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집단지성을 활용한 폴리매스(Polymath) 활동 사례 = The Case of Polymath Activities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66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du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should emphasize the experience of sharing, coexisting, and solving problems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in the community. Accordingly, in addition to the problem-solving capability,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mathematic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apability to solve unstructured problems through collabor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at solving complex problems through collaboration is used in school classes or gifted education by introducing polymath that solves problems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Accordingly, a target problem was set and an example of polymath in which community members exert each other's intelligence to solve the problem. In addition,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polymath, positive aspects and improvements of polymath were suggested. Through thi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revitalization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번역하기

      Edu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should emphasize the experience of sharing, coexisting, and solving problems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in the community. Accordingly, in addition to the problem-solving capability,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ma...

      Edu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should emphasize the experience of sharing, coexisting, and solving problems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in the community. Accordingly, in addition to the problem-solving capability,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mathematic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apability to solve unstructured problems through collabor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at solving complex problems through collaboration is used in school classes or gifted education by introducing polymath that solves problems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Accordingly, a target problem was set and an example of polymath in which community members exert each other's intelligence to solve the problem. In addition, by investigating the perceptions of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polymath, positive aspects and improvements of polymath were suggested. Through thi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revitalization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군수, "포스트 코로나19, 뉴노멀 시대의 산업 전략. 이슈&진단" 2020

      2 Leadbeater, C.,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21세기북스 2009

      3 양미경, "집단지성의 특성 및 기제와 교육적 시사점의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18 (18): 1-30, 2010

      4 권찬호, "집단지성의 이해" 박영사 2018

      5 양미경, "집단지성의 구현을 위한 협력학습의 원리 탐색"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457-483, 2011

      6 김다원, "집단지성 구현을 위한 토의 수업에서‘월드카페형 대화법’의 적용 가능성 모색"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787-804, 2013

      7 고상숙, "중학교 기하단원의 개방형문제에서학생의 문제해결과정의 사고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10 (10): 303-322, 2007

      8 이현주, "중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고양식 유형에 따른 학습흥미 및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8 (38): 57-68, 2018

      9 교육부,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8~2022)" 2018

      10 이주호,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 대전환. 선진화 정책시리즈" 158-189, 2017

      1 김군수, "포스트 코로나19, 뉴노멀 시대의 산업 전략. 이슈&진단" 2020

      2 Leadbeater, C.,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 21세기북스 2009

      3 양미경, "집단지성의 특성 및 기제와 교육적 시사점의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18 (18): 1-30, 2010

      4 권찬호, "집단지성의 이해" 박영사 2018

      5 양미경, "집단지성의 구현을 위한 협력학습의 원리 탐색"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457-483, 2011

      6 김다원, "집단지성 구현을 위한 토의 수업에서‘월드카페형 대화법’의 적용 가능성 모색"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787-804, 2013

      7 고상숙, "중학교 기하단원의 개방형문제에서학생의 문제해결과정의 사고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 10 (10): 303-322, 2007

      8 이현주, "중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고양식 유형에 따른 학습흥미 및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8 (38): 57-68, 2018

      9 교육부,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8~2022)" 2018

      10 이주호,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 대전환. 선진화 정책시리즈" 158-189, 2017

      11 조난심, "제4차 산업혁명과 교육" 7 (7): 330-347, 2017

      12 이선영,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심리학" 안암교육학회 23 (23): 231-260, 2017

      13 한국교육개발원, "제1차 KEDI 미래교육 정책포럼_4차 산업혁명과 미래교육의 변화. CRM 2017-92"

      14 박진해, "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교양기초교육으로서의 수학교육의방향" 27-29, 2017

      15 신동조, "정보영재와 수학영재의 특성 분석 - 과흥분성과 지능을 중심으로 -" 한국영재학회 29 (29): 165-189, 2019

      16 "인성교육진흥법"

      17 "영재교육진흥법"

      18 김래영, "연구 설계 및 연구 방법의 최근 동향: 초·중등 수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14 (14): 395-408, 2012

      19 진미르, "수학교육 연구 논문에서 나타나는 키워드 분석" 35 (35): 512-523, 2019

      20 이슬기, "수학 패턴 유형에 따른 5학년 일반학생과 수학영재학생의주의집중과 주의전환" 한국수학교육학회 22 (22): 1-12, 2019

      21 임영빈, "수학 기반의 융합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나는 초등영재학생의 수학적 사고와 태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39-257, 2019

      22 임영빈, "삼각부등식 개념형성을 위한 문제해결 과정에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수학적 사고와 교사의 역할" 대한수학교육학회 28 (28): 203-220, 2018

      23 최호성, "사회변화에 부응하는 영재성, 영재 판별 및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재개념화와 법 개정 방향의 시사점" 한국영재학회 27 (27): 255-276, 2017

      24 한국과학창의재단, "미래세대 과학교육표준[단계별 수행기대] 개발 연구" 2019

      25 한국과학창의재단, "미래세대 과학교육표준[단계별 수행기대] 개발 연구" 2019

      26 박경빈, "미래사회 영재의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예비 연구 - 현장 영재교사의 인식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20 (20): 681-701, 2010

      27 이영희, "미래교육 관련 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의 방향" 교육연구소 24 (24): 127-153, 2018

      28 나귀수, "미래 시대의 수학교육 방향에 대한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28 (28): 437-478, 2018

      2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재인 정부의 과학영재 성장지원 계획 –제3차[‘18~’22]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안)" 2018

      3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재인 정부의 과학영재 성장지원 계획 –제3차[‘18~’22]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안)" 2018

      31 최항섭, "레비의 집단지성: 대중지성을 넘어 전문가지성의 가능성 모색"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6 (26): 287-322, 2009

      32 한국교육개발원, "국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초·중학교 수학"

      33 김환남, "과학영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대한 교사와 학생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241-1250, 2012

      34 이지원, "과학영재들은 협업적 문제해결과정에서 무엇을 공유하는가?" 한국영재학회 23 (23): 1099-1115, 2013

      35 이용률, "과제와 문제" 16 : 29-30, 2015

      36 전종희, "공과대학 대학원에서의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양상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1-34, 2013

      37 홍진곤, "思考口述法을 이용한 數學 英才의 思考 特性 硏究" 대한수학교육학회 19 (19): 565-584, 2009

      38 조상식,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 교육의 과제" 6 (6): 152-185, 2016

      39 김다원, "‌개인별 책무성 강화에 따른 협력학습의 긍정적 상호 의존성 효과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485-515, 2014

      40 Gravemeijer, K, "What Mathematics Education May Prepare Students for the Society of the Future?" 15 : 105-123, 2017

      41 Polymath, D. H. J., "The"bounded gaps between primes"Polymath project : A retrospective analysis" 94 : 13-23, 2014

      42 OECD,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43 Csikszentmihalyi, M, "Optimal experience" Harper and Row 1990

      44 World Economic Forum, "New vision for education: Unlock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World Economic Forum 2015

      45 Locke, E. A., "Goal setting and task performance: 19"

      46 UNESC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and learning objectives"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15

      47 Yitang Zhang, "Bounded gaps between primes" 179 (179): 1121-1174, 2014

      48 양지선, "Bloom의 신교육목표 분류체계에 기초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요구하는 지식과 역량 분석: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가정과 성취기준을 대상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0 (30): 129-149, 2018

      49 김진형,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21-29, 2016

      50 김진형,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21-29, 2016

      51 최지웅, "4차 산업혁명이 다가온 미래 사회의 수학교육 동향 고찰" 10 (10): 59-72, 2017

      52 최은미, "4차 산업혁명에서의 STEAM과 기초수학 교육의 방향 연구" 22-26, 2017

      53 조헌국,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미래사회와 교육환경의 변화, 그리고 초·중등 과학교육의 과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6 (36): 286-301, 2017

      54 한국정보화진흥원,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55 한국정보화진흥원, "4차 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의 정책과제 100선"

      56 류태호,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4-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부산경남수학회 -> 영남수학회
      영문명 : The Busan Gyeongnam Mathematical Society -> Youngnam Mathematical Societ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4 0.14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3 0.12 0.30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