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상징어 학습사전의 편찬 연구 = A study on compiling learner’s dictionary of Korean symbolic words for foreig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343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 on the itemized discussion for compiling learner’s dictionary of Korean symbolic words for foreigners. The entries of the dictionary is set by symbolic words included in Yonsei Korean dictionary and textbooks using in the major lang...

      This study focus on the itemized discussion for compiling learner’s dictionary of Korean symbolic words for foreigners. The entries of the dictionary is set by symbolic words included in Yonsei Korean dictionary and textbooks using in the major language institutes in Korea. As a prior tasks of setting the entries of dictionary we introduced the criteria for homonym and polysemy and examined the practical problems occurred in applying the criteria. Then we suggested the principle of selecting basic lexical entries and the explanatory method of consonants and vowels alternation’s meaning and their different usages.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subclassifying symbolic words into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To resolve the problems, we redefined the subcategories of symbolic words. We also classified synonymous symbolic words into subtypes and proposed the way to distinguish the synonymous meaning of symbolic words. Additionally we suggested the way to presenting the usages of symbolic words concerning with the features of them as a adverb having restriction. The information of suffix combination was suggested emphasizing that symbolic words enrich expressions in Korean by derivation into verbs and the measure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meaning explanations was proposed by aggregating author’s advanced research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동근, "흉내말의 어말 자음 교체에 대한 기능적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47 (47): 159-193, 2014

      2 박동근, "흉내말 체계의 빈칸 연구" 한말연구학회 1 : 103-138, 1995

      3 박동근, "현대국어 흉내말의 연구"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7

      4 李文圭, "현대국어 상징어의 음운·형태론적 연구"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6

      5 서상규, "현대 한국어 시늉말의 문법적 기능에 대한 연구" 149 : 1993

      6 박창원, "현대 국어 의성어, 의태어의 형태와 음운" 3 (3): 1993

      7 채완, "한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8 김홍범, "한국어의 상징어 연구-형태론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글학회 (228) : 219-257, 1995

      9 김홍범, "한국어의 상징어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5

      10 박동근, "한국어 흉내말의 관련어망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반교어문학회 (35) : 165-193, 2013

      1 박동근, "흉내말의 어말 자음 교체에 대한 기능적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47 (47): 159-193, 2014

      2 박동근, "흉내말 체계의 빈칸 연구" 한말연구학회 1 : 103-138, 1995

      3 박동근, "현대국어 흉내말의 연구"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7

      4 李文圭, "현대국어 상징어의 음운·형태론적 연구"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6

      5 서상규, "현대 한국어 시늉말의 문법적 기능에 대한 연구" 149 : 1993

      6 박창원, "현대 국어 의성어, 의태어의 형태와 음운" 3 (3): 1993

      7 채완, "한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8 김홍범, "한국어의 상징어 연구-형태론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글학회 (228) : 219-257, 1995

      9 김홍범, "한국어의 상징어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5

      10 박동근, "한국어 흉내말의 관련어망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반교어문학회 (35) : 165-193, 2013

      11 박동근, "한국어 화자의 음성상징에 대한 인지 실험 - 음높이 상징과 음색 상징을 중심으로 -" 한말연구학회 (21) : 59-79, 2007

      12 김홍범, "한국어 상징어 사전의 편찬 방안" 한글학회 (239) : 137-160, 1998

      13 백낙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형용사의 연어 관계 연구 -서울대 언어교육원 <한국어 1. 2> 교재를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25) : 113-138, 2009

      14 박동근, "한국어 교육에서 흉내말 교육에 대한 연구사적 분석" 한국문법교육학회 17 : 67-96, 2012

      15 김홍범, "한국 상징어 사전 편찬의 실제" 11 (11): 347-353, 2001

      16 국립국어 연구원, "표준국어 대사전" 두산 동아 1999

      17 연변언어연구소, "조선말의성의태어분류사전" 연변인민출판사 1981

      18 조선어 연구회, "조선말 의성어․의태어 사전" 학우서방 1971

      19 강근조, "조선말 대사전" 사회과학 출판사 1992

      20 윤희원, "의성어․의태어의 개념과 정의" 국립국어원 3 (3): 1993

      21 김광해, "유의어의 의미 비교를 통한 뜻풀이 정교화 방안에 대한 연구" 26 : 5-40, 1998

      22 박동근, "웃음표현 흉내말’의 의미 기술" 한글학회 247 : 159-189, 2000

      23 박동근, "울음표현 흉내말의 연구" 한글학회 (267) : 141-175, 2005

      24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어문각 1992

      25 연세대 언어정보개발 연구원, "연세 한국어 사전" 두산동아 1998

      26 김홍범, "신문 기사 제목에 쓰인 상징어의 분석" 배달말학회 29 : 53-70, 2001

      27 우인혜, "시늉 부사의 구문론적 제약" 17 : 285-350, 1990

      28 박동근, "새 울음 흉내말의 형태와 음성상징"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41) : 101-126, 2005

      29 김홍범, "상징어의 의미영역 분류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26 : 187-220, 2016

      30 김홍범, "상징어의 의미 영역 분류사전 편찬 방안" 한말연구학회 11 : 133-154, 2002

      31 김홍범, "상징어의 의미 영역 분류 연구(3)-감각, 감정, 생각을 나타내는 의태어를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31) : 145-171, 2012

      32 김홍범, "상징어의 의미 영역 분류 연구(2) -사람과 관련하여 쓰이는 의태어를 중심으로-" 한국사전학회 (18) : 41-74, 2011

      33 김홍범, "상징어의 의미 영역 분류 연구(1)-소리 상징어를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24) : 81-114, 2009

      34 김홍범, "상징어의 의미 기술 모형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38) : 341-366, 2008

      35 김홍범, "상징어를 활용한 탐구학습"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4) : 281-300, 2009

      36 권경일, "상징어를 구성요소로 하는 한국어 관용구의 목록 설정 재고" 한국언어문화학회 (41) : 105-126, 2010

      37 김동찬, "단어 조성론" 탑출판사 1987

      38 박동근, "내적변화에 의한 파생과 유표성 - 흉내말의 홀소리 교체를 중심으로" 한말연구학회 (19) : 91-116, 2006

      39 박동근, "국어사전에서 흉내말의 다의어·동형어 판별에 대한 연구" 겨레어문학회 (53) : 237-261, 2014

      40 임지룡, "국어 의미론" 탑출판사 1992

      41 김민수, "국어 대사전" 금성출판사 1991

      42 박동근, "관용표현의 의미 구조와 흉내말 변형 제약" 겨레어문학회 (44) : 179-199, 2010

      43 김홍범, "‘상징어 사전’에서 관용어 처리 문제 - 상징어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관용어를 중심으로 -" 한말연구학회 (21) : 29-47,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3 1.34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