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일부 궤도 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NIOSH 정의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증상유병율을 파악하고 관련요인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근골격계질환 증상유병율에 대한 설문지 조사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299910
2006
Korean
530
학술저널
29-33(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일부 궤도 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NIOSH 정의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증상유병율을 파악하고 관련요인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근골격계질환 증상유병율에 대한 설문지 조사는 ...
본 연구는 국내 일부 궤도 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NIOSH 정의에 따른 근골격계질환 증상유병율을 파악하고 관련요인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근골격계질환 증상유병율에 대한 설문지 조사는 NIOSH 근골격계질환의 질병기준과 한국산업안전공단의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표를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근골격계질환 증상에 관한 설문지는 각 부서에 총 6,463부가 배포되었으며 4,701부(72.7%)가 회수되었다. NIOSH 기준(기준 1)에 해당하는 호소자는 2,239명(47.6%)이었고, NIOSH 기준과 중간 통증 이상(기준 2)에 해당하는 호소자는 1,479명(31.5%), NIOSH 기준과 심한 통증 이상(기준 3)에 해당하는 호소자는 492명(10.5%)으로 조사되었다. 근골격계질환 증상유병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이 30세 ~ 39세, 여성, 역무, 승무, 시설, 전기설비 등의 부서, 교번제 근무자, 시간외 근무, 협소한 작업환경, 온도가 낮은 작업환경, 진동이 노출되는 작업환경, 고정된 작업자세, 반복동작을 취하는 자세, 반복적으로 눌리거나 누르는 자세,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직무요구도, 직무불안정성, 직장문화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궤도산업 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 문제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인간공학, 의학적인 측면과 더불어 다양한 관련요인들을 분석 조정하여 효과적인 예방관리프로그램을 수립 및 실행해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Ankle Foot Orthosis(AFO) 착용 시 발목관절의 운동범위에 따른 발/발목 복합체의 Roll-Over 특성
T&T olfactometer를 활용한 한국 노인의 후각 역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