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표는 인도의 3대 민족 종교로 꼽히는 자이나교, 불교, 힌두교를 논의의 중심으로 삼고, 각각의 종교에서 규정하고 있는 음식에 대한 원칙 또는 관습이 어떠한지를 먼저 조사하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2022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표는 인도의 3대 민족 종교로 꼽히는 자이나교, 불교, 힌두교를 논의의 중심으로 삼고, 각각의 종교에서 규정하고 있는 음식에 대한 원칙 또는 관습이 어떠한지를 먼저 조사하며...
본 연구의 목표는 인도의 3대 민족 종교로 꼽히는 자이나교, 불교, 힌두교를 논의의 중심으로 삼고, 각각의 종교에서 규정하고 있는 음식에 대한 원칙 또는 관습이 어떠한지를 먼저 조사하며, 그에 대한 특징적인 에스노그라피(Ethnography)적 이유와 배경을 연구한 뒤 각 종교별 심신 수행의 기제 이론을 정립하는 것을 1차 목표로 삼는다. 그런 연후에 3대 종교를 통합한 인도 종교 특유의 심신 수행론과 음식관을 도출해 내는 것을 2차 목표로 삼고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연구의 주제를 세 종교로 압축한 이유는 일단 자이나교와 불교는 슈라마나 전통을 대표하는 출가 중심의 종교이다. 출가 생활을 기본 골조로 하여 이상적인 인간 삶의 전범(典範)으로 삼고 있는 종교이기에 식생활의 문제는 매우 소홀히 하였고 걸식 위주의 식생활 원칙을 넘어서 단식하는 것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는 교단이다.
힌두교는 두말할 것도 없이 인도를 대표하는 제1종교이지만, 사실상 그 뿌리는 브라마나 전통이라 하여 재가 중심의 종교인 동시에 본래 미식(美食)을 풍요롭게 즐기는 일상식(日常食)을 토대로 한 종교 문화를 오랜 세월 동안 지속해 왔다. 그러나 슈라마나 종교의 이상인 불살생주의와 고행주의의 영향을 받아서 진전된 종파를 형성한 것이 힌두교라 불리는 인도 민족 종교이다. 따라서 브라마나교의 전통이 힌두교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요가를 전면에 내세우고 수행 전통을 수립하였는데 그와 더불어 식생활 원칙은 슈라마나 전통과 사뭇 다르며 매우 특이한 문화 구조를 형성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밝혀 낼 세 종교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2천 년 이상 지속되어온 인도 종교 문화의 변천사 가운데 음식과 수행, 심신 등을 핵심어로 삼아서 논증하고 이론 도출을 시도하고자 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수행될 각 연구 분야 별 중점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이나교 부문의 1차 논문 주제는 자이나교의 금기 식품과 철학적 배경 연구이며, 2차 논문 주제는 자이나교의 단식(斷食) 수행 의례와 심신 정화 연구에 대한 것이다.
불교 부문의 1차 논문 주제는 사분율(四分律)에 나타난 미식(美食) 개념과 수행자의 음식 규정 연구이며, 2차 논문 주제는 선견율비바사(善見律毘婆沙)에 나타난 음식과 공양(供養)의 관계 분석에 대한 것이다.
힌두교 부문의 1차 논문 주제는 고행주의적 힌두 수행 전통과 음식의 관계이고, 2차 논문 주제는 식이(食餌) 체계에 따른 요가 수행자의 심신 상관성 연구이다.
이상의 연구를 마치고 3종교 부문 연구 성과를 통합하여, 연구 3인 공동 종합 논문 주제로서 인도 종교의 심신 수행과 음식의 기제 이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다양한 접근과 연구 결과로 취합된 인도 3대 종교의 음식관을 통해서 하나로 연결된 공통적인 부분을 끌어내고자 한다. 수행 문화가 투철한 세 종교 전통에서 몸과 마음에 영향을 주는 음식과 그 기제 방식을 연구하여 최종적으로 인도 종교의 음식 이론을 정립해 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