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新羅 下代 北宗禪의 동향 = BukJongSeon in the latter period of Sil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501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景德王代 神行에 의해 신라에 소개된 北宗禪은 당시 왕실세력의 관심을 받으며 전개되었다. 그러나 惠恭王代 신행이 입적하고 중대 왕권의 단절로 인한 정치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傳法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憲德王代 南宗禪이 소개된 이후 중국과 마찬가지로 북종선은 남종선에 흡수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신라 하대 북종선의 존재를 확인해볼 수 있어 주목된다. 먼저 헌덕왕대 神行碑가 건립되었다. 신행비는 신행 제자들의 활동과 金獻貞과 그의 누이인 헌덕왕비가 후원을 하여 건립되었다. 따라서 신행 입적 이후 북종선은 그의 제자들을 통해 계승되었고 김헌정 가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성주산문과 희양산문을 개창한 無染과 道憲의 수학과정에서도 북종선과 관련된 내용이 발견된다. 무염은 북종선 승려에게 처음 출가하였다. 도헌은 화엄종으로 출가한 후 북종선을 수학하였다. 이처럼 무염과 도헌에게 북종선이 사상적 영향을 주었다는 점은 신라 하대 선종의 전개과정에 있어 중요한 사실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내용들을 통해 헌덕왕대 지리산과 설악산 지역에서 북종선 승려들이 활동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도헌이 입적한 헌강왕대까지는 북종선이 하대 선종계에서 일정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다면 신라 하대 북종선이 존재할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이었을까? 먼저 북종선은 사상적으로 敎宗과 그다지 큰 충돌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단월세력들의 후원이 중요하게 작용하였을 것 같다. 김헌정이 헌덕왕대 북종선과 밀접한 관계를 맺은 이후 禮英系는 선종에 대한 이해가 깊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김헌정의 후손인 景文王系 왕실이 선종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후원을 해주었던 모습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경문왕계는 선종승려들에 두루 관심을 가졌으며 특히 북종선과 연관된 무염과 도헌에 대해 더 큰 관심을 갖고 후원을 해 주었다. 이러한 모습이 나타나게 된 원인은 여러 가지로 논의되고 있지만 무엇보다 그 가계의 선조인 김헌정이 북종선의 단월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점이 우선 작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선종에 대해 일찍이 이해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당시 불교계와 정치사회적 상황을 정리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번역하기

      景德王代 神行에 의해 신라에 소개된 北宗禪은 당시 왕실세력의 관심을 받으며 전개되었다. 그러나 惠恭王代 신행이 입적하고 중대 왕권의 단절로 인한 정치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傳法하는...

      景德王代 神行에 의해 신라에 소개된 北宗禪은 당시 왕실세력의 관심을 받으며 전개되었다. 그러나 惠恭王代 신행이 입적하고 중대 왕권의 단절로 인한 정치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傳法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憲德王代 南宗禪이 소개된 이후 중국과 마찬가지로 북종선은 남종선에 흡수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지만 신라 하대 북종선의 존재를 확인해볼 수 있어 주목된다. 먼저 헌덕왕대 神行碑가 건립되었다. 신행비는 신행 제자들의 활동과 金獻貞과 그의 누이인 헌덕왕비가 후원을 하여 건립되었다. 따라서 신행 입적 이후 북종선은 그의 제자들을 통해 계승되었고 김헌정 가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성주산문과 희양산문을 개창한 無染과 道憲의 수학과정에서도 북종선과 관련된 내용이 발견된다. 무염은 북종선 승려에게 처음 출가하였다. 도헌은 화엄종으로 출가한 후 북종선을 수학하였다. 이처럼 무염과 도헌에게 북종선이 사상적 영향을 주었다는 점은 신라 하대 선종의 전개과정에 있어 중요한 사실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내용들을 통해 헌덕왕대 지리산과 설악산 지역에서 북종선 승려들이 활동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도헌이 입적한 헌강왕대까지는 북종선이 하대 선종계에서 일정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다면 신라 하대 북종선이 존재할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이었을까? 먼저 북종선은 사상적으로 敎宗과 그다지 큰 충돌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단월세력들의 후원이 중요하게 작용하였을 것 같다. 김헌정이 헌덕왕대 북종선과 밀접한 관계를 맺은 이후 禮英系는 선종에 대한 이해가 깊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김헌정의 후손인 景文王系 왕실이 선종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후원을 해주었던 모습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경문왕계는 선종승려들에 두루 관심을 가졌으며 특히 북종선과 연관된 무염과 도헌에 대해 더 큰 관심을 갖고 후원을 해 주었다. 이러한 모습이 나타나게 된 원인은 여러 가지로 논의되고 있지만 무엇보다 그 가계의 선조인 김헌정이 북종선의 단월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점이 우선 작용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선종에 대해 일찍이 이해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당시 불교계와 정치사회적 상황을 정리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憲德王代 神行禪師碑건립
      • Ⅲ. 신라 하대 禪師들의 北宗禪 수용
      • Ⅳ. 신라 하대 北宗禪과 景文王系 왕실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憲德王代 神行禪師碑건립
      • Ⅲ. 신라 하대 禪師들의 北宗禪 수용
      • Ⅳ. 신라 하대 北宗禪과 景文王系 왕실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杜珍, "朗慧와 그의 禪思想" 57 : 1973

      2 金杜珍, "羅末麗初 선종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188 : 2005

      3 석길암, "羅末麗初 불교사상의 흐름에 대한 일고찰-선의 전래와 화엄종의 대응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26) : 33-64, 2006

      4 김두진, "羅末麗初 曦陽山門의 禪宗思想" 한국학연구소 26 : 41-63, 2004

      5 曺凡煥, "羅末麗初 禪宗山門 開倉 硏究" 경인문화사 2008

      6 金福順, "한국고대불교사연구" 민족사 2002

      7 김수태, "전라도 지역의 선종산문과 장보고 집단" 재단법인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06

      8 金杜珍, "신라하대 선종사상의 성립과 그 변화" 11 : 1997

      9 金杜珍,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 일조각 2007

      10 曺凡煥, "신라하대 智證道憲과 曦陽山門의 성립" 4 : 2005

      1 金杜珍, "朗慧와 그의 禪思想" 57 : 1973

      2 金杜珍, "羅末麗初 선종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188 : 2005

      3 석길암, "羅末麗初 불교사상의 흐름에 대한 일고찰-선의 전래와 화엄종의 대응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26) : 33-64, 2006

      4 김두진, "羅末麗初 曦陽山門의 禪宗思想" 한국학연구소 26 : 41-63, 2004

      5 曺凡煥, "羅末麗初 禪宗山門 開倉 硏究" 경인문화사 2008

      6 金福順, "한국고대불교사연구" 민족사 2002

      7 김수태, "전라도 지역의 선종산문과 장보고 집단" 재단법인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06

      8 金杜珍, "신라하대 선종사상의 성립과 그 변화" 11 : 1997

      9 金杜珍,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 일조각 2007

      10 曺凡煥, "신라하대 智證道憲과 曦陽山門의 성립" 4 : 2005

      11 김창겸, "신라 하대 왕실세력의 변천과 왕위계승" 신라문화연구소 (22) : 81-103, 2003

      12 장일규, "숭복사비명과 경문왕계 왕실" 역사학회 (192) : 35-65, 2006

      13 柳田聖山, "선의 사상과 역사" 민족사 1989

      14 김두진, "나말여초의 선종산문과 그 사상의 변화" 신라문화연구소 (27) : 111-131, 2006

      15 추만호, "나말려초 선종사상사연구" 이론과 실천 1992

      16 李智冠, "譯註 歷代高僧碑文(신라편)" 가산문고 1992

      17 한국고대사회연구소,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Ⅱ・Ⅲ"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18 郭丞勳, "統一新羅時代의 政治變動과 佛敎" 국학자료원 2002

      19 呂聖九, "神行의 生涯와 思想, in 수촌박영석교수화갑기념 한국사학논총 上" 1992

      20 金杜珍, "曦陽山門의 성립과 宗系의 변화" 2003

      21 金煐泰, "曦陽山禪脈의 成立과 그 法系에 대하여, in 韓國佛敎禪門의 形成史硏究" 민족사 1986

      22 金相鉉, "新羅華嚴思想史硏究" 민족사 1991

      23 石井公成, "新羅華嚴學の基礎的硏究-義相一乘法界圖の成立事情" 4 : 2003

      24 鄭性本, "新羅禪宗의 硏究" 민족사 1995

      25 曺凡煥, "新羅禪宗硏究" 일조각 2001

      26 金南允, "新羅法相宗硏究" 서울대학교 1995

      27 韓基汶, "新羅末 禪宗寺院의 形成과 構造" 2 : 2001

      28 김정권, "新羅時代 眞鑒禪師 慧昭의 南宗禪 受容과 雙谿寺 創建" 27 : 1999

      29 李基白, "新羅思想史硏究" 일조각 1986

      30 高翊晋, "新羅下代의 禪傳來, in 韓國佛敎禪門의 形成史硏究" 민족사 1986

      31 金杜珍, "新羅下代 禪師들의 中央王室과 地方豪族과의 관계" 20 : 1997

      32 최인표, "新羅下代 禪宗敎團의 動向과 王室의 對應" 신라문화연구소 (27) : 75-109, 2006

      33 金杜珍, "新羅下代 禪宗山門의 社會經濟的 基盤" 21 : 1997

      34 崔柄憲, "新羅下代 禪宗九山派의 成立, in 韓國佛敎禪門의 形成史硏究" 민족사 1986

      35 李基東, "新羅下代 王位繼承과 政治過程, in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郞徒" 일조각 1984

      36 曺凡煥, "新羅下代 景文王의 佛敎政策" 16 : 1999

      37 송은일, "新羅下代 景文王系의 成立" 호남사학회 (22) : 125-158, 2004

      38 정선여, "新羅 中代末・下代初 北宗禪의 受容-丹城斷俗寺神行禪師碑文을 중심으로" 12 : 1997

      39 조범환, "新羅 下代 禪僧과 王室" 신라문화연구소 (26) : 259-281, 2005

      40 鄭性本, "中國禪宗의 成立史硏究" 민족사 1995

      41 李基白, "上大等考, in 新羅政治社會史硏究" 일조각 19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8 0.98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