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해 문화다양성과 관련하여 서울시 D구를 대상으로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 한국 사회는 외국인 근로자, 결혼이주민, 북한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63549
2024
-
문화다양성 ; 소수자 ; 문화예술 ; 서울시 D구 ; 빅데이터 분석 ; Cultural diversity ; Minorities ; Culture art ; Senior ; D-gu ; Seoul ; Big data analysis
51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83-106(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해 문화다양성과 관련하여 서울시 D구를 대상으로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 한국 사회는 외국인 근로자, 결혼이주민, 북한이...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해 문화다양성과 관련하여 서울시 D구를 대상으로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 한국 사회는 외국인 근로자, 결혼이주민, 북한이탈주민과 같은 다른 지역에서 유입된 구성원 외에 장애인이나 성소수자 등 다양한 소수자 그룹이 함께 살아가고 있는 다문화사회이다. 이러한 배경을 보면, 문화 다양성은 인류의 공동 유산으로서 개인적, 집단적 풍요를 위한 자원인 동시에, 현재와 미래 세대를 위한 혜택으로 인식, 여러 구성원이 평화롭게 공존하고 상호작용하기 위해 문화다양성이 증진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기별로 2018-2019년, 2020-2021년, 2022-2023 세 가지 시기로 구분하였고, 다루는 자료의 출처는 국내 언론 기사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핵심키워드는 ‘문화다양성’, ‘소수자’, ‘문화예술’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집중적으로 탐색하였다. 결과적으로 총 6883개의 기사 문헌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서울시 D구의 문화다양성 인식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in D-gu, Seoul, using big data analysis. Currently, Korean society is a multicultural society in which various minority groups such as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ex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in D-gu, Seoul, using big data analysis. Currently, Korean society is a multicultural society in which various minority groups such as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exual minorities live together in addition to members from other regions such as foreign workers, marriage migrants, and North Korean refugees. Against this backdrop, cultural diversity should be recognised as a resource for individual and collective enrichment as a common heritage of mankind, as well as a benefit for current and future generations, and cultural diversity should be promoted for peaceful coexistence and interaction among various members.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time periods: 2018-2019, 2020-2021, and 2022-2023, and the source of data for this study is a database of Korean media articles. The keywords were ‘cultural diversity’, ‘minorities’, and ‘culture art’. As a result, a total of 6883 articles were analys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in Seoul's D-gu are discussed.
중소기업의 정보보안 전략 분석: 라이피즘과 ESG사회적책임의 MO-ABC 모형을 중심으로
스코핑 리뷰를 활용한 중년기의 빈둥지 증후군 연구 동향 분석 및 어플리케이션 와이어 프레임 제안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성취압력과 부모신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취동기의 매개효과
고등학생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과 공감 간 관계: 긍정·부정 정서 시나리오 과제 및 감성분석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