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서울시 D구의 문화다양성 인식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635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해 문화다양성과 관련하여 서울시 D구를 대상으로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 한국 사회는 외국인 근로자, 결혼이주민, 북한이탈주민과 같은 다른 지역에서 유입된 구성원 외에 장애인이나 성소수자 등 다양한 소수자 그룹이 함께 살아가고 있는 다문화사회이다. 이러한 배경을 보면, 문화 다양성은 인류의 공동 유산으로서 개인적, 집단적 풍요를 위한 자원인 동시에, 현재와 미래 세대를 위한 혜택으로 인식, 여러 구성원이 평화롭게 공존하고 상호작용하기 위해 문화다양성이 증진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기별로 2018-2019년, 2020-2021년, 2022-2023 세 가지 시기로 구분하였고, 다루는 자료의 출처는 국내 언론 기사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핵심키워드는 ‘문화다양성’, ‘소수자’, ‘문화예술’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집중적으로 탐색하였다. 결과적으로 총 6883개의 기사 문헌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서울시 D구의 문화다양성 인식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해 문화다양성과 관련하여 서울시 D구를 대상으로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 한국 사회는 외국인 근로자, 결혼이주민, 북한이...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해 문화다양성과 관련하여 서울시 D구를 대상으로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 한국 사회는 외국인 근로자, 결혼이주민, 북한이탈주민과 같은 다른 지역에서 유입된 구성원 외에 장애인이나 성소수자 등 다양한 소수자 그룹이 함께 살아가고 있는 다문화사회이다. 이러한 배경을 보면, 문화 다양성은 인류의 공동 유산으로서 개인적, 집단적 풍요를 위한 자원인 동시에, 현재와 미래 세대를 위한 혜택으로 인식, 여러 구성원이 평화롭게 공존하고 상호작용하기 위해 문화다양성이 증진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기별로 2018-2019년, 2020-2021년, 2022-2023 세 가지 시기로 구분하였고, 다루는 자료의 출처는 국내 언론 기사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핵심키워드는 ‘문화다양성’, ‘소수자’, ‘문화예술’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집중적으로 탐색하였다. 결과적으로 총 6883개의 기사 문헌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서울시 D구의 문화다양성 인식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in D-gu, Seoul, using big data analysis. Currently, Korean society is a multicultural society in which various minority groups such as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exual minorities live together in addition to members from other regions such as foreign workers, marriage migrants, and North Korean refugees. Against this backdrop, cultural diversity should be recognised as a resource for individual and collective enrichment as a common heritage of mankind, as well as a benefit for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and cultural diversity should be promoted for peaceful coexistence and interaction among various members.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time periods: 2018-2019, 2020-2021, and 2022-2023, and the source of data for this study is a database of Korean media articles. The keywords were ‘cultural diversity’, ‘minorities’, and ‘culture art’. As a result, a total of 6883 articles were analys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in Seoul's D-gu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in D-gu, Seoul, using big data analysis. Currently, Korean society is a multicultural society in which various minority groups such as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ex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in D-gu, Seoul, using big data analysis. Currently, Korean society is a multicultural society in which various minority groups such as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exual minorities live together in addition to members from other regions such as foreign workers, marriage migrants, and North Korean refugees. Against this backdrop, cultural diversity should be recognised as a resource for individual and collective enrichment as a common heritage of mankind, as well as a benefit for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and cultural diversity should be promoted for peaceful coexistence and interaction among various members.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time periods: 2018-2019, 2020-2021, and 2022-2023, and the source of data for this study is a database of Korean media articles. The keywords were ‘cultural diversity’, ‘minorities’, and ‘culture art’. As a result, a total of 6883 articles were analys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in Seoul's D-gu a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 과
      • Ⅳ. 논 의
      • 참고문헌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 과
      • Ⅳ. 논 의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