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 초기 산수화 연구 = A study on Landscape Painting in Early Chosu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93357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대구대학교,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대구대학교 , 미술디자인학과 회화전공 , 2008. 2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조선 초기 산수화

      • DDC

        산수화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54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인숙

      • 소장기관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osun dynasty (1392-1910) was the era of Korean art. The painting in Chosun dynasty showed a variety of aspects according to different era and artist, and may be divided into 4 different stages. The early stage may be from 1392 to 1550, mid stage may...

      Chosun dynasty (1392-1910) was the era of Korean art. The painting in Chosun dynasty showed a variety of aspects according to different era and artist, and may be divided into 4 different stages. The early stage may be from 1392 to 1550, mid stage may be from 1550 to 1700, later stage may be from 1700 to 1850 and the last stage may be from 1850 to 1910.
      The early Chosun's painting adopted Chinese painting style, which were accumulated during Koryu dynasty and there was an active relationship with Myung dynasty in China relevant to painting. It adopted the style of Buksong's Gwakhee and produced Chosun's own style called Ahngyun, which was popular among painters, and Wonche style and Jeolpa style were introduced, and Mahapa of Namsong style of painting was introduced by Lee, Sang-Jwa, and the landscape style which was evident in the paintings of Lee, Jang-Son and Seo, Mun-Bo was introduced. Chosun adopted Chinese paintings selectively and produced its own style of painting.
      Many different painting style was introduced in early Chosun dynasty. This thesis wishes to show the different painting styles such as Lee-Gwak, Wonche of Namsong, Jeolpa and Mibub painting style.
      In the chapter 2, the noble man's, who was the main influence of the foundation of Chosun dynasty, characteristic and their role for landscape paintings in early Chosun dynasty are examined. In the chapter 3, above 5 painting styles are examined. In the chapter 4, Ahn Gyun's <Mongyudo wondo>, <Sasipalgyungdo>, <Sosang palgyungdo>, which represent the early Chosun's landscape paintings, and Lee, Sang-Jwa's <Songhabo Wordo>, which represents the Wonche of Namsong's painting style, Kang, Hee-Ahn's <Gosagwansudo>, which shows the Jeolpa style and <Sansudo>, which shows the 16th Century's Ahn Gyun's painting style are examined.
      The trend of artists in early Chosun dynasty was examined through works and records and explored the life and artists in early Chosun dynasty to examine Lee Gwak, Maha, Mibub landscape, Jeol and Myung dynasty's Wonche painting style.
      Artists from Chosun showed a strong traditionalism. This was evident after analyzing chapter 2, the background of the era, and 3.the trend of early Chosun artists. This trend became more clear in 16th Century. Artists after early 16th Century succeeded the painting style from 15th Century, and they were less influenced by the painting style of Myung dynasty of China and this may be regarded as a good example. The early Chosun's artists were able to produce their own painting style with their own sense of beauty, traditionalism and their careful adoption of Chinese painting style.
      In the chapter 3, <Mongyudo wondo>, which represents the landscape painting in early Chisun dynasty, and he, as mentioned previously, adopted Lee Gwak's style and produced his own style later. His character is evident in his work of <Mongyudo wondo> and <Sasipalgyungdo>.
      Several mountains and hills are combined to form a landscape painting in <Mongyudo wondo>. Each mountain and hill are divided by fog and are integrated to form a landscape. This is a combination of independent mountains and this is evident in many landscape paintings from early Chosun dynasty.
      The composition characteristic of <Sasipalgyungdo> and its space concept is similar to <Mongyudo wondo> and it influenced the artists in later stages. The composition characteristic of <Sasipalgyungdo> by Ahn Gyun was succeeded to artists in 15th Century as well as 16th Century.
      Despite of Ahn Gyun's works, which mainly focused on landscape and less focused on people, <Gosagwansudo> by Kang, Hee-Ahn focused mainly on people and less on landscape. It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Jeolpa's Sogyung landscape and portrait. However the stroke of brush was active and stylish and showed the sense of literature, which characterized such work from works drawn by professional artists. This style was not popular in 15th Century but became popular in mid Chosun dynasty. It was found that Lee, Sang-Jwa's style needed more attention along with Ahn Gyun and Kang, Hee-Ahn's landscape painting from early Chosun dynasty through this study. In chapter 4, Lee, Sang-Jwa adopted Namsong's Mawon style, and this may be proved by his work <Songhabowordo>. There was a hill in the left bottom corner, and there was a tall pine tree on the hill. The conner composition and bent pine trees, and a scholar and a child's appearance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wind under the moon light proved that i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Mawon style of Namsong.
      In early Chosun dynasty, Ahn Gyun's style of paintings based on the Lee Gwak's painting style were popular, and some artists adopted Namsong's Wonche style, Myung dynasty's Jeolpa style or Mibub landscape style, and produced Korean painting style.
      The landscape paintings drawn in early Chosun dynasty, in about 1550, were based on Ahn- Gyun's style and also Namsong's Wonche and Jeolpa style were added to show a different trend from the previous painting style.
      Artists in early Chosun dynasty produced Korean painting style based on the influence of Chinese painting, and Korean painting style was evident in Ahn Gyun's style, and its characteristic was evident in the paintings' composition, space concept, et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미술사상 회화가 가장 발전하였던 때는 조선시대(1392~1910)이다. 조선시대의 회화는 그 시기와 작가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고 있는데, 양식의 변천에 따라 조선시대를 4기...

      한국미술사상 회화가 가장 발전하였던 때는 조선시대(1392~1910)이다. 조선시대의 회화는 그 시기와 작가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면모를 보여주고 있는데, 양식의 변천에 따라 조선시대를 4기로 구분할 수 있다. 초기는 1392년에서 역 1550년까지의 시기이며, 중기는 약 1550년에서 약 1700년까지의 시기, 후기는 역 1700년에서 약 1850년까지의 시기, 말기는 약 1850년에서 약 1910년까지의 시기이다.
      그 중 조선초기의 회화는 고려시대에 축적되었던 중국의 화적(畵跡)이 다수 전승된 이외에 북경을 중심으로 명나라와의 회화교섭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북송의 곽희파 화풍을 받아들여 그것을 우리의 새로운 영식으로 개성있게 창조한 안견파 화풍이 주류를 이루면서, 명대의 원체화풍과 절파 화풍의 유입, 그리고 이상좌에 의한 남송의 마하파류의 화풍이 전개되었고, 이장손과 서문보의 그림에 보이는 미법 산수화풍도 있었다. 중국의 회화를 선별적으로 수용하고 소화하여 독자적인 화풍을 형성하였다.
      이같이 조선 초기에는 여러 가지 화풍들이 수용되고 자리를 잡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화풍들을 이곽파 화풍, 남송 원체화풍, 명대 원체화풍, 절파 화풍, 미법 산수화풍의 5가지를 분류하여 살펴 보고자 한다.
      본론에 있어, Ⅱ장에서는 시대적 배경으로서 조선 건국의 중추적 세력이었던 사대부 계층의 부상 및 성격 그리고 조선 초기 산수화와 관련한 그들의 역할에 관하여 살펴 볼 것이다. 이어서 Ⅲ장에서는 조선 초기 화단의 경향으로서 위에서 얘기한 5가지의 화풍을 각 화풍별로 중국에서의 전개 및 조선이 입후의 변화된 제 양상에 관하여 자세하게 고찰할 것이다. Ⅳ장에서는 조선 초기 산수화를 대표하는 작품으로서 이곽파 화풍을 보여주는 안견의 <몽유도원도>, <사시팔경도>, <소상팔경도>와 남송 원체화풍을 대표하는 이상좌의 <송하보월도>, 그리고 절파화풍을 보여주는 강희안의 <고사관수도>, 16세기 토착화된 안견화풍을 보여주는 <산수도>를 분석해보았다.
      작품과 문헌을 통하여 조선초기의 화단의 경향, 조선 초기 대표적 작가의 생애를 탐구하고 전해지는 작품을 분석하여 이곽파 화풍, 마하파 화풍, 미법산수화풍, 절파 및 명대 원체화풍의 양상을 알아볼 수 있었다.
      본론 Ⅱ장 시대적배경과 본론 Ⅲ장에서 조선 초기 화단의 경향을 연구해 본 결과 조선 초기의 화가들은 대체로 전통주의적인 경향을 강하게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16세기에 접어들면서 더욱 뚜렷해진다. 16세기 전반 이후의 조선왕조 화가들이 이미 확립된 15세기의 한국적 화풍을 적극적으로 계승하고, 동시대적인 중국 명의 화풍에 소극적인 반응을 보였던 점은 그 좋은 본보기이다. 조선 초기의 화가들이 이렇듯 독특한 한국적 화풍을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은 아마도 그들이 지니고 있던 그들 나름의 미의식과 전통주의적 또는 고전주의적 경향, 그리고 중국회화의 조심스럽고 선별적인 수용 태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데서 가능했던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본론 Ⅳ장 작품연구에서는 조선초기의 대표적 산수화인 <몽유도원도>를 가장 먼저 연구하였는데 그는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이곽파 화풍을 수용하여 독자적 세계를 형성한 화원이었는데 그의 화풍상의 특색은 그의 진작(眞作)인 <몽유도원도>와 전칭작품인 《사시팔경도》등에 잘 나타나 있다.
      <몽유도원도>는 몇 무더기의 산과 언덕들이 서로 어울려 하나의 총체적인 산수화를 이루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각 산과 언덕들은 파고드는 안개 때문에 서로 분리된 채 하나의 조화된 산수를 이루고 있다. 이렇게 전체의 경관(景觀)은, 간극없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보다는 거의 독립성을 띤 산군(山群)들이 함께 결합되어 이루어진 종합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색은 조선 초기의 산수화에서 종종 엿볼 수 있다.
      본론 Ⅳ장 작품연구에서 살펴본 《사시팔경도》에 보이는 구도상의 특색과 공간개념은 앞에 논한 <몽유도원도>에도 나타나는 것으로 후대의 화가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안견의 전칭작인 《사시팔경도》에 보이는 구도상의 특색과 공간개념은 15세기는 물론 다음 세기인 16세기 전반기의 화가들에 의해서 계승 발전되었다.
      산수가 위주가 되고 인물이 소극적으로 다루어지던 안견파의 작품들과는 달리, 강희안의 <고사관수도>에서는 반대로 인물이 핵심이 되고 산수는 부수적인 기능을 지니고 있다. 즉 절파계 소경산수인물화(小景山水人物畵)의 한 특색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필치가 활달하고 세련되어 있으며 문기(文氣)가 풍기고 있어서 화원이나 직업화가의 작품과는 큰 차이를 드러낸다. 이러한 절파계의 화풍은 15세기에는 아직 널리 수용되지 못했으나 조선중기에는 크게 유행하였던 것이다. 조선 초기의 산수화에서 안견파 및 강희안의 화풍과 더불어 주목을 요하는 것은 이상좌의 화풍임을 본 논문을 연구하면서 알 수 있었다. 본론 Ⅳ장에서 이상좌는 남송의 마원화풍을 수용하여 대성했던 인물로 여겨지는데, 그러한 추측을 뒷받침 해 주는 것은 그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송하보월도>이다. 왼편 아래 귀퉁이에 언덕이 있고 그 언덕으로부터 장송(長松)이 하늘을 향해 치솟아 있다. 이처럼 한쪽 구석에 무게가 치우쳐 있는 일각 구도(一角構圖)와 굴곡이 심한 소나무, 그리고 바람을 등에 지고 달빛 아래 거니는 선비와 동자(童子)의 모습은 이 <송하보월도>가 남송대 마원의 화풍과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말해 준다.
      조선 초기의 산수화는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이곽파 화풍에 토대를 두고 발전한 안견파 화풍이 가장 널리 유행하였고 그밖에 일부 화가들은 남송의 원체화풍이나 명대의 절파화풍 또는 미법산수 화풍 등을 수용하여 그들 나름대로의 한국적인 화풍을 발전시켰던 것이다.
      대체로 1550년경을 전후해서 조선 초기의 산수화는 안견파 화풍에 토대를 두면서도 남송 원체 화풍이나 절파화풍을 가미하여 그 이전의 화풍과 양식을 달리하는 경향을 띠게 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조선 초기의 화가들은 중국 회화의 영향을 바탕으로 중국회화와는 다른 한국적 화풍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러한 한국적 회화의 특색은 안견파의 화풍에서 특히 두드러지며, 그러한 특색은 구도, 공간개념, 준법 등 여러 면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Ⅱ. 시대적 배경 = 3
      • Ⅲ. 조선초기 화단의 경향 = 5
      • Ⅳ. 작품연구 = 12
      • 1.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 12
      • Ⅰ. 서론 = 1
      • Ⅱ. 시대적 배경 = 3
      • Ⅲ. 조선초기 화단의 경향 = 5
      • Ⅳ. 작품연구 = 12
      • 1.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 = 12
      • 2. <사시팔경도(四時八景圖)> = 18
      • 3. <소상팔경도(瀟湘八景圖) = 24
      • 4. <송하보월도(松下步月圖)> = 32
      • 5.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 = 35
      • 6. <산수도(山水圖)> = 38
      • Ⅴ. 결론 = 41
      • 참고문헌 = 43
      • Abstract = 44
      • 참고도판 = 4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