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대학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치아우식활성검사 비교조사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Activation Test of Dental Caries on Survey of Female Students in K Colle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50002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치아우식증 발생요인 중 타액요인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타액분비율, 타액점조도, 타액완충능, 스나이더, 구강내 포도당잔류검사를 조사하였으며, 특히 20내 남성의 치아우식...

      본 연구는 치아우식증 발생요인 중 타액요인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타액분비율, 타액점조도, 타액완충능, 스나이더, 구강내 포도당잔류검사를 조사하였으며, 특히 20내 남성의 치아우식증 발생요인에 대한 연구자료와 타액분비율과 타액내 pH 변화에 대한 조사 및 스나이더검사 간의 임상적 비교 조사 등의 연구를 통하여 자료를 비교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구강내 포도당잔류검사를 조사한 결과 등 수종의 실험연구의 경험적 연구 결과를 가지고, 한국의 여대생들과 상호관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여대생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분석으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조사대상자의 우식치아 수는 평균 3.23개로 조사되었고, 발거치아는 0.22개로 조사되었으며, 충전치아는 5.06개로 나타났다.
      2. 전체 조사대상자의 평균 영구치 우식경험치아는 8.52개로 조사되었고, 평균 완충능력은 10.54로 나타났다.
      3. 구강내 포도당잔류시간을 측정한 결과 평균 12.36 분으로 조사되었다.
      4. 스나이더 검사방법 결과 조사대상자의 평균 치아우식활성 정도는 35.43 시간으로 판정기준에 의하여 중등도 활성으로 나타났다.
      5. 자극성 타액분비량 및 타액점조도와 진행중인 치아우식증 보유집단과 집단간의 비교에서는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P<0.01).
      6. 비자극성 타액분비량, 자극성 타액분비량 및 구강내 포도당잔류시간 측정검사와 치아우식활성집단간에는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P<0.01).
      7. 타액점조도에서도 치아우식활성집단간에는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P<0.05).
      이와 같은 절과를 볼 때, 향후 연구논제에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기초조사로 조사되는 연령군인 12세 아동의 치아우식증과 치아우식활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다면 치아우식증 발생요인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saliva flow rate, saliva buffer capacity, snyder test, glucose residuum test in the oral cavity in order to analyze 'saliva factor' intensively among the causing factor of dental caries. Especially through stud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saliva flow rate, saliva buffer capacity, snyder test, glucose residuum test in the oral cavity in order to analyze 'saliva factor' intensively among the causing factor of dental caries. Especially through study data on causing factor of dental caries in male twenties, examination on pH changing rate in the saliva and saliva flow rate, clinical comparative study between Snyder tests, we have made a comparative analysis. Also, based on many kinds of exparimental study results from examination on glucose residuum test in the oral cavity, etc, we have intention to analyze comparatively interactive relationship of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160 female college students, and we verified the confidence of our study data by the frequency, centesim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mong the total subjects, the average of caries teeth were 3.23, extracted teeth 0.22, filling teeth 5.06.
      2. Among the total subjects, the average of permanent teeth with experience of dental caries were 8.52, average buffering capacity 10.54.
      3. The average minutes of glucose residual time in the oral cavity were examined 12.36 minutes.
      4. On the result of Snyder examination method, the average activative degrees of dental caries were 35.43 hours rated medium level by the standard of decision.
      5. There are some differencies between stimulative saliva flow, saliva adherence degree and the group of dental caries in progress.
      6. There are significant results between non-stimulative saliva secretion, stimulative saliva flow, glucose remaining time test in the oral cavity and the group of dental caries in activation.
      7. There are significant results between groups of dental caries in activation about saliva adherence degree.
      According to the results, if there is any effort in the future study them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12 year-old children's dental caries whose age WHO has made a basic surveying subject and activation of dental canes, we can present the causing factor of dental caries concretel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