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교종 불교의 전통 위에서 선종 불교가 크게 일어났던 신라 서남해안 일대에 분포한 선종 사찰의 선사상 속에서 법화신앙과 관음신앙의 흐름과 변화를 살피고, 그것이 장보고의 법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교종 불교의 전통 위에서 선종 불교가 크게 일어났던 신라 서남해안 일대에 분포한 선종 사찰의 선사상 속에서 법화신앙과 관음신앙의 흐름과 변화를 살피고, 그것이 장보고의 법화...
이 글은 교종 불교의 전통 위에서 선종 불교가 크게 일어났던 신라 서남해안 일대에 분포한 선종 사찰의 선사상 속에서 법화신앙과 관음신앙의 흐름과 변화를 살피고, 그것이 장보고의 법화신앙과 어떤 관련을 가지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힌 것이다.
신라 하대에 서남해안 일대에는 천관산을 중심으로 화순, 능성, 장흥, 강진, 완도, 영암 등지에 여러 사찰이 분포하였다. 그것은 처음에 의상, 영통(통영)등과 관련되었지만, 장보고가 활동하였던 시기에는 점차 혜철, 체징, 도윤 등과도 연결되었다. 이들은 입당이나 귀국 과정에서 모두 장보고 선단과 인연을 맺었기 때문이다. 특히 쌍봉사에 머물다가 대안사로 이거한 혜철은 천태불교를 유념하였는데, 혜철 이후 쌍봉사에 머문 도윤은 물론 보림사에 주석한 체징은 쌍봉사의 법화신앙에 제법 영향을 받았다. 법화신앙을 포함한 선사상은 도선, 절중, 형미, 경보, 경유 등 문도들에 의해서 서남해안 일대에 널리 퍼져갔다.
서남해안 일대에 자리하였던 선문은 화엄이나 유식 등 교종 불교를 완전히 배척하지 않고 오히려 아우르면서 남종선사상을 펼쳐 나갔다. 혜철은 하늘과 땅에 기원하여 비를 내리는 神力을 보였고, 형미와 경유는 미륵의 강림을 위해 힘써 수행하는 求道者로 비유되는 등, 당시 선승들은 고통스러운 현실에서 중생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 노력하였다. 그들은 자신의 선사상에 석가정토와 미륵정토의 염원을 담았다. 다만 혜철은 서남해안 일대의 민심과 관련하여 미륵신앙을 아울렀지만, 쌍봉사의 법맥을 이은 절중은 특별히 관음신앙을 부각하였다. 그는 장보고의 본영에 가까운 천관산과 보림사를 중심으로 서남해안 일대 선문에 영향을 미쳤던 화엄사상을 유념하면서 실천적인 관음신앙과 함께 현세이익적인 법화신앙을 강조하였다.
신라 사람들은 적산법화원에 모여 《법화경》 강경법회를 열었다. 천태종 승려인 지원, 문감과 긴밀한 관계를 가졌던 성림이 법회의 법주를 맡았기에 법화원의 신라인들도 화엄사상을 아우르는 법화신앙에 익숙하였다. 장보고는 적산과 완도를 잇는 해상 무역을 전개하면서 상인들이 항해 중에 겪는 무서움과 어려움을 제거할 필요가 있었다. 절중은 파도치는 바다를 건널 때 관음보살로 상징되는 바다신을 만나 신라로 돌아왔다. 서남해안 일대의 선문에는 渡海의 위험을 해소하려고 특별히 관음신앙이 부각되었다. 장보고는 서남해안 일대 선문과 관련 속에서 천태사상과 화엄사상, 선사상을 아우르는 경향과 함께 실천적인 관음신앙을 아우르면서 현실을 강조하는 법화신앙을 유념하였다. 장보고 사후에도 이러한 불교사상이나 불교신앙은 서남해안 일대 선문의 법맥을 이은 선승에 의해서 고려 초의 교종 불교와 선종 불교에 영향을 미쳤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曺凡煥, "羅末麗初 禪宗山門 開創 硏究" 경인문화사 2008
2 김수태, "전라도 지역의 선종산문과 장보고 집단" (재)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06
3 조영록, "장보고 선단과 해양불교-9~10세기 동아시아 해상불교 교류" (재)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04
4 조영록, "장보고 선단과 9세기 동아시아의 불교교류" 2002
5 김문경,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 중심 2001
6 김두진,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 일조각 2007
7 곽승훈, "신라시대 지리산권의 불사활동과 신행선사비의 건립 -중대 말 하대 초의 정치변동과 관련하여-" 신라문화연구소 34 (34): 193-218, 2009
8 변동명, "신라말·고려시기의 和順 雙峯寺" 호남사학회 (37) : 1-32, 2009
9 곽승훈, "신라 하대 전기의 신정권과 법화사상" 한국사상사학회 (32) : 159-190, 2009
10 張日圭, "신라 하대 서남해안 일대 천태 관련 사찰과 장보고 선단" 10 : 2007
1 曺凡煥, "羅末麗初 禪宗山門 開創 硏究" 경인문화사 2008
2 김수태, "전라도 지역의 선종산문과 장보고 집단" (재)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06
3 조영록, "장보고 선단과 해양불교-9~10세기 동아시아 해상불교 교류" (재)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04
4 조영록, "장보고 선단과 9세기 동아시아의 불교교류" 2002
5 김문경,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 중심 2001
6 김두진,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 일조각 2007
7 곽승훈, "신라시대 지리산권의 불사활동과 신행선사비의 건립 -중대 말 하대 초의 정치변동과 관련하여-" 신라문화연구소 34 (34): 193-218, 2009
8 변동명, "신라말·고려시기의 和順 雙峯寺" 호남사학회 (37) : 1-32, 2009
9 곽승훈, "신라 하대 전기의 신정권과 법화사상" 한국사상사학회 (32) : 159-190, 2009
10 張日圭, "신라 하대 서남해안 일대 천태 관련 사찰과 장보고 선단" 10 : 2007
11 張日圭, "금석문을 통한 신라사 연구, in 금석문을 통한 신라사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5
12 김두진, "고려전기 교종과 선종의 교섭사상사 연구" 일조각 2006
13 김두진, "고려전기 法華사상의 변화" 한국사상문화학회 (21) : 243-279, 2003
14 許興植, "韓國金石全文"
15 崔柄憲, "道詵의 生涯와 羅末麗初의 風水地理說-禪宗과 風水地理說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11 : 1975
16 金杜珍, "義湘-그의 생애와 화엄사상" 1995
17 淨修, "祖堂集"
18 장일규, "淸海鎭大使 張保皐의 활동과 對民策" 육군본부 군사연구소 123 : 2007
19 金煐泰, "法華信仰의 傳來와 그 展開-三國・新羅時代" 米山洪庭植博士華甲紀念 佛敎學論叢 3 : 1977
20 朝鮮總督府, "朝鮮金石總覽"
21 朴貞柱, "新羅末・高麗初 獅子山門과 政治勢力" 77 : 1994
22 李啓杓, "新羅下代의 迦智山門" 7 : 1993
23 한태일, "慶甫와 그의 曹洞禪思想" 한국고대사학회 (42) : 313-346, 2006
24 金文經, "張保皐硏究" 연경문화사 1997
25 崔致遠, "崔文昌侯全集"
26 天因, "天冠山記"
27 圓仁, "入唐求法巡禮行記"
28 呂聖九, "元表의 生涯와 天冠菩薩信仰硏究" 48 : 1993
張保皐 활동지역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 · 백제 遺民과 신라인들의 佛事活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8 | 0.981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