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남상준, "한국근대 지리교육의 교육사조적 이해" 1 (1): 3-28, 1993
2 강선주, "캘리포니아 역사-사회과학 틀을 중심으로 본 최근 미국의 사회과 내용 구성 방향" 40 : 5-26, 2001
3 이희연, "지리학사" 법문사 2005
4 권용우, "지리학사" 한울아카데미 2001
5 서태열, "지리교육학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05
6 서태열, "지리교육과정의 내용구성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3
7 박선미, "지리교육 목표와 내용의 국제 비교" 10 : 209-233, 2004
8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 국어, 도덕, 사회" 259-388, 2008
9 최원회,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사고 관련 내용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5 (15): 1-36, 2007
10 최원회, "제 7차 사회과 교육과정 사회 교과서의 체제 및 내용 분석: 지리 영역을 중심으로" 1 : 141-158, 2007
1 남상준, "한국근대 지리교육의 교육사조적 이해" 1 (1): 3-28, 1993
2 강선주, "캘리포니아 역사-사회과학 틀을 중심으로 본 최근 미국의 사회과 내용 구성 방향" 40 : 5-26, 2001
3 이희연, "지리학사" 법문사 2005
4 권용우, "지리학사" 한울아카데미 2001
5 서태열, "지리교육학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05
6 서태열, "지리교육과정의 내용구성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3
7 박선미, "지리교육 목표와 내용의 국제 비교" 10 : 209-233, 2004
8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 국어, 도덕, 사회" 259-388, 2008
9 최원회,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사고 관련 내용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5 (15): 1-36, 2007
10 최원회, "제 7차 사회과 교육과정 사회 교과서의 체제 및 내용 분석: 지리 영역을 중심으로" 1 : 141-158, 2007
11 이명희, "일본의 사회과 교육과정" 40 : 89-118, 2001
12 박선미, "일본 중학교에서의 지역학습"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1 (11): 5-66, 2003
13 권용우, "우리국토 바로알기에 관한연구 개발" 국토해양부 2009
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시안) 연구 개발" 2005
15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7
16 구자억, "동서양 주요 국가들의 교육" 문음사 1999
17 김창환, "독일의 사회과 교육" 40 : 58-88, 2001
18 정종진, "뉴질랜드의 교육" 교육과학사 1998
19 권혁재, "국토지리: 왜 비워야 하나?" 26 (26): 253-258, 1991
20 허경철, "교육과정·평가 국제비교 연구(IV)" 한국교육평가원 2002
21 박순경, "교육과정·교육평가 국제비교 연구(III)" 2001
22 소경희, "교육과정·교육평가 국제비교 연구 (II)" 2000
23 박순경, "교육과정, 교육평가 국제 비교연구(III)" 한국교육가정평가원 2001
24 최원회, "교원자격검정 표시과목 공통사회(지리) 및 지리의 기본 이수과목별 주요주제 설정" 42 (42): 469-675, 2007
25 文部, "高等學校習指導要領解設" 總則 1999
26 武村重和, "敎育課程" 國土社 1988
27 要領等の移 措置について, "敎職硏修" 92-99, 1999
28 文部, "小學校, 中學校" 高等學校の學習指導 1999
29 "www.education.gouv.fr/bo/2000/hs6/som.htm"
30 "http://www.kultusministerium.hessen.de/"
31 "http://www.inca.org.uk/"
32 "http://www.gesetze-im-internet.de/bundesrecht/gg/gesamt.pdf"
33 "http://www.geographie.de/vgdh-english/"
34 "http://www.geographie.de/docs/geographie_bildungsstandards"
35 "http://www.det.nsw.edu.au/reports_stats/annual_reports"
36 "http://www.curriculum.edu.au/conference/2001/index.htm"
37 "http://www.cde.ca.gov"
38 "http://www.acaca.org.au/"
39 Thüringer Schulordnung für die Grundschule, "die Regelschule" 22 : 1996
40 DFEE, "The programmes of study for geography i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ngland" 2000
41 U.S. Department of Education, "The federal role in education" Author 2000
42 The New Zealand Curriculum Framework, "The New Zealand Curriculum Framework"
43 Ministry of Education, "Reforming the New Zealand Curriculum: 1980s~90s"
44 New York State Education Department, "Preliminary Draft Framework for Social studies" 1995
45 Thüringer Kultusministerium, "Lehrplan für das Gymnasium: Sozialkunde" Thüringen 1999
46 Californai State Board of Education, "History-Social Sience Framework" 2000
47 GESP, "Geography for Life: National Geography Standards, National Geographic Research & Exploration" 1994
48 Groupes techniques disciplinaires, "Calendrier des travaux de GTD. Ministère de l’Education nationale, 1796~2002, Organismes directement rattachés au ministre. Senatsverwaltung für Schule, Berufsbildung und Sport: Vorläufige Rahmenplan für Unterricht und Erziehung in der Berliner Schule: Grundschule/Klassen 1 bis 6" Fach Mathematik 2002
49 Ministere de 1’Education, "Bullletin Officiel de 1’Education Nationale BO" 2000
50 Conselil national des programmes, "Avis du Conseil national des programmes sur les projets de programmes pour l’école primaire" 1-35, 2001
51 정영근, "2009 교육과정·교육평가 국제 동향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자료집"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