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탈춤 무용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 An Effect of Korean Mask Dance Education Program on the Self-Efficacy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60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mask dance education program on the self-efficacy and soci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46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Each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assigned, and the experiment group performed a total of 12 mask dance movements.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using the SPS/WIN 22.0 statistical program, data processing performed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OCOVA) with the pre-testing of each group as a covariate and post-test as a dependent variable, setting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as variabl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sk dance educational programs are effective in improving self-efficacy. Second, mask dance educational programs are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ity. Through these results, mask dance educational programs will be expected to be the educational learning for expressive activity to be able to improve the self-efficacy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mask dance education program on the self-efficacy and soci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46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mask dance education program on the self-efficacy and soci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46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Each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assigned, and the experiment group performed a total of 12 mask dance movements.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using the SPS/WIN 22.0 statistical program, data processing performed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OCOVA) with the pre-testing of each group as a covariate and post-test as a dependent variable, setting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as variabl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sk dance educational programs are effective in improving self-efficacy. Second, mask dance educational programs are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ity. Through these results, mask dance educational programs will be expected to be the educational learning for expressive activity to be able to improve the self-efficacy and soci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탈춤 무용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초등학생 4, 5, 6학년 남, 여학생 46명으로 하였다.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총 12회기 탈춤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 I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요인으로, 각 집단의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다음과 같다. 첫째, 탈춤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탈춤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탈춤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으로 표현활동 교육이 될 수 있다고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탈춤 무용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초등학생 4, 5, 6학년 남, 여학생 46명으로 하였다. 각각 ...

      본 연구는 탈춤 무용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초등학생 4, 5, 6학년 남, 여학생 46명으로 하였다.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으며, 실험집단은 총 12회기 탈춤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 I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요인으로, 각 집단의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다음과 같다. 첫째, 탈춤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탈춤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탈춤 무용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으로 표현활동 교육이 될 수 있다고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혜진, "한국 민속무용 참여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 과학교육연구소 51 (51): 403-409, 2012

      2 유엔드, "학교 무용교육에 의한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 윤현서, "초등학생의 사회성 함양을 위한 한국 민속춤 프로그램 모형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4 방화미, "초등학생의 무용교육이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이진선, "초등학생의 무용 활동 참여가 사회성,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15 (15): 39-48, 2015

      6 정경인, "초등학생 방과 후 한국무용수업 참여가 신체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에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7 백영주, "초등학교 강강술래 지도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김은진, "초등 아동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춤놀이 교육프로그램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7

      9 황성우, "창의적 무용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10 엄혜신, "창의성 신장과 학교무용교육" 한국무용교육학회 29 (29): 77-105, 2018

      1 강혜진, "한국 민속무용 참여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 과학교육연구소 51 (51): 403-409, 2012

      2 유엔드, "학교 무용교육에 의한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 윤현서, "초등학생의 사회성 함양을 위한 한국 민속춤 프로그램 모형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4 방화미, "초등학생의 무용교육이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이진선, "초등학생의 무용 활동 참여가 사회성,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15 (15): 39-48, 2015

      6 정경인, "초등학생 방과 후 한국무용수업 참여가 신체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에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7 백영주, "초등학교 강강술래 지도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김은진, "초등 아동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춤놀이 교육프로그램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7

      9 황성우, "창의적 무용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10 엄혜신, "창의성 신장과 학교무용교육" 한국무용교육학회 29 (29): 77-105, 2018

      11 김아영, "자기효능감 측정" 51-64, 1996

      12 김해성,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위한 극적 춤놀이의 교육적 가치" 26 (26): 51-74, 2008

      13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02

      14 한국경제, "스마트폰 달라 떼쓰는 영유아...하루 1시간 이상 보면 발달장애 위험"

      15 김혜숙, "봉산탈춤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6 공연희, "민속무용이 체력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7 방희정, "미술과의 심리적 교육환경이 자기효능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3-6학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8 이지은, "무용특별활동 참여가 초등학교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9 장정윤, "무용의 상상력과 표현" 한국무용교육학회 26 (26): 45-63, 2015

      20 구지은, "교수행동과 초등학생의 표현활동수업 참여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매개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6

      21 Ladd, G. W, "Oredicting children’s social and school adjustment following the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kindergarten" 58 : 1168-1189,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