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엔트로피합금은 구조용 강재를 대체할 수 있는 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신재료인 고엔트로피합금의 강도 및 극저온/고온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69525
2021
Korean
학술저널
150-150(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고엔트로피합금은 구조용 강재를 대체할 수 있는 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신재료인 고엔트로피합금의 강도 및 극저온/고온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상...
최근 고엔트로피합금은 구조용 강재를 대체할 수 있는 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신재료인 고엔트로피합금의 강도 및 극저온/고온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상용화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용접성 평가과 관련된 연구는 현저하게 부족한 실정이다. 고엔트로피합금의 용접성과 관련된 연구는 LBW 및 FSW 등의 저입열 용접에서 주로 수행되었으나, 최근에는 고입열 용접인 GTAW를 통한 연구도 발표되고 있다. 특히, CoCrFeMnNi 고엔트로피합금에서는 용접열에 의한 상변태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용접부의 각 영역별(BM/HAZ/WM) 결정립도가 용접성을 결정한다. 용접 시, 용접열에 의해 WM의 결정립도가 모재보다 조대화되어 인장파단이 WM에서 발생되므로 용접부의 강화를 위하여 WM의 결정립도를 미세화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용접부의 결정립 미세화를 위하여 Cu가 대체된 고인트로피합금 용접재료를 개발하여 용접성을 평가하였다. Cu-rich phases의 생성으로 인하여 CuCrFeMnNi 용접부의 결정립도 보다 CoCrFeMnNi 용접부의 결정립도가 더 미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기계적 특성 또한 CuCrFeMnNi 용접부가 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마이크로 LED 다기능 접합 소재용 고열전도도 필러 소재 기술
Study for J-integral analysis with re-distributed residual stress by cutting in welded pi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