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기 노인의 여가생활이 사회적 친분관계를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eisure Life of Early Older People on the Satisfaction of Life by Mediating Social Re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110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기 노인의 여가활동과 삶의 만족도의 관련성을 밝히고, 사회적 친분관계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4차년도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조사자료는 전국 총 4,124가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65세 이상 70세 미만인 대상자 871명을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초기 노인의 여가생활과 삶의 만족도 및 사회적 친분관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생활에 만족할수록 사회적 친분관계가 긍정적이며,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 사회적 친분관계가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생활에 만족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배우자가 있는 경우와 주관적 건강상태가 양호한 경우에 삶의 만족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생활에 만족할수록 사회적 친분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주관적 건강상태가 양호한 경우에 삶의 만족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들에게 여가활동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시켜주고, 여가생활 참여기회의 확대, 여가시설의 확충, 여가생활 프로그램의 질적 개선 등의 적극적인 노력 및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기 노인의 여가활동과 삶의 만족도의 관련성을 밝히고, 사회적 친분관계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4차년도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조사자료는 전...

      본 연구는 초기 노인의 여가활동과 삶의 만족도의 관련성을 밝히고, 사회적 친분관계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4차년도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이 조사자료는 전국 총 4,124가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65세 이상 70세 미만인 대상자 871명을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초기 노인의 여가생활과 삶의 만족도 및 사회적 친분관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생활에 만족할수록 사회적 친분관계가 긍정적이며,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 사회적 친분관계가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생활에 만족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배우자가 있는 경우와 주관적 건강상태가 양호한 경우에 삶의 만족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생활에 만족할수록 사회적 친분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주관적 건강상태가 양호한 경우에 삶의 만족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들에게 여가활동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시켜주고, 여가생활 참여기회의 확대, 여가시설의 확충, 여가생활 프로그램의 질적 개선 등의 적극적인 노력 및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in the early stage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was clarified, and explore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intimacy. To the end, the survey data for the 14th year of the Korean Welfare Panel were used. This survey data was conducted on a total of 4,124 households nationwide, 871 subjects of whom were from 65 years old to 70 years old were extracted and used. This study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chnical statistics,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and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early elderly people s leisure and social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s.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social intimacy is more positive when one is satisfied with one s leisure life, and social intimacy is more positive when one has a spous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re satisfied one is with one s leisure life, the more satisfied one is with one s life when one has a spouse and is in good subjective health. Third, it was found that the more satisfactory a social relationship is, the more satisfactory it is, the more satisfactory it is, especially, the more satisfactory it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elder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and that active efforts and support such as expanding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expanding leisure faciliti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eisure programs are urgently required.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in the early stage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was clarified, and explore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intimacy. To the end, the survey data for the 14th year of the ...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in the early stages and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was clarified, and explore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intimacy. To the end, the survey data for the 14th year of the Korean Welfare Panel were used. This survey data was conducted on a total of 4,124 households nationwide, 871 subjects of whom were from 65 years old to 70 years old were extracted and used. This study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echnical statistics,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and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early elderly people s leisure and social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s.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social intimacy is more positive when one is satisfied with one s leisure life, and social intimacy is more positive when one has a spous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re satisfied one is with one s leisure life, the more satisfied one is with one s life when one has a spouse and is in good subjective health. Third, it was found that the more satisfactory a social relationship is, the more satisfactory it is, the more satisfactory it is, especially, the more satisfactory it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elder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and that active efforts and support such as expanding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ng in leisure activities, expanding leisure faciliti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eisure programs are urgently requi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형민, "한국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여가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9 (9): 57-67, 2019

      2 서수균, "한국 노인이 지각한 부부 및 성인자녀 갈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32 (32): 389-409, 2013

      3 정은영, "한국 남녀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인지기능의 관계" 한국노년학회 40 (40): 443-458, 2020

      4 김민주, "초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395-405, 2019

      5 허준수,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4) : 127-151, 2004

      6 박지수, "중년후기 성인이 지각하는 여가제약 및 여가충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8 (18): 689-703, 2009

      7 임지숙,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에 대한 종단모형연구: 노후준비주체성, 대인관계의 매개효과와 성별간 다집단분석" 한국심리학회 33 (33): 181-207, 2014

      8 이익섭, "저소득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29) : 285-308, 2005

      9 정순둘, "저소득 노인의 가족동거여부와 삶의 만족도"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1) : 60-79, 2003

      10 이인정, "재가복지서비스 이용노인의 우울 수준과 우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일반노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31-65, 2012

      1 김형민, "한국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여가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201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 중심으로"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9 (9): 57-67, 2019

      2 서수균, "한국 노인이 지각한 부부 및 성인자녀 갈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32 (32): 389-409, 2013

      3 정은영, "한국 남녀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인지기능의 관계" 한국노년학회 40 (40): 443-458, 2020

      4 김민주, "초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395-405, 2019

      5 허준수,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4) : 127-151, 2004

      6 박지수, "중년후기 성인이 지각하는 여가제약 및 여가충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8 (18): 689-703, 2009

      7 임지숙,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에 대한 종단모형연구: 노후준비주체성, 대인관계의 매개효과와 성별간 다집단분석" 한국심리학회 33 (33): 181-207, 2014

      8 이익섭, "저소득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29) : 285-308, 2005

      9 정순둘, "저소득 노인의 가족동거여부와 삶의 만족도"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1) : 60-79, 2003

      10 이인정, "재가복지서비스 이용노인의 우울 수준과 우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일반노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31-65, 2012

      11 정명숙, "연령과 삶에 대한 만족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8 (18): 87-108, 2005

      12 석재은,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71 (71): 321-349, 2016

      13 김남희, "여성 노인의 신체적․사회적 특성이 자아존중감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1 (11): 241-252, 2011

      14 백지수, "여가활동을 통한 작업치료가 노인 환자의 여가 만족도,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 재활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9 (39): 285-304, 2019

      15 서홍란, "신체적 질환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돌봄행위의 조절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61) : 57-84, 2013

      16 이정관, "서울특별시 독거노인 실태에 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14 (14): 191-211, 2013

      17 김동배, "서울지역 장·노년층의 인터넷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사회활동에 관한 연구: 잠재평균분석을 활용한 집단비교" 한국노년학회 31 (31): 733-749, 2011

      18 나항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 여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4 (24): 53-70, 2004

      19 김경미, "삶의 의미가 노년기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청년기와 노년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30 (30): 503-523, 2011

      20 김상수, "사회적지지가 베이비부머의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2 (12): 101-115, 2017

      21 조현영, "배우자관계만족도와 자녀관계만족도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및 성별의 조절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22 이진향,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주관적 건강과 우울인식의 관계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과 여가생활 만족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7 (17): 429-438, 2017

      23 정혜정, "독거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 연구-전라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20 : 49-70, 2000

      24 이미숙, "도시거주 노인의 만성질환과 우울증세의 상관성 및 사회관계망의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학회 (27) : 5-30, 2010

      25 채현탁,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망 강화 방안: 일본 시오야마치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4) : 225-256, 2006

      26 지봉구, "노인특성과 여행형태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0 (10): 347-354, 2010

      27 정규형, "노인자살률 변화에 따른 지자체 유형화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23 (23): 111-134, 2019

      28 전지원, "노인의 직업활동 참여동기, 직업만족도 및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인과모형 분석" 한국노년학회 26 (26): 521-545, 2006

      29 김동규, "노인의 종교 및 사회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 김천시에 거주하는 노인을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3

      30 박경란, "노인의 여가활동참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6 (16): 465-478, 2007

      31 강순화, "노인의 여가활동은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가?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생명문화연구소 55 : 127-147, 2020

      32 이동수,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여가만족도, 여가몰입도 및 고독감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2 (42): 227-238, 2003

      33 박상훈, "노인의 여가활동유형과 고독감"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6 (26): 373-389, 2014

      34 문보영, "노인의 여가활동, 여가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5 (25): 273-287, 2013

      35 박순미,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성별, 가구유형별 집단 비교" 보건의료산업학회 13 (13): 191-200, 2019

      36 안수민, "노인의 여가활동 참가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37 이영숙, "노인의 여가제약, 여가활동참여와 생활만족도의 관계 분석" 한국생활과학회 18 (18): 1-12, 2009

      38 김명용,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배우자관계 만족도, 자녀관계 만족도 및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219-228, 2018

      39 차승은, "노인의 결혼지위 점유에 따른 건강차이: 노년기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7 (27): 371-392, 2007

      40 조성남, "노인의 건강과 가족" 5 : 31-76, 1999

      41 이훈래, "노인여가시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앤더슨 모형 적용"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1 (31): 405-424, 2019

      42 민응기, "노인복지에서의 여가의 중요성과 노인여가의 활성화 방안" 11 : 41-70, 2012

      43 김미경, "노인들의 여가제약이 여가만족 및 삶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관광경영학회 32 (32): 91-109, 2017

      44 박충선, "노년기의 생활시간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18 : 30-46, 1998

      45 백경숙, "노년기의 경제활동과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5) : 87-106, 2007

      46 박기남,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회 24 (24): 13-29, 2004

      47 정은화, "국내 노인 여가활동에 관한 설문조사 연구" 1 : 7-16, 2019

      48 남소희,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20 (20): 177-188, 2018

      49 강경란, "경력지향성이 창·재취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벤처창업학회 12 (12): 177-189, 2017

      50 김희주, "‘한국적 성공적 노후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1) : 125-158, 2008

      51 Szalai, A, "The use of time: daily activities of urban and suburbon populations in twelve countries" Mouton 1972

      52 Zuzanek, J.,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health and physically active leisure as a function of life-cycle" 20 (20): 253-275, 1998

      53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 1986

      54 Neugarten, B. L.,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1961

      55 Seong, K. O., "The effects of aging anxiety and ego integrity o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mediating model of social capital" Ewha Womans University 2016

      56 Mazure, C. M., "Stressful life events interacting with cognitive/personality styles to predict late-onset major depression" 10 (10): 297-304, 2002

      57 Atchley, R. C., "Social forces and aging;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Thomson Learning 2004

      58 Siegrist, J., "Participation in socially productiv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in early old age: findings from SHARE" 19 (19): 317-326, 2009

      59 Pachucki, M. C., "Mental health and social networks in early adolescence: a dynamic study of objectively-measured social interaction behaviors" 125 : 40-50, 2015

      60 Balboa-Castillo, T., "Longitudinal associ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behavior during leisure time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9 (9): 1-10, 2011

      61 Krause, N., "Lifetime Trauma, Emotion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44 (44): 615-623, 2004

      62 Coleman D., "Leisure-based social support, leisure dispositions and health" 25 (25): 350-361, 1993

      63 Van Ingen, E., "Leisure and social capital: An analysis of types of company and activities" 31 (31): 192-206, 2009

      64 Wang, Hui-Xin., "Leisure activities, cognition and dementia" 1822 (1822): 482-491, 2012

      65 Silverstein, M., "Leisur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oldest old in Sweden" 24 (24): 528-547, 2002

      66 Searle, M. S., "Enhancing a sense of independ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elderly: A field experiment" 27 (27): 107-124, 1995

      67 Rolandi, E., "Efficacy of lifestyle interventions on clinical and neuroimaging outcomes in elderly" 25 : 1-12, 2016

      68 Iwasaki, Y., "Culturally meaningful leisure as a way of coping with stress among aboriginal individuais with diabetes" 38 (38): 321-338, 2006

      69 Dennis R. Taaffe., "Cross-sectional and prospective relationships of interaction-6 and c-reactive protein with physical performance in elderly persons: MacArthur studies of successful aging" 55 (55): M709-M715, 2000

      70 Atchley, R. C., "Aging and suicide; Reflection of the quality of life. In Second Conference on the Epidemiology of Aging" USDHHS, NIH Publication 1980

      71 Toepoel, V., "Ageing, leisure, and social connectedness: how could leisure help reduce social isolation of older people?" 113 (113): 355-372, 2013

      72 Tinsley, H. E., "A theory of the attributes, benefits, and causes of leisure experience" 8 (8): 1-45, 1986

      73 Oh, Y. H., "A study on policy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Korea Instiute for Health and Social Afairs 2005

      74 Hyde, M., "A measure of quality of life in early old age: the theory, development and properties of a needs satisfaction model (CASP-19)" 7 (7): 186-194, 2003

      75 Adams, K. B.,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ocial and leisure activity and wellbeing in later life" 31 (31): 683-712, 2011

      76 통계청, "2019 고령자통계"

      77 박광희, "100세 시대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노인 여가 분석Ⅰ: 노인 여가 레퍼토리 분석"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5 (25): 85-104,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생명문화연구원 -> 생명문화연구소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5 0.538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