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다시 보기: -비판적 평가 및 전망- = Revisiting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A Critical Review and Prosp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347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이명박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을 이념적 특성, 제도적 기반 및 정책내용 측면에서 평가하고, 향후의 변화방향을 모색하였다. 원론적으로 저탄소 녹색...

      본 연구에서는 이명박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을 이념적 특성, 제도적 기반 및 정책내용 측면에서 평가하고, 향후의 변화방향을 모색하였다. 원론적으로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은 현재와 같은 기후변화와 에너지고갈의 시대에 정합하지만, 이 정책의 지속적 추진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의 전환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저탄소 녹색성장이 지속가능발전 개념을 대체하고 상위 국가전략으로 설정된 현 체제는 기형적이라는 점에서 지속가능발전을 국가패러다임으로 복원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은 그 하위전략으로 자리매김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저탄소 녹색성장은 한국판 생태근대화 전략으로 평가될 수 있지만, 향후에는 사회집단들의 참여 및 수평적 거버넌스의 확장을 통해 강한 생태근대화를 지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반이 되는 현재의 녹색성장법제는 과도하거나 법제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가능발전기 본법을 복원하고 녹색성장법제를 그 하위의 일반 법률 형태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이름 하에 추진된 사업들을 점검하고 녹색과의 연관성이 적은 사업들은 폐기하거나 다른 정책영역으로 이관하는 등의 구조조정 노력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ttempts to evaluate the ideological features, institutional arrangements, and contents of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which has been promoted since 2008, and explore prospects of future change of the policy. The low carbon, green ...

      This research attempts to evaluate the ideological features, institutional arrangements, and contents of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which has been promoted since 2008, and explore prospects of future change of the policy. The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seems to be a suitable option in principle for dealing with pending climate change and energy depletion, however, some changes should be made as followings in order to maintain this policy. First, the principle of sustainable development ought to be restored as the comprehensive policy orientation of the country, and, thus, the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would be pursued as a tactical policy strategy for the achieve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Second, while the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has been promoted as the Korean way of ecological modernization, it should embrace the interests of all stake-holders and facilitate horizontal governance in order to be a strong ecological modernization. Third, the established legal institu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ought to be restructured to be parts of the comprehensive institutional arrangement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Finally, the policy measures adopt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low carbon, green growth' policy should be reevaluated in order to sort out and transfer 'greenish' blue or red projects to other relevant policy area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BS, "환경정책평가연 ‘4대강 등 환경영향평가 부실’"

      2 김지현, "환경적 측면에서 평가한 경제발전유형의 국제비교분석" 한국환경정책학회 14 (14): 147-167, 2006

      3 환경부, "한국의 녹색성장, 세계경제에 새로운 발전방향을 제시" 환경부 2009

      4 홍종호, "한국경제의 녹색성장 가능성 검토: 배경과 과제" 49 : 95-107, 2010

      5 조명래, "토건적 녹색성장과 ‘녹색환각’의 위험" 59 : 9-35, 2009

      6 김상겸, "지출탄력성이 환경세의 효율성 개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8 (8): 139-162, 2009

      7 지식경제부, "지식⋅혁신주도형 녹색성장을 위한 산업발전전략" 지식경제부 2008

      8 김판석,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이해와 개념 정립" 32 (32): 71-88, 1998

      9 정규호,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 거버넌스 체제에서 합의형성에 관한 연구 :녹색서울시민위원회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0 이정전, "지속가능발전과 녹색성장의 차이" 11 : 7-15, 2010

      1 KBS, "환경정책평가연 ‘4대강 등 환경영향평가 부실’"

      2 김지현, "환경적 측면에서 평가한 경제발전유형의 국제비교분석" 한국환경정책학회 14 (14): 147-167, 2006

      3 환경부, "한국의 녹색성장, 세계경제에 새로운 발전방향을 제시" 환경부 2009

      4 홍종호, "한국경제의 녹색성장 가능성 검토: 배경과 과제" 49 : 95-107, 2010

      5 조명래, "토건적 녹색성장과 ‘녹색환각’의 위험" 59 : 9-35, 2009

      6 김상겸, "지출탄력성이 환경세의 효율성 개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8 (8): 139-162, 2009

      7 지식경제부, "지식⋅혁신주도형 녹색성장을 위한 산업발전전략" 지식경제부 2008

      8 김판석,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이해와 개념 정립" 32 (32): 71-88, 1998

      9 정규호,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 거버넌스 체제에서 합의형성에 관한 연구 :녹색서울시민위원회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0 이정전, "지속가능발전과 녹색성장의 차이" 11 : 7-15, 2010

      11 서울신문, "조 쏟은 녹색성장...세계 1위 기술은"

      12 국가에너지위원회,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2008-2030" 2008

      13 이연호, "저탄소녹색성장론에 나타난 이명박정부의 국가-시장-사회관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6 (16): 67-99, 2010

      14 오준근,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입법의 경과와 그 행정법적 과제" 한국비교공법학회 11 (11): 211-233, 2010

      15 최순영,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환경정치학적 성찰" 한국환경철학회 (10) : 225-255, 2010

      16 송호신,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법정책적 과제" 법학연구소 28 (28): 127-158, 2011

      17 신용석,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녹색관광 정책분야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34 (34): 59-75, 2010

      18 문순홍, "생태근대화론을 활용한 환경정책의 지속가능성 평가 기본모형 연구" 8 (8): 113-131, 2000

      19 배미소, "법 위에 법 ‘내용⋅절차’ 하자 투성" 14 : 8-11, 2009

      20 녹색성장위원회, "모두를 위한 녹색성장: 녹색성장체제의 국내외 정착" 2012 녹색성장위원회 2012

      21 정성춘, "동일본 대지진 이후 일본의 에너지 선택: 발전단가 검증위원회 결과분석 및시사점" 2 (2): 2012

      22 공정거래위원회, "대강 살리기 사업 1차 턴키공사 공동행위 적발⋅제재"

      23 에너지경제연구원, "녹색정책과 일자리 창출: 이중배당효과 (에너지하이라이트)"

      24 강성진, "녹색성장의 길" 중앙북스 2009

      25 강성진, "녹색성장의 길" 중앙북스 2009

      26 이지순, "녹색성장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성과와 과제" 4 (4): 5-34, 2011

      27 김명식, "녹색성장에 대한 경제철학적 성찰" 한국환경철학회 (11) : 39-66, 2011

      28 안성경, "녹색성장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양법학회 (31) : 13-33, 2010

      29 녹색성장위원회, "녹색성장국가전략" 2009

      30 녹색성장위원회, "녹색성장5개년계획(2009-2013)" 2009

      31 박지은, "녹색법제의 범위와 체계" 631 : 2010

      32 환경과 생명, "녹색뉴딜의 세계적 흐름과 시사점" 60 : 51-66, 2009

      33 윤경준, "기후변화정책 조정체계의 대안 모색: 정책조정체계의 국가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4 (44): 169-191, 2010

      34 황인창, "기후변화 대응전략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요인 분석 ―생태적 근대화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153-184, 2008

      35 윤순진, "‘저탄소 녹색성장’의 이념적 기초와 실재" 한국환경사회학회 13 (13): 219-266, 2009

      36 문화일보, "[전문가 여론조사] 78% 4대강, 축소 또는 중단해야"

      37 OECD., "Towards green growth: A summary for policy makers" OECD 2011

      38 Porter, Michael E, "Toward a New Conception of the Environment Competitiveness Relationship" 9 (9): 97-118, 1995

      39 Agyeman, Julian, "Sustainability and Democracy: Community Participation in Local Agenda 21" 22 (22): 35-40, 1995

      40 Cohen, Maurie J., "Science and the Environment: Assessing Cultural Capacity for Ecological Modernization" 7 : 149-167, 1998

      41 ESCAP, "Report of the Ministerial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in Asia and the Pacific" ESCAP 2005

      42 Hediger, W., "Reconciling Weak and Strong Sustainability" 26 (26): 1120-1143, 1999

      43 UNEP, "Overview of the Republic of Korea's Green Growth National Vision" UNEP 2009

      44 WCED, "Our Common Future" 1987

      45 Connelly, Steve, "Mapping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Contested Concept" 12 (12): 259-278, 2007

      46 정경욱, "MB판 구호’에 각 부처 ‘과잉충성’" 15 : 8-12, 2009

      47 Whittaker, Stellar, "Local Agenda 21 and Local Authorities" 22 (22): 3-11, 1995

      48 "Greenwashing Report 2010" Terrachoice 2010

      49 Campbell, Scott, "Green Cities, Growing Cities, Just Cities? Urban Planning and the Contradic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62 (62): 296-312, 1996

      50 Hannigan, John, "Environmental sociology: A social constructivist perspective" Routledge 1995

      51 Mol, Arthur P. J., "Environmental Transformation of the Modern Order, In Modernity and Technology" MIT Press 03-325, 2003

      52 Buchdahl, J. M., "Environmental Ethic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6 (6): 92-98, 1998

      53 Ekins, Paul., "Economic Growth, Human Welfare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e Prospects for Green Growth" Routledge 2000

      54 Frijns, Jos, Phuong, "Ecological modernization theory and industrializing economies: The case of Viet Nam, In Ecological modernisation around the world: Perspectives and critical debates" 257-291, 2000

      55 Cohen, Maurie. J., "Ecological Modernization, Environment Knowledge and National Character: A Preliminary Analysis of the Netherlands, In Ecological modernisation around the world: Perspectives and critical debates" 77-107, 2000

      56 Fisher, R. Dana, "Ecological Modernization and Its Critics: Assessing the Past and Looking Toward the Future" 14 : 701-709, 2001

      57 Mol, Arthur P. J, "Ecological Modernization Around the World: An Introduction" 9 (9): 3-16, 2000

      58 Mol, Arthur P. J., "Ecological Modernisation: Three Decades of Policy, Practice and Theoretical Reflection, In The Ecological modernisation Reader: Environmental Reform in Theory and Practice" Routledge 2009

      59 Christoff, Peter, "Ecological Modernisation, Ecological Modernities" 5 (5): 476-500, 1996

      60 Dasgupta, Susmita, "Confronting Environmental Kuznets Curve" 16 (16): 147-168, 2002

      61 Porter, Michael E, "America’s green strategy" 264 : 168-, 1991

      62 정용인, "4대강사업이 왜 녹색성장인가?"

      63 박창근, "4대강 살리기와 녹색성장의 불협화음" 247 : 46-53, 2009

      64 World Bank, "2010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3 1.8 1.759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