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스코핑 리뷰를 활용한 중년기의 빈둥지 증후군 연구 동향 분석 및 어플리케이션 와이어 프레임 제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635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빈둥지 증후군(Empty Nest Syndrome)을 겪는 중년기를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며, 주요 요인과 증상의 결과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1월부터 2024년 10월까지 발표된 국내외 문헌을 스코핑 리뷰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 질문과 배제 기준에 따라 총 25건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빈둥지 증후군은 심리적 공허감, 우울증, 정체성 상실 등의 부정적 영향을 유발하며, 성별, 학력, 종교 등 인구 사회학적 요인, 취미, 참여 커뮤니티 등 사회적 관계성 요인과 중년 본인의 삶의 목표, 자기 계발 등 개인 심리 요소에 따라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서양 간의 연구 접근법과 문화적 배경의 차이가 연구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빈둥지 증후군 극복을 위해 집단 프로그램, 식단 관리, 정신건강 상담 등 세 가지 주요 기능을 중심으로 어플리케이션 설계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중년기의 심리적 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정신 치료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사회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빈둥지 증후군(Empty Nest Syndrome)을 겪는 중년기를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며, 주요 요인과 증상의 결과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1월부터 2024년 10월까지 발표된 국내외 ...

      본 연구는 빈둥지 증후군(Empty Nest Syndrome)을 겪는 중년기를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며, 주요 요인과 증상의 결과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1월부터 2024년 10월까지 발표된 국내외 문헌을 스코핑 리뷰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 질문과 배제 기준에 따라 총 25건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빈둥지 증후군은 심리적 공허감, 우울증, 정체성 상실 등의 부정적 영향을 유발하며, 성별, 학력, 종교 등 인구 사회학적 요인, 취미, 참여 커뮤니티 등 사회적 관계성 요인과 중년 본인의 삶의 목표, 자기 계발 등 개인 심리 요소에 따라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서양 간의 연구 접근법과 문화적 배경의 차이가 연구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빈둥지 증후군 극복을 위해 집단 프로그램, 식단 관리, 정신건강 상담 등 세 가지 주요 기능을 중심으로 어플리케이션 설계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중년기의 심리적 건강 문제를 해결하고, 정신 치료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사회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research trends on Empty Nest Syndrome(ENS) in middle-aged individuals, identifying key factors and outcomes. A scoping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from January 2010 to October 2024 selected 25 studies based on predefined questions and exclusion criteria. The findings indicate that ENS causes negative effects such as emptiness, depression, and identity loss, influenced by sociodemographic factors (e.g., gender, education, religion), social relationships (e.g., hobbies, community involvement), and personal psychological traits (e.g., life goals, self-development).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ontexts also shaped research directions. This study proposes an application featuring group programs, dietary management, and mental health counseling to help mitigate ENS. It aims to address middle-aged psychological health and promote social support through mental health applications.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research trends on Empty Nest Syndrome(ENS) in middle-aged individuals, identifying key factors and outcomes. A scoping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from January 2010 to October 2024 selected 25 studies based o...

      This study analyzes research trends on Empty Nest Syndrome(ENS) in middle-aged individuals, identifying key factors and outcomes. A scoping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from January 2010 to October 2024 selected 25 studies based on predefined questions and exclusion criteria. The findings indicate that ENS causes negative effects such as emptiness, depression, and identity loss, influenced by sociodemographic factors (e.g., gender, education, religion), social relationships (e.g., hobbies, community involvement), and personal psychological traits (e.g., life goals, self-development).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ontexts also shaped research directions. This study proposes an application featuring group programs, dietary management, and mental health counseling to help mitigate ENS. It aims to address middle-aged psychological health and promote social support through mental health applic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빈둥지 증후군 극복을 위한 논의 및 해결 방안
      •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빈둥지 증후군 극복을 위한 논의 및 해결 방안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