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학축제에 내포된 춤의 함의(含意) -1970년대 대학축제를 중심으로- = Implications of dance at University Festival Focusing on the University Festival in the 197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60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establishment of the festival content for a university festival as a true play culture through the study on the university festival in the 1970s, when a university festival started to settle down after first introduc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orm implication for dance to aim at today’s university festival by studying the dance which was performed at the university festival in the 1970s. As a result, the university festival in early 1970s adopted the style of a western carnival. Therefore carnivals and couples-only party with social dance were held at the university festival all over the country. However, as the regretful mood of the university festival like a western carnival raised from the campus of the university in mid 1970s, the interest in our folk-lore started and the interest in dance was also changed into falk dance and traditional dance. Although dance at the festival in the 1970s was the dance to long for western culture and the folk festival made as the reverse side of western culture, there was the dance to promote a sense of community, to be preserved and passed down and to be performed as an artistic function and an entertainment function. Based on this aspect of the dance at the university festival in the 1970s, in today’s popular eventful university festival, the implication of dance was derived from community awareness, historical and locality, artistic value, and entertainment function.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establishment of the festival content for a university festival as a true play culture through the study on the university festival in the 1970s, when a university festival started to settle down after first ...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establishment of the festival content for a university festival as a true play culture through the study on the university festival in the 1970s, when a university festival started to settle down after first introduc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form implication for dance to aim at today’s university festival by studying the dance which was performed at the university festival in the 1970s. As a result, the university festival in early 1970s adopted the style of a western carnival. Therefore carnivals and couples-only party with social dance were held at the university festival all over the country. However, as the regretful mood of the university festival like a western carnival raised from the campus of the university in mid 1970s, the interest in our folk-lore started and the interest in dance was also changed into falk dance and traditional dance. Although dance at the festival in the 1970s was the dance to long for western culture and the folk festival made as the reverse side of western culture, there was the dance to promote a sense of community, to be preserved and passed down and to be performed as an artistic function and an entertainment function. Based on this aspect of the dance at the university festival in the 1970s, in today’s popular eventful university festival, the implication of dance was derived from community awareness, historical and locality, artistic value, and entertainment fun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에서 대학축제 문화가 태동한 후 본격적인 축제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한 1970년대 대학축제를 통해 진정한 놀이문화로서 오늘날 대학축제가 지향해야할 축제 콘텐츠 구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당시 대학축제에서 추어졌던 춤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재 대학축제에서 춤이 지향해야할 함축적 의미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 결과 1970년대 초 대학축제는 서구의 카니발 형식을 도입하여 전국의 대학에서 카니발이 행해지고 쌍쌍파티 등에서 사교무용이 추어졌으나 70년대 중반부터 서구형식의 카니발적 축제에 대한 반성이 대학가에 일기 시작하면서 상대적으로 우리 민속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이에 춤도 향토색이 강한 민속춤과 전통춤이 주 내용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1970년대 축제에서 추어진 춤들은 서구문화의 동경과 그에 대한 반대급부로 형성된 카니발과 민속제라는 시대적 상황에 의해 축제의 춤들이 존재하기는 하였으나 그 속에는 공동체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춤과 전승․보존되어야 할 춤, 예술적 기능으로서의 춤과 오락적 기능으로서의 춤이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70년대 대학축제에서 추어진 춤의 양상을 토대로 오늘날 대중적인 이벤트성이 강한 대학축제에서 춤이 지녀야 할 함축적 의미는 공동체의식 고취와 역사성 및 향토성, 예술적 가치, 오락적 기능을 포함한 놀이의 의미들로 도출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에서 대학축제 문화가 태동한 후 본격적인 축제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한 1970년대 대학축제를 통해 진정한 놀이문화로서 오늘날 대학축제가 지향해야할 축제 콘텐츠 구축에 ...

      본 연구는 한국에서 대학축제 문화가 태동한 후 본격적인 축제의 면모를 갖추기 시작한 1970년대 대학축제를 통해 진정한 놀이문화로서 오늘날 대학축제가 지향해야할 축제 콘텐츠 구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당시 대학축제에서 추어졌던 춤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재 대학축제에서 춤이 지향해야할 함축적 의미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 결과 1970년대 초 대학축제는 서구의 카니발 형식을 도입하여 전국의 대학에서 카니발이 행해지고 쌍쌍파티 등에서 사교무용이 추어졌으나 70년대 중반부터 서구형식의 카니발적 축제에 대한 반성이 대학가에 일기 시작하면서 상대적으로 우리 민속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이에 춤도 향토색이 강한 민속춤과 전통춤이 주 내용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1970년대 축제에서 추어진 춤들은 서구문화의 동경과 그에 대한 반대급부로 형성된 카니발과 민속제라는 시대적 상황에 의해 축제의 춤들이 존재하기는 하였으나 그 속에는 공동체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춤과 전승․보존되어야 할 춤, 예술적 기능으로서의 춤과 오락적 기능으로서의 춤이 혼재되어 있다. 이러한 70년대 대학축제에서 추어진 춤의 양상을 토대로 오늘날 대중적인 이벤트성이 강한 대학축제에서 춤이 지녀야 할 함축적 의미는 공동체의식 고취와 역사성 및 향토성, 예술적 가치, 오락적 기능을 포함한 놀이의 의미들로 도출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혜진, "한국지역축제 실태조사Ⅱ" 문화체육관광부 2016

      2 오인탁, "한국 고등교육개혁의 과제와 전망" 양서원 1993

      3 이상일, "축제의 기능과 향토문화제 비판" 11 : 222-223, 1979

      4 김해성, "축제 예술로서의 춤 : 부산·경남지역 대학축제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5 박진영, "축제 안에 들어있는 춤/동작 활동에 대한 체험 연구" 6 (6): 121-135, 2006

      6 임재해, "지역축제 발전을 위한 지역사회와 지역대학의 역할" 20 : 151-201, 2001

      7 이상일, "이상일의 축제‧놀이문화 그리고 예술" 283 : 12-17, 2017

      8 송영민, "바흐친 카니발리즘을 통한 축제 속 공연 분석: 2014년 춘천마임축제의 공연을 중심으로"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4) : 157-182, 2016

      9 이현주,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대학 춤 축제 프로그램 개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3

      10 양승훈, "대학축제체험이 축제만족, 재참가의도,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 참여정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246-257, 2019

      1 황혜진, "한국지역축제 실태조사Ⅱ" 문화체육관광부 2016

      2 오인탁, "한국 고등교육개혁의 과제와 전망" 양서원 1993

      3 이상일, "축제의 기능과 향토문화제 비판" 11 : 222-223, 1979

      4 김해성, "축제 예술로서의 춤 : 부산·경남지역 대학축제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5 박진영, "축제 안에 들어있는 춤/동작 활동에 대한 체험 연구" 6 (6): 121-135, 2006

      6 임재해, "지역축제 발전을 위한 지역사회와 지역대학의 역할" 20 : 151-201, 2001

      7 이상일, "이상일의 축제‧놀이문화 그리고 예술" 283 : 12-17, 2017

      8 송영민, "바흐친 카니발리즘을 통한 축제 속 공연 분석: 2014년 춘천마임축제의 공연을 중심으로"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4) : 157-182, 2016

      9 이현주,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대학 춤 축제 프로그램 개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3

      10 양승훈, "대학축제체험이 축제만족, 재참가의도,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 참여정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9 (19): 246-257, 2019

      11 김창수, "대학축제의 진단과 대안모색 연구" 관광경영학회 20 (20): 97-113, 2016

      12 김송이, "대학축제 서비스품질이 방문객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물리적 요소와 비물리적 요소를 중심으로 -" 관광연구소 29 (29): 103-123, 2017

      13 류재한, "대학축제 방문객의 만족도 연구― 2016년 ‘용봉대동풀이’를 중심으로 ―" 호남학연구원 (62) : 303-336, 2017

      14 "다음 국어사전"

      15 페이스북, "경희대학교 대학주보"

      16 중앙일보, "건국대 1970년대 대학축제 이색 사진 전시"

      17 임유경, "‘메이퀸’과 페미니즘 - 1960∼1970년대 한국의 대학문화와 여성 담론의 변천" 역사문제연구소 23 (23): 521-564, 2019

      18 김미란, "80년대 대학의 학생문화: 비판적 학습과 문화적 실천의 장" 한국교육사학회 37 (37): 29-57, 2015

      19 오제연, "1960년대 한국 대학축제의 정치풍자와 학생운동" 수선사학회 (55) : 363-401,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