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식민지 주민 동원의 유산과 변용 = The Remains and Transformation of the Residents Mobilization System developed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18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d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 of semiofficial residents'organizations in urban towns and rural villages from 1910's to 1970's. Former studies on this subject did not take account of the temporal and spatial continuity. However, this study tried to comprehend synthet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organizations in urban towns and rural villages,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mobilization of residents was based on the area named 'mauel', 'chollak' and 'dong', which are traditional self-governing communities. The state power - the colonial authorities and the Korean government - tried to make the best use of the energy inherent in traditional communities.
      Both the Rural Development Society(Nongchon Jinheunghoi) in farming area and the Town Residents Society(Jeonghoi) in urban area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were the systems which used the traditional self government power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This system resulted in promoting the efficiency of governance. As it played important roles in minimizing residents'resistance against colonial authorities and redeeming financial and human shortages for administration by mobilizing the traditional community customs and native volunteer elites. This residents mobilization system developed in the colonial period did not collapse after the 1945's independence. It was reformed for the purpose of anticommunism. The emergence of the Cold War and the divided states prevented the new government from clearing away the remains of Japanese colonialism, and allowed it to justify maintaining and reforming them. The New Village Movement(Saemaeal Undong) known as the best successful residents' mobilization policy for rural development is based on the remains of the colonial mobilization system.
      번역하기

      This research examined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 of semiofficial residents'organizations in urban towns and rural villages from 1910's to 1970's. Former studies on this subject did not take account of the temporal and spatial continuity. However, ...

      This research examined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 of semiofficial residents'organizations in urban towns and rural villages from 1910's to 1970's. Former studies on this subject did not take account of the temporal and spatial continuity. However, this study tried to comprehend synthet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organizations in urban towns and rural villages,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mobilization of residents was based on the area named 'mauel', 'chollak' and 'dong', which are traditional self-governing communities. The state power - the colonial authorities and the Korean government - tried to make the best use of the energy inherent in traditional communities.
      Both the Rural Development Society(Nongchon Jinheunghoi) in farming area and the Town Residents Society(Jeonghoi) in urban area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were the systems which used the traditional self government power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This system resulted in promoting the efficiency of governance. As it played important roles in minimizing residents'resistance against colonial authorities and redeeming financial and human shortages for administration by mobilizing the traditional community customs and native volunteer elites. This residents mobilization system developed in the colonial period did not collapse after the 1945's independence. It was reformed for the purpose of anticommunism. The emergence of the Cold War and the divided states prevented the new government from clearing away the remains of Japanese colonialism, and allowed it to justify maintaining and reforming them. The New Village Movement(Saemaeal Undong) known as the best successful residents' mobilization policy for rural development is based on the remains of the colonial mobilization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191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농촌과 도시 지역에서 마을을 단위로 결성된 반관반민의 주민조직의 역사적 성격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이 분야는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져온 영역이다. 그러나 식민지시기와 해방이후, 농촌과 도시가 분절적으로 다루어졌다. 이 연구는 해방이전과 이후, 그리고 도시와농촌에서 이루어진 주민동원의 실태를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 일반적 구조에 주목하였다. 농촌과 도시의 주민동원의 근간이 된 단위는 마을과 동이었다. 이단위는 전통적으로 주민들의 자율적인 자치가 이루어진 구역이었다. 국가권력은이러한 자치공간의 활력을 통치에 적극적으로 포섭하였다. 농촌마을의 구장제도․농촌진흥회조직이나 대도시에서 시행된 정회조직은 모두 전통시대부터 존재한 주민들의 자치관행을 포섭한 것이다. 자율성이 발현되는 구역을 동원의 거점으로 삼아 지역사회의 자원을 지배에 활용한 것이 동원체제의 특징이다. 식민지 국가는이를 통해 주민사회에 대한 통치의 효율성을 높이고 미비한 행정력을 보완하고자했다. 식민지 시기에 마련된 이러한 동원체제는 해방이후에도 연속되었다. 한국현대사에서 가장 성공적인 주민동원의 사례인 새마을운동 역시 이러한 주민동원체제에 기반하고 있다. 일제시기 농촌진흥운동이나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성공요인에는 마을의 자발성의 활용과 통제라는 동일한 동원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 동원의 구조 아래에는 마을의 발전을 위해 헌신하면서 또한 국가의 지배체제를 보완한 마을 엘리트들이 자리잡고 있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191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농촌과 도시 지역에서 마을을 단위로 결성된 반관반민의 주민조직의 역사적 성격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이 분야는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져...

      이 연구는 191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농촌과 도시 지역에서 마을을 단위로 결성된 반관반민의 주민조직의 역사적 성격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이 분야는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져온 영역이다. 그러나 식민지시기와 해방이후, 농촌과 도시가 분절적으로 다루어졌다. 이 연구는 해방이전과 이후, 그리고 도시와농촌에서 이루어진 주민동원의 실태를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 일반적 구조에 주목하였다. 농촌과 도시의 주민동원의 근간이 된 단위는 마을과 동이었다. 이단위는 전통적으로 주민들의 자율적인 자치가 이루어진 구역이었다. 국가권력은이러한 자치공간의 활력을 통치에 적극적으로 포섭하였다. 농촌마을의 구장제도․농촌진흥회조직이나 대도시에서 시행된 정회조직은 모두 전통시대부터 존재한 주민들의 자치관행을 포섭한 것이다. 자율성이 발현되는 구역을 동원의 거점으로 삼아 지역사회의 자원을 지배에 활용한 것이 동원체제의 특징이다. 식민지 국가는이를 통해 주민사회에 대한 통치의 효율성을 높이고 미비한 행정력을 보완하고자했다. 식민지 시기에 마련된 이러한 동원체제는 해방이후에도 연속되었다. 한국현대사에서 가장 성공적인 주민동원의 사례인 새마을운동 역시 이러한 주민동원체제에 기반하고 있다. 일제시기 농촌진흥운동이나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성공요인에는 마을의 자발성의 활용과 통제라는 동일한 동원의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 동원의 구조 아래에는 마을의 발전을 위해 헌신하면서 또한 국가의 지배체제를 보완한 마을 엘리트들이 자리잡고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미, "해방 이후 주민등록제도의 변천과 그 성격 ―한국 주민등록증의 역사적 연원―" 한국사연구회 (136) : 287-323, 2007

      2 손정목, "한국지방제도․자치사연구(상)" 일지사 1992

      3 황인정, "한국의 종합농촌개발 : 새마을운동의 평가와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0

      4 윤해동, "지배와 자치 : 식민지기 촌락의 삼국면구조" 역사비평사 2006

      5 김민철, "조선총독부의 촌락지배와 촌락사회의 대응 : 1930~40년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6 김경일, "조선말에서 일제하의 농촌사회의 ‘洞契’에 관한 연구" 35 : 1984

      7 최병택, "일제하 조선임야조사사업과 산림 정책" 푸른역사 2009

      8 김영희, "일제시대 농촌통제정책 연구" 경인문화사 2003

      9 권태환, "서울의 전통 이해"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1997

      10 염복규, "서울은 어떻게 계획되었는가" 살림출판사 2005

      1 김영미, "해방 이후 주민등록제도의 변천과 그 성격 ―한국 주민등록증의 역사적 연원―" 한국사연구회 (136) : 287-323, 2007

      2 손정목, "한국지방제도․자치사연구(상)" 일지사 1992

      3 황인정, "한국의 종합농촌개발 : 새마을운동의 평가와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0

      4 윤해동, "지배와 자치 : 식민지기 촌락의 삼국면구조" 역사비평사 2006

      5 김민철, "조선총독부의 촌락지배와 촌락사회의 대응 : 1930~40년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6 김경일, "조선말에서 일제하의 농촌사회의 ‘洞契’에 관한 연구" 35 : 1984

      7 최병택, "일제하 조선임야조사사업과 산림 정책" 푸른역사 2009

      8 김영희, "일제시대 농촌통제정책 연구" 경인문화사 2003

      9 권태환, "서울의 전통 이해"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1997

      10 염복규, "서울은 어떻게 계획되었는가" 살림출판사 2005

      11 최길성, "새마을운동과 농촌진흥운동" 죽당 이현희 교수 화갑기념 한국사학논총 1996

      12 김영모, "새마을운동 연구" 고헌 출판부 2003

      13 김영미, "동원과 저항 : 해방 전후 서울의 주민사회사" 푸른역사 2009

      14 민상기, "농민의 새마을운동 참여와 마을 공동체의식" 3 (3): 1980

      15 제임스 스콧(James C. Scott), "농민의 도덕경제 - 동남아시아의 반란과 생계" 아르케 1994

      16 김영미, "그들의 새마을운동" 푸른역사 2009

      17 임승빈, "日本 地域社會에 있어 傳統的 住民組織의 役割" 12 (12): 1997

      18 경성부, "京城彙報"

      19 경성부, "京城府史 제3권"

      20 경성부, "京城府史 제2권"

      21 김제정, "1930년대 초반 京城 지역 전기사업 府營化운동" 43 : 2000

      22 조선매일신보사, "(안내)大京城"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A Laboratory of Korean Studies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8 0.55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