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종 네트워크 간 에너지 효율적인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모바일 P2P 메시지 플랫폼 = A Mobile P2P Message Platform Enabling the Energy-Efficient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001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GPS와 무선랜, 블루투스 등이 탑재된 이동 단말의 비율이 높아지게 됨에 따라, 이동 단말이 갖는 다중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는 모바일 P2P 메시지 플랫폼을 제시한다. ...

      본 논문에서는, GPS와 무선랜, 블루투스 등이 탑재된 이동 단말의 비율이 높아지게 됨에 따라, 이동 단말이 갖는 다중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는 모바일 P2P 메시지 플랫폼을 제시한다. 자신과 타 단말의 GPS 정보에 근거하여 메시지 전달 방법을 ‘직접’, ‘간접’, ‘원거리’로 전달 방식을 구분한다.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를 사용하는 ‘직접’ 방식보다 수신 단말과의 도달 거리를 늘이기 위해 릴레이 노드를 선정하여 ‘간접’으로 수신 단말에게 메시지를 전달한다. ‘직접’이나 ‘간접’ 등의 근거리 RAT를 활용하여 메시지 전달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무선 WAN(wide area network) 기술을 사용하는 ‘원거리’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적용할 RAT 기술을 선택하는데 있어 GPS 정보를 기반으로 함으로써 네트워크 간 핸드오버를 결정하는데 전력 소모가 적다. 네트워크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메시지 전달 성능과 단말의 이동 속도와 RAT의 도달 거리에 따른 핸드오버 감지 오차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고,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제안하는 메시지 전달 기법을 포함하는 메시지 플랫폼을 스마트 폰에 실제 구현하였다. 실제 에너지 소모량 관찰과 수식적 모델링을 통해, 제안한 플랫폼을 탑재한 경우와 탑재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 전력 소모를 비교하였으며, 본 플랫폼을 탑재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들에 비해 전력 소모가 크게 낮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uggests the energy-efficient message delivery scheme and the software platform which exploits the multiple network interfaces of the mobile terminals and GPS in the current mobile devices. The mobile terminals determine the delivery method...

      This paper suggests the energy-efficient message delivery scheme and the software platform which exploits the multiple network interfaces of the mobile terminals and GPS in the current mobile devices. The mobile terminals determine the delivery method among ‘direct’, ‘indirect’, and ‘WAN’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itself and other terminals. ‘Direct’ method sends a message directly to the target terminal using local RAT. ‘Indirect’ method extends the service area by exploiting intermediate terminals as relay node. If the target terminal is too far to reach through ‘direct’ or ‘indirect’ method, the message is sent using wireless WAN technology. Our proposed scheme exploits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us, power consumption is drastically reduced in determining handover time and direction. Network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delivery scheme improves the message transfer efficiency and the handover detection latency. We implemented a message platform in a smart phone realizing the proposed delivery scheme. We compared our platform with other typical message platforms from energy efficiency aspect by observing the real power consumption and applying the mathematical modeling. The comparison results show that our platform requires significantly less pow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배경
      • 3. 제안하는 메시지 전달 기법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배경
      • 3. 제안하는 메시지 전달 기법
      • 4. 메시지 전달 기법 성능 평가
      • 5. 메시지 플랫폼 구현
      • 6.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N. Kotilainen, "mobile Chedar–A Peer-to Peer Middleware for mobile Devices" 2005

      2 myFaves, "http://www.myfaves.com"

      3 Network Simulator, "http://www.isi.edu/ns"

      4 Facebook, "http://www.facebook.com"

      5 DodgeBall, "http://www.dodgeball.com"

      6 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http://www. nmea.org"

      7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http://www. 3gpp.org"

      8 Texas Instrument, "http://focus.ti.com"

      9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http:// www.3gpp2.org"

      10 iSupply, "WPAN: Increased Integration Driving Greater Synergies"

      1 N. Kotilainen, "mobile Chedar–A Peer-to Peer Middleware for mobile Devices" 2005

      2 myFaves, "http://www.myfaves.com"

      3 Network Simulator, "http://www.isi.edu/ns"

      4 Facebook, "http://www.facebook.com"

      5 DodgeBall, "http://www.dodgeball.com"

      6 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http://www. nmea.org"

      7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http://www. 3gpp.org"

      8 Texas Instrument, "http://focus.ti.com"

      9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http:// www.3gpp2.org"

      10 iSupply, "WPAN: Increased Integration Driving Greater Synergies"

      11 A.Burak, "Usage Patterns of FriendZone mobile Location-Based community services" 2004

      12 I.Smith, "Social-mobile Applications" 38 (38): 84-85, 2005

      13 Plazes, "Right Plaze, Right Time"

      14 Strategy Analytics, "Qualcomm Fuels 159 Million A-GPS Phones Global Sales in 2008"

      15 G.Kortuem, "Proem: A Middleware Platform for mobile Peer-to-Peer Computing" 6 (6): 62-64, 2002

      16 B.G.Christensen, "LightPeers:A Lightweight mobile P2P platform" 2007

      17 Bondolo, "JXTA v2.0 protocol Specification"

      18 O.Rantapuska, "GRASSROOTS Group Communication inside Peer-to-Peer mobile Communication" 2006

      19 Nomura International PLC, "Equipment Matter" 2005

      20 D.Nina, "An Exploration on mobile Social Networking:Dodgeball as a Case in Point"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1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과학회논문지 :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IISE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KCI등재
      2013-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ISS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Journal of KIISE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과학회논문지 : 컴퓨팅의 실제 -> 정보과학회논문지 :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외국어명 : Journal of KISS : Computing Practices -> Journal of KISS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1 0.503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