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술적 상상력 기반 수업의 의미 탐색: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중심으로 =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 Based on Artistic Imagin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51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w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through a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 based on artistic imagination and what it means to pre-service teachers,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nature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urriculum is very deeply related to imagination. In this study, 49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 based on artistic imagin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data such as reflective journals, interviews, and researcher's journal collec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class turned out to be "Imagination and expression: focusing on my feeling," "Immediate and creative: going with the flow," and "Music: Better Together." Second, for pre-service teachers, the meaning of the class turned out to be "True me: I can make mistakes, I can't do them", "The everyday nature of music : I can do them easily and amused", and "Having an insight into music education: I can do this". The findings show that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 based on artistic imagination offer opportunities to focus on the senses, express one's feelings in various images, and value it as a basic education to reflect deeply on oneself, music, and the nature of education. It also suggests that efforts are needed to expand the opportunities for imaginative education in the institutions for the train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o develop a teacher's imagin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w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through a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 based on artistic imagination and what it means to pre-service teachers,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nature of the early childhood mu...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w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through a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 based on artistic imagination and what it means to pre-service teachers, under the recognition that the nature of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urriculum is very deeply related to imagination. In this study, 49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 based on artistic imagin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data such as reflective journals, interviews, and researcher's journal collec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class turned out to be "Imagination and expression: focusing on my feeling," "Immediate and creative: going with the flow," and "Music: Better Together." Second, for pre-service teachers, the meaning of the class turned out to be "True me: I can make mistakes, I can't do them", "The everyday nature of music : I can do them easily and amused", and "Having an insight into music education: I can do this". The findings show that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 based on artistic imagination offer opportunities to focus on the senses, express one's feelings in various images, and value it as a basic education to reflect deeply on oneself, music, and the nature of education. It also suggests that efforts are needed to expand the opportunities for imaginative education in the institutions for the training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o develop a teacher's imagin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음악교육 교과 특성상 상상력과 매우 깊은 관련이 있으므로 유아교사로서 필요한 능력으로 상상력을 훈련하는 기회가 필요하다는 인식 아래, 예술적 상상력 기반의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통하여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는 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술적 상상력 개념을 정의하고 이 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구성하여 예비유아교사 49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반성적 저널, 면담, 연구자 일지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은 ‘상상과 표현: 느낌에 집중하기’, ‘즉흥과 창작: 흐름에 따라 가보기’, ‘음악: 함께여서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에게 이 수업의 의미는 ‘진실한 나: 실수해도, 못해도 괜찮아’, ‘음악의 일상성: 쉽고 즐겁게 할 수 있잖아’, ‘음악교육에 감(感)잡기: 아, 이렇게 하는 거구나’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예술적 상상력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이 감각에 집중하고 자신의 심상을 다양한 이미지로 표현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자기 자신, 음악, 그리고 교육의 본질에 대해 깊이 되돌아볼 수 있는 기초교육으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교사의 상상력을 갖춘 유아교사를 배출하기 위해 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 상상력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음악교육 교과 특성상 상상력과 매우 깊은 관련이 있으므로 유아교사로서 필요한 능력으로 상상력을 훈련하는 기회가 필요하다는 인식 아래, 예술적 상상력 기반의 유아음악...

      본 연구는 유아음악교육 교과 특성상 상상력과 매우 깊은 관련이 있으므로 유아교사로서 필요한 능력으로 상상력을 훈련하는 기회가 필요하다는 인식 아래, 예술적 상상력 기반의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통하여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는 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술적 상상력 개념을 정의하고 이 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구성하여 예비유아교사 49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반성적 저널, 면담, 연구자 일지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은 ‘상상과 표현: 느낌에 집중하기’, ‘즉흥과 창작: 흐름에 따라 가보기’, ‘음악: 함께여서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에게 이 수업의 의미는 ‘진실한 나: 실수해도, 못해도 괜찮아’, ‘음악의 일상성: 쉽고 즐겁게 할 수 있잖아’, ‘음악교육에 감(感)잡기: 아, 이렇게 하는 거구나’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예술적 상상력 기반 유아음악교육 수업이 감각에 집중하고 자신의 심상을 다양한 이미지로 표현하는 기회를 제공하며 자기 자신, 음악, 그리고 교육의 본질에 대해 깊이 되돌아볼 수 있는 기초교육으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교사의 상상력을 갖춘 유아교사를 배출하기 위해 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 상상력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삼근, "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 집문당 2016

      2 백령, "통합예술교육이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3 김종엽, "철학, 상상력, 표현" 세창출판사 2017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Ⅱ:Methods" 아카데미프레스 2013

      5 임부연, "유아예술교육의 비평적 이해: 유아교사의 예술 및 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127-149, 2014

      6 유혜령, "유아를 위한 상상력 교육의 접근: 후기구조주의적 관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5-34, 2017

      7 오채선, "유아교육에서 본 상상력에 대한 교육적 탐색: 발달적 관점을 넘어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5-30, 2016

      8 이정금, "유아교실에서 교사 상상력에 관한 경력유아교사들의 이해"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35-62, 2017

      9 오채선, "유아교사의 상상놀이 활동 지도경험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81-105, 2015

      10 Read, H., "예술을 통한 교육" 학지사 2007

      1 곽삼근, "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 집문당 2016

      2 백령, "통합예술교육이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3 김종엽, "철학, 상상력, 표현" 세창출판사 2017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Ⅱ:Methods" 아카데미프레스 2013

      5 임부연, "유아예술교육의 비평적 이해: 유아교사의 예술 및 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127-149, 2014

      6 유혜령, "유아를 위한 상상력 교육의 접근: 후기구조주의적 관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5-34, 2017

      7 오채선, "유아교육에서 본 상상력에 대한 교육적 탐색: 발달적 관점을 넘어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5-30, 2016

      8 이정금, "유아교실에서 교사 상상력에 관한 경력유아교사들의 이해"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35-62, 2017

      9 오채선, "유아교사의 상상놀이 활동 지도경험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81-105, 2015

      10 Read, H., "예술을 통한 교육" 학지사 2007

      11 맹봉재, "예술에서 왜 상상력이 요구되는가?" 연경문화사 2014

      12 오율자, "예술에 있어서 상상력의 근원" 한국체육철학회 18 (18): 301-315, 2010

      13 김수현, "예술가의 상상력, 그 다양한 층위" 민족미학회 11 (11): 183-224, 2012

      14 하정희,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상상력에 대한 이해 탐구: 상상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을 중심으로" 이화어린이연구원 3 (3): 47-72, 2018

      15 하정희, "어린이의 리듬과 즉흥연주를 위한 상상놀이 음악활동" 공동체 2009

      16 Vygostky, "아동의 상상력과 창조" 창지사 1999

      17 허승희, "아동의 상상력 발달" 학지사 2002

      18 Root-Bernstein, "생각의 탄생" 에코의 서재 2007

      19 김경철, "상상력이 있는 가르침과 유아교사의 교육적 상상력" 63-109, 2016

      20 홍명희, "상상력의 교육과 교육적 상상력"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1 : 631-652, 2007

      21 이하영, "상상력에 관한 연구 동향 및 유형 재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81-308, 2014

      22 오경희, "상상력과 미메시스의 창조적 특성에 근거한 유아 상상력의 재개념화에 관한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125-144, 2013

      23 박치완, "상상력과 문화콘텐츠"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3

      24 홍명희, "상상력과 가스통 바슐라르" 살림출판사 2005

      25 Egan, K., "상상력 교육: 미래학교를 디자인하다" 학지사 2014

      26 Collingeood, R. G., "상상과 표현: 예술의 철학적 원리" 고려원 1996

      27 임부연, "상상과 은유를 매개로 유아교사의 발화 탐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9) : 81-104, 2009

      28 김혜숙,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에 근거한 음악적 상상력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29 이주하, "바슐라르와 뒤랑의 상상력 재발견과 그 교육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회 (34) : 351-390, 2008

      30 Nachmanovitch, S., "놀이, 마르지 않는 창조의 샘" 에코의 서재 2008

      31 Steiner, R., "교육의 기초로서의 일반인간학" 물병자리 2002

      32 홍명희, "교육에 있어서의 상상력의 의미와 역할" 프랑스문화예술학회 16 : 319-342, 2006

      33 허영주, "교사 상상력의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137-163, 2011

      34 Bachelard, G., "공기의 꿈" 이학사 2003

      35 Dewey, J,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2003

      36 Stevenson, L., "Twelve conceptions of imagination" 43 (43): 238-259, 2003

      37 Gibbons, S. L., "Kant’s theory of imagination: Bridging gaps in judgement and experience" Clarendon Press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영문명 : The Korea Associan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dministration ->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6 1.72 1.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