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및 목적) 기후와 환경 오염이 심해짐에 따라 시대의 모습을 반영하는 성격을 갖는 전시 파빌리온의 친환경적 특성을 반영하며 그 가치를 더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27686
2023
Korean
전시 파빌리온 ; 친환경 공간 ; 조형성 ; 사회성 ; 체험성 ; Exhibition Pavilions ; Eco-friendly Space Design ; Formative ; Sociality ; Experientiality
KCI등재
학술저널
465-476(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기후와 환경 오염이 심해짐에 따라 시대의 모습을 반영하는 성격을 갖는 전시 파빌리온의 친환경적 특성을 반영하며 그 가치를 더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공...
(연구배경 및 목적) 기후와 환경 오염이 심해짐에 따라 시대의 모습을 반영하는 성격을 갖는 전시 파빌리온의 친환경적 특성을 반영하며 그 가치를 더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공간을 상징적으로 시각화하고 우리가 직면한 미래의 친환경 공간을 경험할 수 있게 하며 그에 따른 전시 파빌리온의 공간적 특성을 연구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연구의 범위는 환경에 대한 전 세계적인 첫 협약인 2015년 파리 기후협약 이후 환경에 대한 경각심이 세계적으로 높아진 상태에서 구축된 전시 파빌리온의 사례 중 친환경 공간 디자인의 특성이 나타나는 사례로 한정하였고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전시 파빌리온과 친환경 공공디자인 개념을 탐구한다. 둘째 전시 파빌리온의 특성과 친환경 공간 디자인의 특성을 바탕으로 전시 파빌리온의 친환경 공간디자인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도출된 사회적, 체험적, 조형적 특성을 토대로 사례 분석한다. 사례는 단편적으로 재료만의 친환경이 아닌 체험과 사회적 관계를 맺음으로 친환경 디자인을 총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사례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세부 내용으로 친환경 재료의 다양한 비교 분석을 위해 플라스틱, 나무, 혁신 재료 등으로 나눠 재료 간의 장단점을 비교하며 사례를 통해 각 구성요소가 어떤 특징으로 관람객에게서 긍정적 인식을 이끌어 내는지 분석한다. (결과) 단순히 친환경적인 재료 사용만으로는 친환경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지는 못하였다. 관람객들에게 공간을 체험하거나 관람객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관계가 형성되고 친환경에 대한 연대를 만들어 낼 때 전시 파빌리온의 친환경 공간디자인을 경험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이는 시각적으로 보이는 전시 공간을 뛰어넘어 관람객의 인식을 바꾸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혁신적인 대안으로 미래의 친환경 공간디자인으로 인식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요소로 보인다. 친환경이 적용된 전시 파빌리온을 통해서 미래 공간을 제시 할 때 친환경 공간 디자인이 환경을 보호하는데 혁신적이고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 연구의 목표는 단순히 재료적인 친환경성을 넘어서, 실질적으로 친환경 디자인을 설득할 사회적, 조형적, 체험적 특성을 반영하여 친환경의 가치를 관람자로 하여금 필요성을 깨닫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시 파빌리온의 친환경 공간 디자인이 적용된 사례 6곳만을 대상으로 진행하여 사례 표본적 한계를 갖고 있다. 향후 본 연구자는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사례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구체화하는 연구를 지속하게 될 것을 기대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민현준, "현대미술관 전시장의 군도형 배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 천하봉, "통합적 친환경디자인과 지속가능제품디자인의 개념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487-495, 2009
3 송영민, "친환경디자인 도입을 위한 제도화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7 (17): 49-58, 2022
4 정은희, "친환경건축인증 공공건축물의 지속가능성 개념에 따른 표현 특성 연구 -국내 친환경건축인증 공공청사를 대상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 (16): 387-396, 2021
5 김정곤 ; 고귀한, "친환경 건축에서 나타나는 랜드스케이프 건축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2 (22): 3-10, 2013
6 박진경 ; 오찬옥, "주거공간 관련 친환경 디자인 요소의 중요도와 선호"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86-94, 2012
7 하숙녕 ; 이정교, "재사용 재료를 적용한 지속가능한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7 (7): 105-115, 2012
8 최수민 ; 김개천, "이벤트성 파빌리온에 나타나는 비일상적 공간 특성 연구-서펜타인 갤러리 파빌리온과 MoMA PS1 YAP 파빌리온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723-733, 2014
9 이민희 ; 황용섭 ; 김주연, "예술작품으로서 파빌리온 건축을 통한 전시공간의 확장에 관한 연구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179-190, 2017
10 최은신, "엑스포 파빌리온에서 감성 디자인 표현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2 (22): 587-598, 2016
1 민현준, "현대미술관 전시장의 군도형 배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 천하봉, "통합적 친환경디자인과 지속가능제품디자인의 개념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487-495, 2009
3 송영민, "친환경디자인 도입을 위한 제도화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7 (17): 49-58, 2022
4 정은희, "친환경건축인증 공공건축물의 지속가능성 개념에 따른 표현 특성 연구 -국내 친환경건축인증 공공청사를 대상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 (16): 387-396, 2021
5 김정곤 ; 고귀한, "친환경 건축에서 나타나는 랜드스케이프 건축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2 (22): 3-10, 2013
6 박진경 ; 오찬옥, "주거공간 관련 친환경 디자인 요소의 중요도와 선호"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86-94, 2012
7 하숙녕 ; 이정교, "재사용 재료를 적용한 지속가능한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7 (7): 105-115, 2012
8 최수민 ; 김개천, "이벤트성 파빌리온에 나타나는 비일상적 공간 특성 연구-서펜타인 갤러리 파빌리온과 MoMA PS1 YAP 파빌리온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723-733, 2014
9 이민희 ; 황용섭 ; 김주연, "예술작품으로서 파빌리온 건축을 통한 전시공간의 확장에 관한 연구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2 (12): 179-190, 2017
10 최은신, "엑스포 파빌리온에서 감성 디자인 표현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2 (22): 587-598, 2016
11 김경진 ; 이경진, "엑스포 파빌리온 공간개념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상하이 엑스포 전시테마와 공간적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 (20): 33-40, 2011
12 김지혜, "소통의 장으로서의 미술관 아트 파빌리온에 관한 연구 : 서펜타인 갤러리 파빌리온과 MOMA PS1 파빌리온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3
13 김미정 ; 이찬, "서펜타인 갤러리 파빌리온에 나타난 표현주의적 특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9 (9): 195-207, 2014
14 백승경 ; 김주연 ; 이승훈, "도시화에 따른 공공공간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8 (18): 158-165, 2009
15 두보위 ; 홍관선, "가변형 아트 파빌리온 공간 표현특성에 관한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9 (19): 23-34, 2019
16 Lee, Minhee, "Study on the Expansion of Aesthetic Spatial Experience through of Pavilion"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8
17 Kim, Siwon, "A study on the sustainable design methods of eco expo pavilions" Konk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1
18 Suh, Wonduk, "A Study on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Application of Intelligent Skin Design in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Kyungpook Natia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7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를 위한 커뮤니티 공용 공간의 고령 친화 디자인에 관한 연구 -상하이 도심 지역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스마트 모빌리티 기반, 모터쇼 전시디자인 요구기준에 관한 연구
공간구문론을 통한 천안시 성환읍 공간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역사 도시의 정체성을 표현한 공공조형물 평가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