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다민족, 다언어 국가인 러시아 연방에서의 언어 정책에 관한 연구이다. 소련이 붕괴된 이후 국어였던 러시아어가 구소련 각 공화국들에서 소수 언어의 지위를 면치 못하고 있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82007
2010
-
920
KCI등재
학술저널
61-82(22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다민족, 다언어 국가인 러시아 연방에서의 언어 정책에 관한 연구이다. 소련이 붕괴된 이후 국어였던 러시아어가 구소련 각 공화국들에서 소수 언어의 지위를 면치 못하고 있던 ...
본 논문은 다민족, 다언어 국가인 러시아 연방에서의 언어 정책에 관한 연구이다. 소련이 붕괴된 이후 국어였던 러시아어가 구소련 각 공화국들에서 소수 언어의 지위를 면치 못하고 있던 상황에서, 구소련 구성 국가들이 독립국가연합으로 재편된 뒤 러시아 연방 내에서의 러시아어의 위상과 기타 러시아 연방 구성 공화국들 및 그 구성 민족들의 모국어에 대한 법적 지위에 대하여 선언한 러시아 연방 헌법과 러시아연방 민족들의 언어들에 관한 법을 기초로 러시아 연방의 언어 정책의 일반적 기조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러시아 헌법과 러시아 연방 민족들의 언어들에 관한 법에 나타나고 있는 러시아어의 지위와 러시아 연방 민족들의 언어에 관한 권리와 모국어 보호 및 발전 프로그램의 내용 등을 살펴보고 그의 문제점을 지적해 본다. 또한 이러한 러시아 연방의 언어 정책과 관련되어 러시아 연방 내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으로서의 한인들의 현황과 그들의 한국어 구사 현황을 살펴보고, 러시아 연방 내 거주 한국인의 대부분이 러시아어를 구사하는 상황에서 언어적 측면에서의 한국인의 민족적 정체성을 확인하는 인자로서의 한국어의 교육 현황 및 한국어 교육 여건의 개선을 위한 향후 제안을 제시해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pursue the linguistic policy of Russian Federation as a multiracial country. Russia consists of about 180 ethnic groups. These groups have their own language. So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what is the status of their own language ...
This study is to pursue the linguistic policy of Russian Federation as a multiracial country. Russia consists of about 180 ethnic groups. These groups have their own language. So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what is the status of their own language which Russia guarantees in Russian Constitution and a law of nations' languages. And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what kinds of programs to guarantee and protect the right of each nation's language and point out the problem of linguistic policy of Russian Federation. Particularly this article tries to find out the situation of korean nation who is living in Russia and education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too. And this study presents several proposals fo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s a identifying factor of korean who live in Russian Feder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А.Т. Базиев, "Язык и нация" Наука 1973
2 Ю. В. Арутюмян, "Этносоциология" Москва. сс. 153-162, 1999
3 Р.И. Тихонова, "Русский язык как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язык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амара 2007
4 В.Ц. Худавердян, "Межэтническое взаимодействие в российской семье.(вести. моск. ун-та. сер.18. социология и политология. No. 3."
5 "Конституц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ринята 12 дек. 1993 . - Владивосток: Интертех, 2002"
6 Л.Н. Васильева, "Конституц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 сохранении и развитии родных языков народов России. - Журнал российского права(2004) No. 6"
7 "Закон РФ от 25 октября 1991. N 1807-I “О языках народ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 изменениями от 24 июля 1998. 11 декабря 2002.)"
1 А.Т. Базиев, "Язык и нация" Наука 1973
2 Ю. В. Арутюмян, "Этносоциология" Москва. сс. 153-162, 1999
3 Р.И. Тихонова, "Русский язык как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язык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амара 2007
4 В.Ц. Худавердян, "Межэтническое взаимодействие в российской семье.(вести. моск. ун-та. сер.18. социология и политология. No. 3."
5 "Конституц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принята 12 дек. 1993 . - Владивосток: Интертех, 2002"
6 Л.Н. Васильева, "Конституц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 сохранении и развитии родных языков народов России. - Журнал российского права(2004) No. 6"
7 "Закон РФ от 25 октября 1991. N 1807-I “О языках народ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 изменениями от 24 июля 1998. 11 декабря 2002.)"
에너지 안보에 대처하는 중동부유럽의 선택: ‘초월하기’와 편승전략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3-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동유럽연구 -> 동유럽발칸연구 | ![]() |
2010-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3 | 0.13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6 | 0.15 | 0.459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