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의인화한 천군소설은 조선 중기의 중요한 소설 양식이고. 그 가운데 김우옹의 「천군전」과 임제의 「수성지」는 각각 영남과 호남 지방문학의 특성이 잘 반영된 소설들이다. 본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680547
2015
Korean
「천군전」 ; 「수성지」 ; 영남문학 ; 호남문학 ; 주리론 ; 주기론 ; 인심도심 ; Cheongunjeon ; Suseongji ; Youngnam literature ; Honam literature ; Ju-ri theory ; Ju-gi theory ; Insim-Dosim ; 「愁城誌」 ; 「天君傳」 ; 主理論 ; 主氣論 ; 人心道心
KCI등재
학술저널
129-162(3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마음을 의인화한 천군소설은 조선 중기의 중요한 소설 양식이고. 그 가운데 김우옹의 「천군전」과 임제의 「수성지」는 각각 영남과 호남 지방문학의 특성이 잘 반영된 소설들이다. 본고...
마음을 의인화한 천군소설은 조선 중기의 중요한 소설 양식이고. 그 가운데 김우옹의 「천군전」과 임제의 「수성지」는 각각 영남과 호남 지방문학의 특성이 잘 반영된 소설들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천군소설이 창작된 배경을 살펴본 후, 두 작품의 작가와 창작 동기, 서사 구조와 갈등의 양상, 등장인물의 성격, 주제와 가치 등을 분석하여 고찰하였다. 김우옹은 영남의 정통 성리학자로서 스승인 조식의 <신명사도>라는 도상을 「천군전」이란 소설로 형상화하였다. 「천군전」은 성리학의 인성론인 인심과 도심을 충신과 역신으로 의인화하고 그 갈등을 그린 소설로, 이는 심성의 수양을 치국의 원리로 확장하고, 세교의 수단으로 창작한 것이다. 반면 「수성지」의 작자 임제는 유학자이면서도 문학에 더 능한 작가로서, 자신의 정치적 불만과 부조리한 현실을 풍자하고 자신을 표현하기 위하여 이 소설을 창작한 것으로 보인다. 「수성지」는 표면과 이면의 이중 구조와 주제로 되어 있다. 표면상으로는 인심과 도심 즉 충신과 비충신의 갈등 구조와 심성수양을 주제로 하고 있으나, 이면적으로는 갈등이 아니라 수심과 그 원인이 된 인물과의 화해를 주제로 하고 있다. 『心經』의 인심도심설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제기를 하고 있는 것이다. 「천군전」이 주리론적 이기이원론을 바탕으로 심성수양이라는 성리학적 이념을 형상화함으로써 영남 지방문학의 성향에 부합하는 작품이라 한다면, 「수성지」는 주기론적 이기일원론의 관점에서 現象을 충실히 표현하고자 한 호남 지방문학의 성향을 잘 드러낸 작품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心性의 擬人化, 傳奇的 구성, 史傳體 형식, 擬似 夢遊錄 수법, 假傳體의 형식 등 소재의 확장과 아울러 당시까지의 다양한 소설 기법을 구사하여 형상화한 것은 문학사적으로도 매우 의의있는 작품들이라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eongun story is a important form of literature in middle Joseon, which is personified human mind. Cheongunjeon of Kim U-Ong and Suseongji of Lim Je reflect distinct features of Youngnam and Honam literature. In this study, contrasting characteristic...
Cheongun story is a important form of literature in middle Joseon, which is personified human mind. Cheongunjeon of Kim U-Ong and Suseongji of Lim Je reflect distinct features of Youngnam and Honam literature. In this study, contrasting characteristics on motivation, narrative structure, conflict aspect, characters`` features and theme are found between two stories with researching background of invention of Cheongun story. Kim U-Ong, a famous Neo-Confucian scholar, turned the picture of his mentor Jo Sik``s Sinmyeongsado into Cheongunjeon story with imagery. In Cheongunjeon, Insim refered to Confucian mentality and Dosim to morality are personified as each loyal and rebellious subject. With characters`` conflict, the writer considered nature meditation to a mean of statecraft and public education. On the contrary, Lim Je of wrote Suseongji to satirize his political dissatisfaction and absurd reality and to express his own opinion as a confucian scholar and a brilliant novelist. Suseongji has double structure, a conflict between loyal and rebellion subject with mental meditation is a inner subject and training of the mind and reconciliation with conflict contributor are inherent as a outer subject. That means a presentation of the problem which cannot be settled with Insim-Dosim theory from Simgyeong Cheongunjeon reflects mental meditation from Ju-ri Theory and answers the tendency of Youngnam literature as well, meanwhile, Suseongji reveals inclination of Honam literature representing a phenomenon from an aspect of Ju-gi Theory.
고전 시가 속 여성 시선의 한 양상과 시가미학사적 전승
<조의제문(弔義帝文)>의 원천(源泉), 연촌(烟村) 崔德之의 <일편야사(一篇野史)>
이백(李白)과 이하(李賀)의 <장진주(將進酒)>가 한국 한시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