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심실중격의 폐동맥협착은 흔한 선천성 심장질환이지만 신생아기에 심한 증세를 보이는 위기적 폐동맥 협착은 드물며 예후도 대단히 나쁘다. 경피적 풍선 판막성형술의 발달과 함께 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54534
정태열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 교실) ; 반동규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구리 병원 흉부외과학 교실) ; 김혁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 교실) ; 김영학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 교실) ; 정원상 (--) ; 강정호 (--) ; 지행옥 (--) ; 이철범 (--) ; 김남수 (--) ; 서정국 (--) ; Jung, Tae-Yeol ; Ban, Dong-Gyu ; Kim, Hyuck ; Kim, Young-Hak ; Chung, Won-Sang ; Kang, Jeong-Ho ; Jee, Heng-Ok ; Lee, Chul-Bum ; Kim, Nam-Su ; Seoh, Jung-Kuk
2000
Korean
SCOPUS,KCI등재
학술저널
963-967(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정상심실중격의 폐동맥협착은 흔한 선천성 심장질환이지만 신생아기에 심한 증세를 보이는 위기적 폐동맥 협착은 드물며 예후도 대단히 나쁘다. 경피적 풍선 판막성형술의 발달과 함께 폐...
정상심실중격의 폐동맥협착은 흔한 선천성 심장질환이지만 신생아기에 심한 증세를 보이는 위기적 폐동맥 협착은 드물며 예후도 대단히 나쁘다. 경피적 풍선 판막성형술의 발달과 함께 폐동맥협착의 외과적 치료는 더욱 줄어드는 추세이다. 본 증례는 정상심실중격의 위기적 폐동맥협착증으로 진단받은 생후 2일된 남자 신생아로 심한 청색증과 저산소증을 보여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환아는 산소공급 및 Prostaglandin E$_1$을 투여 후 동맥혈 산소 분압이 19 mmHg에서 54mmHg로 증가하였다. 경피적 풍선 판막성형술을 시도하였으나 유도도관(Guide wire)이 판막의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하였고 시술도중 심낭내로 조영제가 고이는 소견을 보여 우심실 천공이 의심되었으므로 응급으로 정상체온의 체외순환하에서 폐동맥 절개후 폐동맥 판막절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중환자실에서의 수술경과는 양호하였고 현재 수술 6개월째 외래 추적관찰중이다.
관상동맥 우회술 후의 중추신경계 합병증 -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은 관상동맥 우회술과 기존의 관상동맥 우회술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