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곽삼근, "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 집문당 2016
2 백령, "통합예술교육이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3 김종엽, "철학, 상상력, 표현" 세창출판사 2017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Ⅱ:Methods" 아카데미프레스 2013
5 임부연, "유아예술교육의 비평적 이해: 유아교사의 예술 및 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127-149, 2014
6 유혜령, "유아를 위한 상상력 교육의 접근: 후기구조주의적 관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5-34, 2017
7 오채선, "유아교육에서 본 상상력에 대한 교육적 탐색: 발달적 관점을 넘어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5-30, 2016
8 이정금, "유아교실에서 교사 상상력에 관한 경력유아교사들의 이해"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35-62, 2017
9 오채선, "유아교사의 상상놀이 활동 지도경험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81-105, 2015
10 Read, H., "예술을 통한 교육" 학지사 2007
1 곽삼근, "현대인의 삶과 문화예술교육" 집문당 2016
2 백령, "통합예술교육이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3 김종엽, "철학, 상상력, 표현" 세창출판사 2017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Ⅱ:Methods" 아카데미프레스 2013
5 임부연, "유아예술교육의 비평적 이해: 유아교사의 예술 및 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육아지원학회 9 (9): 127-149, 2014
6 유혜령, "유아를 위한 상상력 교육의 접근: 후기구조주의적 관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5-34, 2017
7 오채선, "유아교육에서 본 상상력에 대한 교육적 탐색: 발달적 관점을 넘어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5-30, 2016
8 이정금, "유아교실에서 교사 상상력에 관한 경력유아교사들의 이해"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35-62, 2017
9 오채선, "유아교사의 상상놀이 활동 지도경험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81-105, 2015
10 Read, H., "예술을 통한 교육" 학지사 2007
11 맹봉재, "예술에서 왜 상상력이 요구되는가?" 연경문화사 2014
12 오율자, "예술에 있어서 상상력의 근원" 한국체육철학회 18 (18): 301-315, 2010
13 김수현, "예술가의 상상력, 그 다양한 층위" 민족미학회 11 (11): 183-224, 2012
14 하정희,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상상력에 대한 이해 탐구: 상상력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을 중심으로" 이화어린이연구원 3 (3): 47-72, 2018
15 하정희, "어린이의 리듬과 즉흥연주를 위한 상상놀이 음악활동" 공동체 2009
16 Vygostky, "아동의 상상력과 창조" 창지사 1999
17 허승희, "아동의 상상력 발달" 학지사 2002
18 Root-Bernstein, "생각의 탄생" 에코의 서재 2007
19 김경철, "상상력이 있는 가르침과 유아교사의 교육적 상상력" 63-109, 2016
20 홍명희, "상상력의 교육과 교육적 상상력"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1 : 631-652, 2007
21 이하영, "상상력에 관한 연구 동향 및 유형 재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281-308, 2014
22 오경희, "상상력과 미메시스의 창조적 특성에 근거한 유아 상상력의 재개념화에 관한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125-144, 2013
23 박치완, "상상력과 문화콘텐츠"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3
24 홍명희, "상상력과 가스통 바슐라르" 살림출판사 2005
25 Egan, K., "상상력 교육: 미래학교를 디자인하다" 학지사 2014
26 Collingeood, R. G., "상상과 표현: 예술의 철학적 원리" 고려원 1996
27 임부연, "상상과 은유를 매개로 유아교사의 발화 탐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9) : 81-104, 2009
28 김혜숙,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에 근거한 음악적 상상력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29 이주하, "바슐라르와 뒤랑의 상상력 재발견과 그 교육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회 (34) : 351-390, 2008
30 Nachmanovitch, S., "놀이, 마르지 않는 창조의 샘" 에코의 서재 2008
31 Steiner, R., "교육의 기초로서의 일반인간학" 물병자리 2002
32 홍명희, "교육에 있어서의 상상력의 의미와 역할" 프랑스문화예술학회 16 : 319-342, 2006
33 허영주, "교사 상상력의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137-163, 2011
34 Bachelard, G., "공기의 꿈" 이학사 2003
35 Dewey, J,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2003
36 Stevenson, L., "Twelve conceptions of imagination" 43 (43): 238-259, 2003
37 Gibbons, S. L., "Kant’s theory of imagination: Bridging gaps in judgement and experience" Clarendon Press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