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람이 모든 분야에 능통할 수 없지만, 모든 사람과 소통할 수 있다. 공감과 소통을 통한 창조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독창성보다 협창성이 창조의 중요한 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45162
2010
Korean
639
학술저널
48-80(3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 사람이 모든 분야에 능통할 수 없지만, 모든 사람과 소통할 수 있다. 공감과 소통을 통한 창조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독창성보다 협창성이 창조의 중요한 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소...
한 사람이 모든 분야에 능통할 수 없지만, 모든 사람과 소통할 수 있다. 공감과 소통을 통한 창조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독창성보다 협창성이 창조의 중요한 분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를 활용해서 전문분야를 넘어서는 다양한 소통이 이루어지면서 집단지성을 활용한 다학제적 융합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소셜미디어 기반 집단지성을 활용하여 협동의 창의성을 꽃피울 수 있는 다학제적 융합방법을 모색해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en though one cannot be proficient in all areas, but can communicate with all people. As we focus on the creative need through sympathy and communication, the “collaborative creativity” rather than “unilateral originality” is rising up as an...
Even though one cannot be proficient in all areas, but can communicate with all people. As we focus on the creative need through sympathy and communication, the “collaborative creativity” rather than “unilateral originality” is rising up as an important sphere of creation. Especially as we are now experiencing a various types and contents of the communication beyond the boundaries of each specialized field, through the use of social media, the possibility of multi-discipline fusion applied by the collective intelligence is going higher. In this paper we will search for the possibilities and methodologies of the multidiscipline fusion, in which the collaborative creativity can bloom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based on social media.
[INTRODUCTION] 디자인 사고를 통한 다학제 프로젝트 실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