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브랜드 아파트 발코니 구성의 디자인적 특성과 개인 및 공동공간 배치 특성 = Balcony Organization Design Characteristic and Personal and Shared Space Arrangement Characteristic of Brand Apart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862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 as a subsequent study do analyzing apartment floor plan in 2012, involves deducing brand characteristics from analyzing the configuration methods of balcony and space.
      The range was set up, centering around the cases in Seoul, and the range was classified into space organization, balcony opening shape, personal and shared space arrangement characteristic for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e space organization was divided into basic organization and change organization, and the basic organization was divided into individual space and shared space.
      First, in space organization, four brands except for Raemian planned R3 as the area became wider, while Raemian did not plan R3 even if the area became wider. Dr1 was not planned if the area was small in Raemian, e-Pyeonhansesang and Purgio. Second, in balcony opening shapes, Raemian, e-Pyeonhansesang and Hillstate, except for Xi and Purgio, planned frontal and rear opening shapes more than 50%. Third, in the arrangement of personal and shared spaces, the 111-shape was more than 50%, and ㄴ-(or ㄱ-) shape was more than 25%.
      In the future, this study would be basic research to look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rand by analyzing the changes of the planes for six years,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study.
      번역하기

      This study , as a subsequent study do analyzing apartment floor plan in 2012, involves deducing brand characteristics from analyzing the configuration methods of balcony and space. The range was set up, centering around the cases in Seoul, and the ran...

      This study , as a subsequent study do analyzing apartment floor plan in 2012, involves deducing brand characteristics from analyzing the configuration methods of balcony and space.
      The range was set up, centering around the cases in Seoul, and the range was classified into space organization, balcony opening shape, personal and shared space arrangement characteristic for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e space organization was divided into basic organization and change organization, and the basic organization was divided into individual space and shared space.
      First, in space organization, four brands except for Raemian planned R3 as the area became wider, while Raemian did not plan R3 even if the area became wider. Dr1 was not planned if the area was small in Raemian, e-Pyeonhansesang and Purgio. Second, in balcony opening shapes, Raemian, e-Pyeonhansesang and Hillstate, except for Xi and Purgio, planned frontal and rear opening shapes more than 50%. Third, in the arrangement of personal and shared spaces, the 111-shape was more than 50%, and ㄴ-(or ㄱ-) shape was more than 25%.
      In the future, this study would be basic research to look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rand by analyzing the changes of the planes for six years, through a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2년 아파트 평면을 분석한 연구의 후속연구로 발코니의 구성 방식과 공간의 구성방식 분석을 통하여 브랜드의 특성을 도출하는 연구이다.
      서울에 입주한 사례를 중심으로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공간의 구성에 대한 분석, 발코니의 개방형태에 대한 분석, 개인 및 공동공간의 배치 특성으로 분류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공간구성은 기본구성과 변화구성요소로 나누었으며 개방형태는 1면, 2면, 3면 개방형과 전·후면개방형, 부분개방형, 한 면과 부분을 같이 계획한 복합형으로 분류하였다. 개인 및 공동공간의 분류형태는 개인-공동-개인으로 계획된 111형태, 개인-공동으로 계획된 11형태, 부채형태, ㄷ자 형태, ㄴ자(ㄱ자)형태로 분류하였다첫째, 공간 구성에서 래미안을 제외한 4개 브랜드는 면적이 넓어지면 R3를 계획한 반면, 래미안은 면적이 넓어져도 R3가 계획되지 않았다. Dr1은 래미안과 e-편한세상, 푸르지오에서 면적이 작은 경우 계획되지 않았다. 둘째, 발코니의 개방 형태는 자이와 푸르지오를 제외한 래미안, e-편한세상, 힐스테이트의 경우 전·후면 개방형이 50% 이상으로 계획된 것으로 나타났다. 섯째, 개별 및 공동공간의 배치에서 111형태가 50%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ㄴ자(ㄱ자)의 형태가 25%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브랜드마다 평면상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향후 본 연구와 이전 연구를 비교하여 6년 동안의 평면의 변화를 분석하여 각 브랜드마다 특성을 찾는데 기초 연구가 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12년 아파트 평면을 분석한 연구의 후속연구로 발코니의 구성 방식과 공간의 구성방식 분석을 통하여 브랜드의 특성을 도출하는 연구이다. 서울에 입주한 사례를 중심으로 범위...

      본 연구는 2012년 아파트 평면을 분석한 연구의 후속연구로 발코니의 구성 방식과 공간의 구성방식 분석을 통하여 브랜드의 특성을 도출하는 연구이다.
      서울에 입주한 사례를 중심으로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공간의 구성에 대한 분석, 발코니의 개방형태에 대한 분석, 개인 및 공동공간의 배치 특성으로 분류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공간구성은 기본구성과 변화구성요소로 나누었으며 개방형태는 1면, 2면, 3면 개방형과 전·후면개방형, 부분개방형, 한 면과 부분을 같이 계획한 복합형으로 분류하였다. 개인 및 공동공간의 분류형태는 개인-공동-개인으로 계획된 111형태, 개인-공동으로 계획된 11형태, 부채형태, ㄷ자 형태, ㄴ자(ㄱ자)형태로 분류하였다첫째, 공간 구성에서 래미안을 제외한 4개 브랜드는 면적이 넓어지면 R3를 계획한 반면, 래미안은 면적이 넓어져도 R3가 계획되지 않았다. Dr1은 래미안과 e-편한세상, 푸르지오에서 면적이 작은 경우 계획되지 않았다. 둘째, 발코니의 개방 형태는 자이와 푸르지오를 제외한 래미안, e-편한세상, 힐스테이트의 경우 전·후면 개방형이 50% 이상으로 계획된 것으로 나타났다. 섯째, 개별 및 공동공간의 배치에서 111형태가 50%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ㄴ자(ㄱ자)의 형태가 25%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브랜드마다 평면상에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향후 본 연구와 이전 연구를 비교하여 6년 동안의 평면의 변화를 분석하여 각 브랜드마다 특성을 찾는데 기초 연구가 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2 최윤정, "아파트 전면발코니의 실내환경 조절효과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 21 (21): 265-274, 2005

      3 김선영, "아파트 발코니의 확장실태와 거주자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152-162, 2012

      4 김진균, "아파트 공간구성유형에 따른 거주자 공간사용행태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18 (18): 53-62, 2002

      5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실내디자인각론" 기문당 2003

      6 이슬, "서울경제"

      7 "삼성물산 래미안"

      8 박남희, "브랜드 아파트의 평형별 평면계획 내용분석" 대한건축학회 22 (22): 53-62, 2006

      9 박경옥, "발코니 확장의 합법화에 대한 인식 및 선호" 2006

      10 박경옥, "발코니 확장 합법화 이후 분양된 아파트 평면의 발코니 특성과 활용에 관한 연구 - 수도권과 군 이하지역의 아파트 평면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 10 (10): 61-70, 2008

      1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2 최윤정, "아파트 전면발코니의 실내환경 조절효과 비교연구" 대한건축학회 21 (21): 265-274, 2005

      3 김선영, "아파트 발코니의 확장실태와 거주자 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 (21): 152-162, 2012

      4 김진균, "아파트 공간구성유형에 따른 거주자 공간사용행태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18 (18): 53-62, 2002

      5 한국실내디자인학회, "실내디자인각론" 기문당 2003

      6 이슬, "서울경제"

      7 "삼성물산 래미안"

      8 박남희, "브랜드 아파트의 평형별 평면계획 내용분석" 대한건축학회 22 (22): 53-62, 2006

      9 박경옥, "발코니 확장의 합법화에 대한 인식 및 선호" 2006

      10 박경옥, "발코니 확장 합법화 이후 분양된 아파트 평면의 발코니 특성과 활용에 관한 연구 - 수도권과 군 이하지역의 아파트 평면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 10 (10): 61-70, 2008

      11 이창석, "민영아파트 발코니의 이용실태 분석 및 확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107-114, 2007

      12 "대우건설 푸르지오"

      13 "대림산업 e-편한세상"

      14 이정호, "국민주택규모 단위세대 평면 분석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9 (19): 180-189, 2010

      15 최진희, "국내 아파트 브랜드별 중․대형 면적의 단위평면 분석 - 2010∼2012년 132㎡이상∼165㎡이하 수도권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0 (10): 27-38, 2012

      16 "GS건설 자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7 0.778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