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영미, "해방 이후 주민등록제도의 변천과 그 성격 ―한국 주민등록증의 역사적 연원―" 한국사연구회 (136) : 287-323, 2007
2 손정목, "한국지방제도․자치사연구(상)" 일지사 1992
3 황인정, "한국의 종합농촌개발 : 새마을운동의 평가와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0
4 윤해동, "지배와 자치 : 식민지기 촌락의 삼국면구조" 역사비평사 2006
5 김민철, "조선총독부의 촌락지배와 촌락사회의 대응 : 1930~40년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6 김경일, "조선말에서 일제하의 농촌사회의 ‘洞契’에 관한 연구" 35 : 1984
7 최병택, "일제하 조선임야조사사업과 산림 정책" 푸른역사 2009
8 김영희, "일제시대 농촌통제정책 연구" 경인문화사 2003
9 권태환, "서울의 전통 이해"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1997
10 염복규, "서울은 어떻게 계획되었는가" 살림출판사 2005
1 김영미, "해방 이후 주민등록제도의 변천과 그 성격 ―한국 주민등록증의 역사적 연원―" 한국사연구회 (136) : 287-323, 2007
2 손정목, "한국지방제도․자치사연구(상)" 일지사 1992
3 황인정, "한국의 종합농촌개발 : 새마을운동의 평가와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0
4 윤해동, "지배와 자치 : 식민지기 촌락의 삼국면구조" 역사비평사 2006
5 김민철, "조선총독부의 촌락지배와 촌락사회의 대응 : 1930~40년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6 김경일, "조선말에서 일제하의 농촌사회의 ‘洞契’에 관한 연구" 35 : 1984
7 최병택, "일제하 조선임야조사사업과 산림 정책" 푸른역사 2009
8 김영희, "일제시대 농촌통제정책 연구" 경인문화사 2003
9 권태환, "서울의 전통 이해"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1997
10 염복규, "서울은 어떻게 계획되었는가" 살림출판사 2005
11 최길성, "새마을운동과 농촌진흥운동" 죽당 이현희 교수 화갑기념 한국사학논총 1996
12 김영모, "새마을운동 연구" 고헌 출판부 2003
13 김영미, "동원과 저항 : 해방 전후 서울의 주민사회사" 푸른역사 2009
14 민상기, "농민의 새마을운동 참여와 마을 공동체의식" 3 (3): 1980
15 제임스 스콧(James C. Scott), "농민의 도덕경제 - 동남아시아의 반란과 생계" 아르케 1994
16 김영미, "그들의 새마을운동" 푸른역사 2009
17 임승빈, "日本 地域社會에 있어 傳統的 住民組織의 役割" 12 (12): 1997
18 경성부, "京城彙報"
19 경성부, "京城府史 제3권"
20 경성부, "京城府史 제2권"
21 김제정, "1930년대 초반 京城 지역 전기사업 府營化운동" 43 : 2000
22 조선매일신보사, "(안내)大京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