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新羅 中代 新金氏의 登場과 그 背景 = The appearance of the surname "Shin Kim" and its background in the mid Silla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909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ppearance of the surname "Shin Kim" and its background in the mid Silla era

      The appearance of the surname "Shin Kim" and its background in the mid Silla e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신라 중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하는 新金氏에 관하여 살펴본 것이다. 특히 신김씨를 사용한 집단은 누구인지, 그리고 그들이 신김씨를 사용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초점을 두었다. 그 동안 신김씨는 대체로 김유신 가문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해왔다. 그래서 우선 신김씨가 김유신 가문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삼국사기』에는 7세기 후반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김유신의 묘비와 9세기 전반 김유신의 興武大王 追封에 따라 건립되었으리라고 여겨지는 「金庾信碑」의 편린이 전한다. 이를 검토해 본 결과 김유신 가문은 신라 중.하대에 걸쳐 김씨만을 사용하였던 것으로 이해되어 신김씨는 김유신 가문과 연결시키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이에 신김씨를 사용한 집단을 알아보기 위해 신김씨의 용례가 살펴지는 「眞鏡大師塔碑」에 주목하였다. 그것에 의하면 주인공 審希의 선조는 任那王族이며 遠祖는 김유신이라고 한다. 그런데 김유신 가문에서는 신김씨를 사용한 적이 없었고 遠祖라는 용어 또한 '먼 조상'이라는 막연한 의미로 사용되었으므로, 심희를 김유신의 직계손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보았다. 심희의 활동을 고려해보면 그는 왕경보다는 김해에 연고를 둔 인물이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금관가야의 멸망 이후 계속 김해에 거주하고 있었던 금관가야왕족의 후손들(김해거주금관가야왕족의 후손들)이 신김씨를 사용한 것으로 생각하였다. 김해거주금관가야왕족의 후손 가운데는 통일기 왕경으로 인구가 유입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왕경으로 이주한 자들도 있었다. 왕경으로 이주한 김해거주금관가야왕족의 후손들은 자신들과 혈연적으로 무관하지 않은 김유신 가문이 김씨를 사용하는 것을 보고 자신들도 김씨를 사용할 수 있도록 문무왕에게 賜姓을 요청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들은 김씨 진골귀족들과 신분적으로 차이가 있었고 더구나 지방에서 올라온 사람들이었기 때문에 문무왕은 그들의 요청을 그대로 수용하기는 어려웠다. 그렇지만 당시는 수로왕과 그 후손들을 우대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문무왕은 김씨 대신 다른 성씨를 하사하는 선에서 그들의 요청을 들어주려 하였다고 여겨진다. 문무왕 20년(680) 김해에 小京을 설치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파악되는데, 김해에 소경을 설치함으로써 왕경으로 이주한 자들은 물론이거니와 여전히 김해에 거주하고 있던 김해거주금관가야왕족의 후손들도 성씨를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한 조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문무왕은 종래 왕경에 거주하던 김씨 진골귀족들과 구분되는, 지방에서 올라온 새로운 김씨라는 의미를 지닌 신김씨를 김해거주금관가야왕족의 후손들에게 하사하였던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렇게 해서 문무왕 20년(680)을 즈음해 신김씨가 등장하였던 것으로 이해해 보았다.
      번역하기

      이 글은 신라 중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하는 新金氏에 관하여 살펴본 것이다. 특히 신김씨를 사용한 집단은 누구인지, 그리고 그들이 신김씨를 사용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초점...

      이 글은 신라 중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하는 新金氏에 관하여 살펴본 것이다. 특히 신김씨를 사용한 집단은 누구인지, 그리고 그들이 신김씨를 사용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초점을 두었다. 그 동안 신김씨는 대체로 김유신 가문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해왔다. 그래서 우선 신김씨가 김유신 가문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삼국사기』에는 7세기 후반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김유신의 묘비와 9세기 전반 김유신의 興武大王 追封에 따라 건립되었으리라고 여겨지는 「金庾信碑」의 편린이 전한다. 이를 검토해 본 결과 김유신 가문은 신라 중.하대에 걸쳐 김씨만을 사용하였던 것으로 이해되어 신김씨는 김유신 가문과 연결시키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이에 신김씨를 사용한 집단을 알아보기 위해 신김씨의 용례가 살펴지는 「眞鏡大師塔碑」에 주목하였다. 그것에 의하면 주인공 審希의 선조는 任那王族이며 遠祖는 김유신이라고 한다. 그런데 김유신 가문에서는 신김씨를 사용한 적이 없었고 遠祖라는 용어 또한 '먼 조상'이라는 막연한 의미로 사용되었으므로, 심희를 김유신의 직계손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보았다. 심희의 활동을 고려해보면 그는 왕경보다는 김해에 연고를 둔 인물이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금관가야의 멸망 이후 계속 김해에 거주하고 있었던 금관가야왕족의 후손들(김해거주금관가야왕족의 후손들)이 신김씨를 사용한 것으로 생각하였다. 김해거주금관가야왕족의 후손 가운데는 통일기 왕경으로 인구가 유입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왕경으로 이주한 자들도 있었다. 왕경으로 이주한 김해거주금관가야왕족의 후손들은 자신들과 혈연적으로 무관하지 않은 김유신 가문이 김씨를 사용하는 것을 보고 자신들도 김씨를 사용할 수 있도록 문무왕에게 賜姓을 요청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들은 김씨 진골귀족들과 신분적으로 차이가 있었고 더구나 지방에서 올라온 사람들이었기 때문에 문무왕은 그들의 요청을 그대로 수용하기는 어려웠다. 그렇지만 당시는 수로왕과 그 후손들을 우대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문무왕은 김씨 대신 다른 성씨를 하사하는 선에서 그들의 요청을 들어주려 하였다고 여겨진다. 문무왕 20년(680) 김해에 小京을 설치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파악되는데, 김해에 소경을 설치함으로써 왕경으로 이주한 자들은 물론이거니와 여전히 김해에 거주하고 있던 김해거주금관가야왕족의 후손들도 성씨를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한 조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문무왕은 종래 왕경에 거주하던 김씨 진골귀족들과 구분되는, 지방에서 올라온 새로운 김씨라는 의미를 지닌 신김씨를 김해거주금관가야왕족의 후손들에게 하사하였던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렇게 해서 문무왕 20년(680)을 즈음해 신김씨가 등장하였던 것으로 이해해 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迎春, "李迎春 新羅 社會의 宗法的 要素에 관한 試論" 2002

      2 李鍾書, "羅末麗初 姓氏 사용의 擴大와 그 背景" 서울대 국사학과 37 : 1997

      3 李文基, "金官加耶系의 始祖 出自傳承과 稱姓의 變化" 25 : 2004

      4 全德在, "한국고대사회의 王京人과 地方民" 태학사 2002

      5 余昊奎, "한국 고대의 지방도시」 『강좌 한국고대사』7(촌락과 도시)"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2

      6 白承忠, "통일기-나말여초의 가야사 인식" 2000

      7 河日植, "외위의 기능과 소멸 과정」 『신라 집권 관료제 연구" 혜안 2006

      8 李成市, "신라 文武.神文王代의 집권정책과 骨品制" 2 : 2004

      9 李康來, "삼국사기』 열전의 자료 계통」 『『삼국사기』의 원전 및 사 료가치" 2006

      10 朱甫暾, "가야인, 신라에서 빛나다」 『가야, 잊혀진 이름 빛나는 유산" 혜안 2004

      1 李迎春, "李迎春 新羅 社會의 宗法的 要素에 관한 試論" 2002

      2 李鍾書, "羅末麗初 姓氏 사용의 擴大와 그 背景" 서울대 국사학과 37 : 1997

      3 李文基, "金官加耶系의 始祖 出自傳承과 稱姓의 變化" 25 : 2004

      4 全德在, "한국고대사회의 王京人과 地方民" 태학사 2002

      5 余昊奎, "한국 고대의 지방도시」 『강좌 한국고대사』7(촌락과 도시)"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2

      6 白承忠, "통일기-나말여초의 가야사 인식" 2000

      7 河日植, "외위의 기능과 소멸 과정」 『신라 집권 관료제 연구" 혜안 2006

      8 李成市, "신라 文武.神文王代의 집권정책과 骨品制" 2 : 2004

      9 李康來, "삼국사기』 열전의 자료 계통」 『『삼국사기』의 원전 및 사 료가치" 2006

      10 朱甫暾, "가야인, 신라에서 빛나다」 『가야, 잊혀진 이름 빛나는 유산" 혜안 2004

      11 "高麗社會의 兩側的 親屬組織 硏究" 1988

      12 金泰植, "金海 首露王陵과 許王后陵의 補修過程 檢討" 1999

      13 朱甫暾, "金春秋의 外交活動과 新羅內政" 啓明大 韓國學硏究院 20 : 1993

      14 "金庾信家門의 成立과 活動 -家門成立의 事例硏究- 韓國古代史의 新硏究" 14-, 1983

      15 木村誠, "統一新羅の骨品制 -新羅華嚴經寫經跋文の硏究-" 東京都立大 人文學部 185 : 1986

      16 裵象鉉, "眞鏡 審希의 활동과 鳳林山門" 74 : 2004

      17 "武烈王系의 成立과 活動 韓國古 代史의 新硏究" 2-, 1977

      18 尹善泰, "新羅의 寺院成典과 衿荷臣" 108 : 2000

      19 李文基, "新羅의 三國統一과 大邱의 變化" 대구시사편찬위원회 제1권 : 1995

      20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郞徒" 45-, 1978

      21 曺凡煥, "新羅末 鳳林山門과 新羅王室" 震檀學報 78 : 1994

      22 崔柄憲, "新羅末 金海地方의 豪族勢力과 禪宗" 서울 대 국사학과 4 : 1978

      23 金相, "新羅末 舊加耶圈의 金海 豪族勢力" 82 : 1996

      24 李鍾旭, "新羅時代의 血族集團" 歷史學報 115 : 1987

      25 李純根, "新羅時代 姓氏取得과 그 意味" 서울대 국사학과 6 : 1981

      26 李泳鎬, "新羅中代 王室寺院의 官寺的 機能" 韓國史硏究 43 : 1983

      27 崔柄憲, "新羅下代 禪宗九山派의 成立" 史學硏究 25 : 1975

      28 全德在, "新羅 소경의 설치와 그 기능" 93 : 2002

      29 李文基, "新羅 金氏 王室의 少昊金天氏 出自觀念의 標榜과 變化" 1999

      30 "新羅 興德王代의 政治와 社會" 21-, 1991

      31 趙法鍾, "新羅 文武王代 社會政策의 性格檢討" 16 : 1999

      32 "新羅 惠恭王代 政治的 變革" 2-, 1958

      33 梁起錫, "新羅 五小京의 設置와 西原京" 湖西文化硏究 11 : 1993

      34 姜鳳龍, "新羅 中古期 部의 性格 變化와 姓氏制 -'部體制' 解體의 政治社會的 背景-" 1 : 1995

      35 金昌鎬, "文武王陵碑에 보이는 新羅人의 祖上認識 -太祖星漢의 添 補-" 韓國史硏究 53 : 1986

      36 金泰植, "大加耶의 世系와 道設智" 81 : 1996

      37 "土姓의 形 成過程과 內部構造" 16-, 1975

      38 李樹健, "土姓硏究 序說" 一潮閣 1984

      39 "古代國家成長過程에 있어서의 對服屬民施策" 1960

      40 孫大俊, "古代 姓氏考" 경기대 박물관 3 : 1991

      41 李鎔賢, "加耶의 姓氏와 '金官'國" 48 : 1998

      42 李基白, "三國遺事 紀異篇의 考察" 新羅文化 1 : 1984

      43 "三國史節要에 대한 史學史的 考察" 197518;2002

      44 全德在, "7세기 중반 관직에 대한 관등규정의 정비와 골품제의 확립 한국고대의 신분제와 관등제" 아르케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