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1) 이미지 자극간 유사도와 디자인 결과물(아이디어 스케치와 설명글)의 창의성과의 관계 2)이미지 자극의 구상성과 디자인 결과물(아이디어 스케치와 설명글)의 창의성과의 관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77269
201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 이미지 자극간 유사도와 디자인 결과물(아이디어 스케치와 설명글)의 창의성과의 관계 2)이미지 자극의 구상성과 디자인 결과물(아이디어 스케치와 설명글)의 창의성과의 관계 ...
본 연구는 1) 이미지 자극간 유사도와 디자인 결과물(아이디어 스케치와 설명글)의 창의성과의 관계 2)이미지 자극의 구상성과 디자인 결과물(아이디어 스케치와 설명글)의 창의성과의 관계 3)주어진 이미지 자극과 디자인 아이디어 스케치와의 조형적 상관관계를 1차년도에는 개인창작과정에서 2차년도에는 공동창작과정에서 살펴봄으로써 이미지 자극이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에 끼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1차년도(개인창작과정)에는
■ 컨셉쌍과 이미지 자극 선정 - Battig and Montague Category Norms의 분류에 따라 명사쌍을 선정한다. 그들의 분류에서는 명사들의 분류를 ① Four-footed animal ② Kitchen utensil ③ Article of furniture ④ Part of human body ⑤ Fruit ⑥ Weapon ⑦ Carpenter's tool ⑧ Articles of clothing ⑨ Part of building ⑩ Musical Instrument ⑪ Bird ⑫ Type of vehicle ⑬ Toy ⑭ Vegitable ⑮ Insect로 하였다. 선정은 명사와 범주체계가 현재의 우리에게도 낯설지 않은지, 디자인 문제에 적합한 것인지를 기준으로 한다. 그리고 앞서 결정된 명사쌍에 대응하는 이미지 자극은 실험심리학에서 사용하는 표준그림세트인 Snodgrass and Vanderwart의 A Standized Set of 260 picutre: Norms for Name Agreement, Image Agreement, Familiarity, and Visual Complexity에 따라 선정한다.
■ 이미지 자극간 유사도 평정 실험
■ 이미지 자극의 구상도 평정 실험
■ 이미지 자극을 이용한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 실험
■ 디자인 아이디어 산출물의 창의성 측정-디자인 아이디어 스케치와 설명글에 대해 양적분석(아이디어의 개수,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데 걸린 시간)과 질적 분석(아이디어의 다양성, 아이디어의 독창성)을 진행한다. 창의성 측정방법에는 확산적 사고를 측정하는 객관적 측정 방법과 창의적 산출물을 측정하는 주관적 측정 방법(CAT, CPSS)이 있다. 창의적 산출물이란 창의적인 사고과정이나 노력을 통하여 얻게 되는 결과물을 말한다. 디자인과제에는 연산적(algorithmic)인 과제를 제시하는 객관적 측정 방법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정형화되어 있지 않고 분명한 해결방안이 없는 발견적(heuristic) 과제에 대하여 창의적인 수행을 측정하는 주관적 측정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PSS를 국내 실정에 맞게 이를 번안한 ‘한국판 창의적 산물평가 도구(Kim and Lee, 2004)’를 사용하여 아이디어의 창의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그러나 평가자간 일치도를 확보하기 위해 창의성 평가 방법에 대한 좀 더 심화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 개인 창의성 측정-본 연구의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 중 하나로 개인의 창의성을 들 수 있다. 개인 창의성은 TTCT(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을 실시하여 측정한다. TTCT는 Torrance[1966]에 의하여 개발된 심리검사로써, 개인의 확산적 사고 능력을 측정함으로써 개인이 가지고 있는 창의적 능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검사이다. TTCT중 도형검사에서는 그림 구성하기, 도형완성하기, 평행선 완성하기의 문항이 있다.
■ 이미지의 유사도와 구상정도가 디자인 산출물의 창의성에 끼치는 영향 분석
■ 이미지 자극과 디자인 아이디어 스케치의 조형적 상관분석-주어진 이미지 자극과 디자인 결과물인 아이디어 스케치의 형태 일치도와 이미지 구성전략의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자극과 결과물의 조형적 상관관계를 살펴본다.
2차년도(공동창작과정)에는
■ 이미지 자극을 이용한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 실험-2인 협업 환경/ 3인 협업 환경
유사도와 구상정도가 높고 낮음에 따라 분류된 이미지 자극들을 이용하여 공동 창작 과정에서 디자인 아이디어를 스케치하도록 하고 그 아이디어에 대한 설명글을 작성하도록 한다. 특히 공동 창작 과정에서 구성원의 수는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공동 2인 창작 환경, 공동 3인 창작 환경의 경우를 별도로 실험하여 살펴본다.
■ 디자인 아이디어 산출물의 창의성 측정
■ 개인 창의성 측정
■ 이미지의 유사도와 구상정도가 그룹 디자인 산출물의 창의성에 끼치는 영향 분석
■ 이미지 자극과 디자인 아이디어 스케치의 조형적 상관분석
■ 그룹 디자인 프로세스와 결과물의 내용 분석
그룹 디자인 프로세스를 거치면서 변형된 아이디어 스케치와 프로토콜을 엔누보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이미지 자극의 유사도와 구상정도가 그룹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인지적 요소들-새로운 연상, 점화효과, 주의, 갈등, 이질성/상보성, 다양한 스타일, 부화-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그리고 그에 따라 디자인 아이디어 스케치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