~0.941로 높은 수치의 내적 일치도로 신뢰도를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특수교육 보조인력이 인식하는 직무역량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연수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rive appropriate job competencies for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by verifying the distribution tendenc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job competencies recognized by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Metho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094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of the G Office of Education. The job competencies of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were composed of ‘supporting individual needs’, ‘support for learning’, ‘support for problem behavior’, ‘support for school activities’, and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was performed. Als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ntra-item agreement analysis were also performed. Results: First, the job competencies recognized by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were close to the normal distribution in the range of skewness -0.75~-0.53 and kurtosis –0.12~0.62. Secon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job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it was found to have an explanatory power of 80.84%.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ange of the values of TLI, CFI, NFI, and IFI were 0.932~0.940, and RMSEA was 0.80. The range of the values of SMC showed 0.622 to 0.900, excluding removable clothing (0.365) and assistive technology (0.361). Next, as a result of discriminative validity analysis on the job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ype, age, education level, and experienc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tra-item consistency of the job competency composition of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the overall score was 0.981. And by job competency, it was 0.872~0.941, indicating that reliability was secured with a high level of internal agreement. Conclusion: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job 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were suggested.
      번역하기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rive appropriate job competencies for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by verifying the distribution tendenc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job competencies recognized by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Method: An online...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rive appropriate job competencies for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by verifying the distribution tendenc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job competencies recognized by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Metho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094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of the G Office of Education. The job competencies of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were composed of ‘supporting individual needs’, ‘support for learning’, ‘support for problem behavior’, ‘support for school activities’, and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was performed. Als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ntra-item agreement analysis were also performed. Results: First, the job competencies recognized by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were close to the normal distribution in the range of skewness -0.75~-0.53 and kurtosis –0.12~0.62. Secon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the job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it was found to have an explanatory power of 80.84%.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ange of the values of TLI, CFI, NFI, and IFI were 0.932~0.940, and RMSEA was 0.80. The range of the values of SMC showed 0.622 to 0.900, excluding removable clothing (0.365) and assistive technology (0.361). Next, as a result of discriminative validity analysis on the job competency of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ype, age, education level, and experienc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tra-item consistency of the job competency composition of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the overall score was 0.981. And by job competency, it was 0.872~0.941, indicating that reliability was secured with a high level of internal agreement. Conclusion: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job 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were sugges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수진, "특수교육보조인력으로서 공익근무요원의 특수교육지원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189-209, 2014

      2 김주혜, "특수교육보조원제도 운영에서의 특수교사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천수준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133-155, 2015

      3 우정한, "특수교육보조원의 장애인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및 상호관계성 탐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115-137, 2014

      4 경기도교육청, "특수교육 현장지원 가이드북"

      5 이선희,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역량 구성요소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29-57, 2019

      6 이선희,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역량 구성요소 분석"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9

      7 서선진,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업무 실태 및 직무 실행도에 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275-302, 2015

      8 이정은,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의 운영에 대한 장애학생 부모의 인식과 요구" 특수교육연구소 14 (14): 105-137, 2015

      9 김주혜,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 개선을 위한 학교관리자 및 교육전문직의 인식 탐구" 특수교육연구소 18 (18): 221-249, 2019

      10 서선진,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 개선에 대한 유급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요구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291-317, 2015

      1 민수진, "특수교육보조인력으로서 공익근무요원의 특수교육지원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한국특수아동학회 16 (16): 189-209, 2014

      2 김주혜, "특수교육보조원제도 운영에서의 특수교사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실천수준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133-155, 2015

      3 우정한, "특수교육보조원의 장애인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및 상호관계성 탐색"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115-137, 2014

      4 경기도교육청, "특수교육 현장지원 가이드북"

      5 이선희,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역량 구성요소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29-57, 2019

      6 이선희,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역량 구성요소 분석"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9

      7 서선진,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업무 실태 및 직무 실행도에 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275-302, 2015

      8 이정은,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의 운영에 대한 장애학생 부모의 인식과 요구" 특수교육연구소 14 (14): 105-137, 2015

      9 김주혜,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 개선을 위한 학교관리자 및 교육전문직의 인식 탐구" 특수교육연구소 18 (18): 221-249, 2019

      10 서선진, "특수교육 보조인력 제도 개선에 대한 유급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요구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291-317, 2015

      11 나경은, "특수교육 보조인력 배치기준 및 역량강화 연구" 경기도교육청 2019

      12 박승희, "특수교육 발전 5개년(2003-2007) 종합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1

      13 조홍중, "특수교육 관련자들의 특수교육보조인력 업무와 명칭에 관한 인식" 한국발달장애학회 25 (25): 263-280, 2021

      14 김동일, "지역사회적응검사 개정의 측정학적 적합성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9 (19): 1-20, 2017

      15 한경근,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정의 및 교육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2 (62): 75-97, 2019

      16 강옥려, "읽기곤란 및 난독증 선별 척도의 측정학적 적합성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8 (28): 163-177, 2017

      17 윤정일, "인간 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 역량의 특성과 차원" 한국교육학회 45 (45): 233-260, 2007

      18 송승민,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중도·중복장애학생 연구의 지식구조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1 (61): 75-99, 2018

      19 이승미, "웹기반 CR-CBA 한글해득수준진단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1 (21): 125-149, 2018

      20 한세진, "발달장애인용 직업흥미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9 (29): 47-67, 2019

      21 이옥인, "모든 이를 위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탐색"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73-92, 2015

      22 박송이, "공립 유치원 특수교육보조인력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요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0

      23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Sage 1995

      24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Strengthening the social service personnel's ability to support the activ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25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Specialty set: Paraeducator professional development standard"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2015

      26 White, R., "Motivation reconsidered: The concept of competence" 66 : 279-333, 1959

      27 Fabrigar, L. R., "Evaluating the use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psychological research" 4 (4): 272-299, 1999

      28 Browne, M. W.,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21 (21): 230-258, 1992

      29 교육부, "2020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부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