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축제의 경제적 효과에 관한 실증 분석 : 부산광역시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Local Festivals on Service Consump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512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지역축제의 서비스소비에 대한 효과를 경제성장이론에 바탕을 둔 구조적 추정식을 도출하고, 지역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축제와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된 도소매업, 운수업,...

      본고에서는 지역축제의 서비스소비에 대한 효과를 경제성장이론에 바탕을 둔 구조적 추정식을 도출하고, 지역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축제와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된 도소매업, 운수업, 숙박 및 음식업,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 4개 업종을 대상으로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지역축제가 축제 개최 지역의 소비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오히려 운수업과 음식숙박업에서는 지역 축제가 해당지역 소비에 유의적으로 부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이 두 업종에서 부산시 다른 지역의 축제도 지역 소비에 부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추정 결과는 부산시 지역에서 지역 축제가 해당 지역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의 운수업과 음식숙박 소비에 부정적임을 시사하며, 축제 기간이 증가할수록, 축제가 누적될수록, 축제 수가 증가할수록 부정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지역축제의 수나 축제 기간이 적정수준 보다 많고, 유사한 축제가 누적되어, 축제에 대한 관심도나 참여 동기를 떨어뜨린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축제를 개최한 지역뿐만 아니라 이웃 지역 소비에도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향후 부산시의 지역축제는 축제의 수나 기간을 전반적으로 줄일 필요가 있으며, 유사한 축제는 통합할 필요가 있다. 특히, 부산시 전체의 축제 수나 기간을 일정 수준을 벗어나지 않도록 조정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여러 구·군이 함께 연합하여 지역축제를 통합 개최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he relation of local festivals to consumption is derived from the economic growth theory, and by using regional panel data, it is estimated on the four service industries; wholesale and retail trade, transportation and storage, accommo...

      In this paper, the relation of local festivals to consumption is derived from the economic growth theory, and by using regional panel data, it is estimated on the four service industries; wholesale and retail trade, transportation and storage, accommodation and food services, and cultural and other service industries.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 it is not possible to obtain that local festivals have a positive effect on service consumption in the district where the festivals are held. Rather, it is estimated that local festivals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consumption in the district in the transportation and storage services and accommodation and food services. In addition, in these two industries, local festivals in other districts of Busan are also estimated to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onsumption in the district. These estimation results suggest that local festivals in a district in Busan are negative for the two service industries not only in that district but also in other districts. As the festival period increased, the number of festivals increased, and the number of festivals incre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and festivals is negative. Therefore, for local festivals in Busa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overall number and duration of festivals and to integrate similar festiva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2. 이론적 모형 3. 자료와 추정 결과 4. 결론 및 시사점
      • 서론 2. 이론적 모형 3. 자료와 추정 결과 4. 결론 및 시사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표, "축제서비스품질이 방문객 만족도, 재방문 의도 및 추천 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22 (22): 803-814, 2020

      2 김영표, "축제방문동기에 따른 축제방문객 시장세분화"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1481-1493, 2017

      3 김성현, "지역축제의 지역경제활성화 영향 분석" 한국행정학회 39 (39): 221-246, 2005

      4 김영덕, "지역축제가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무역연구원 13 (13): 463-481, 2017

      5 김한주,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6대 권역별 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 분석"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5-21, 2011

      6 김한주,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16개 시도별 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 분석"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6 (26): 5-24, 2014

      7 이충기,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보령머드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83-100, 2010

      8 김재훈, "지역문화축제인프라의 발전방향" 한국자료분석학회 7 (7): 1843-1855, 2005

      9 최유진, "지역경제 활성화 요인으로서의 지역문화:시군 단위 지방정부의 패널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1 (21): 163-185, 2011

      10 김영덕, "지역 축제의 고용 효과에 관한 실증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21 (21): 2985-2994, 2019

      1 김영표, "축제서비스품질이 방문객 만족도, 재방문 의도 및 추천 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22 (22): 803-814, 2020

      2 김영표, "축제방문동기에 따른 축제방문객 시장세분화"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1481-1493, 2017

      3 김성현, "지역축제의 지역경제활성화 영향 분석" 한국행정학회 39 (39): 221-246, 2005

      4 김영덕, "지역축제가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무역연구원 13 (13): 463-481, 2017

      5 김한주,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6대 권역별 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 분석"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3 (23): 5-21, 2011

      6 김한주, "지역산업연관모형을 이용한 16개 시도별 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 분석"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6 (26): 5-24, 2014

      7 이충기, "지역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보령머드축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83-100, 2010

      8 김재훈, "지역문화축제인프라의 발전방향" 한국자료분석학회 7 (7): 1843-1855, 2005

      9 최유진, "지역경제 활성화 요인으로서의 지역문화:시군 단위 지방정부의 패널분석"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1 (21): 163-185, 2011

      10 김영덕, "지역 축제의 고용 효과에 관한 실증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21 (21): 2985-2994, 2019

      11 김영덕, "지역 축제의 경제성장 효과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20 (20): 2981-2991, 2018

      12 석호원, "정책혁신으로서 지역축제 확산에 관한 연구 : 경기도의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183-206, 2010

      13 김윤정, "문화자원 스토리텔링이 커뮤니케이션 적합성과 문화적 가치인식, 문화적 자부심에 미치는 영향: 제주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1523-1536, 2016

      14 김영표, "관광객과 지역주민의 축제참여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춘천마임축제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517-528, 2013

      15 Oh, H. S, "A study to improve system management with application of sunset system in selectio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2013

      16 류천훈,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실증분석"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5 (25): 47-62,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8 0.956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