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과학의 고전과 대학의 교양 수업 - 동국대학교 <경제와사회명작세미나> 사례를 중심으로 = Classics of Social Sciences and Liberal Arts Classes in University - Focusing on the Case of Dongguk University’s <GreatBooks Seminar on Economy and Socie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49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onfirm the performance and improvement tasks of Dongguk University’s <GreatBooks Seminar on Economy and Society>(<GBSES>) by examining the actual operation case of it(the first semester of 2021). In general...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onfirm the performance and improvement tasks of Dongguk University’s <GreatBooks Seminar on Economy and Society>(<GBSES>) by examining the actual operation case of it(the first semester of 2021). In general, Great Books Seminar(GBS) is effective in improving creativity and convergence skills(CCS1) and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CCS2). <GBSES> is held for classics or Great Books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and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the insight to grasp modernity in addition to the merits of GBS in general.
      Class was centered on group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but in light of the students’ lecture evaluations, it was found that It was found that these advantages were not fully exhibited. Although many students evaluated that they received a lot of help in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few evaluated that they received help in cultivating CCS1 and CCS2, and some stude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 group activity.
      This means that <GBSES> course does not stop at cultivating an eye or insigh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but also have a task of securing ways to enhance CCS1 and CCS2. Of course, It is not easy of CCS1 and CCS2 to improve with just one semester class, and it may not be easy for students to comment on whether these skills are improved in lecture evaluations. Even so, it cannot be denied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secure a way to improve CCS1 or CCS2 in the long term as much as improving the eye to understand modern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동국대학교 <경제와사회명작세미나>의 실제 운영 사례(2021년 1학기)를 살펴보면서 그 성과와 개선 과제를 확인하기 위한 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명작세미나는창의·융합 능력과 ...

      이 글은 동국대학교 <경제와사회명작세미나>의 실제 운영 사례(2021년 1학기)를 살펴보면서 그 성과와 개선 과제를 확인하기 위한 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명작세미나는창의·융합 능력과 소통·협력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경제와사회명작세미나>는 사회과학 분야 고전 혹은 명작을 대상으로 진행된다는 점에서, 이러한 명작세미나 일반의 장점 외에 근대성을 파악하기 위한 안목과 통찰력을 제공한다는 장점까지 지닌다.
      이러한 교과목을 조별 발표와 토론 중심으로 운영했는데, 학생들의 강의평가에 비추어 보면 이러한 장점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학생들이 근대사회의 역사적 특징을 이해하는 데에는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평가했지만, 창의·융합 능력이나 소통·협력 능력을 함양하는 데 도움을 받았다고 평가한 학생은 거의 없으며, 일부 학생은 조별 활동에 대한 불만을 강하게 드러내기까지 했다.
      이는 곧 <경제와사회명작세미나> 교과목이 근대 사회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이나 통찰력을 함양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창의·융합 능력, 소통·협력 능력 등을함양하기 위한 방안의 확보를 과제로 떠안고 있음을 시사한다. 물론 창의·융합 능력이나 소통·협력 능력은 1학기 수업으로 쉽게 향상되는 것이 아니므로, 학생들이 강의평가에서 이러한 능력의 향상 여부에 대해 언급하기가 쉽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해도 근대성을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향상시키는 것만큼이나 장기적으로 창의·융합 능력이나 소통·협력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부인될 수는 없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헌균, ""위대한 저서들 프로그램"에 대한 문화적 평가: 시카고 대학의 사회사상분과위원회와 컬럼비아 대학의 사례 연구"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11 (11): 45-64, 2007

      2 안현효, "통합인문 교양교육에서 고전교육 - 대학교육 혁신에서 교양교육 강화 방안"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99-123, 2019

      3 Heilbroner, R. L, "자본주의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미지북스 2016

      4 박현희, "인성함양을 위한 고전 읽기 강좌의 운영 특성과 효과 - 서울대 <독서세미나-고전에 길을 묻다> 교과목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1-37, 2019

      5 김광식, "인성교육으로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읽기 - 서울대학교 “독서세미나-고전에 길을 묻다”를 중심으로" 1 (1): 25-50, 2020

      6 김현주, "인문교양 수업의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에 대한 연구 -팀 기반 독서토론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761-790, 2017

      7 Rousseau, J.-J, "인간불평등기원론" 책세상 2013

      8 박길희, "의사소통역량 향상을 위한 <독서와 표현> 수업의 효과성 연구 - 순천대학교 <독서와 표현>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331-352, 2019

      9 송정란,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고전 읽기 및 쓰기 교육 방안 - “고전독서세미나”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2 (12): 299-332, 2021

      10 이근식,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읽기" 세창미디어 2013

      1 노헌균, ""위대한 저서들 프로그램"에 대한 문화적 평가: 시카고 대학의 사회사상분과위원회와 컬럼비아 대학의 사례 연구"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11 (11): 45-64, 2007

      2 안현효, "통합인문 교양교육에서 고전교육 - 대학교육 혁신에서 교양교육 강화 방안"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99-123, 2019

      3 Heilbroner, R. L, "자본주의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미지북스 2016

      4 박현희, "인성함양을 위한 고전 읽기 강좌의 운영 특성과 효과 - 서울대 <독서세미나-고전에 길을 묻다> 교과목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11-37, 2019

      5 김광식, "인성교육으로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읽기 - 서울대학교 “독서세미나-고전에 길을 묻다”를 중심으로" 1 (1): 25-50, 2020

      6 김현주, "인문교양 수업의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에 대한 연구 -팀 기반 독서토론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761-790, 2017

      7 Rousseau, J.-J, "인간불평등기원론" 책세상 2013

      8 박길희, "의사소통역량 향상을 위한 <독서와 표현> 수업의 효과성 연구 - 순천대학교 <독서와 표현>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3 (13): 331-352, 2019

      9 송정란, "의사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고전 읽기 및 쓰기 교육 방안 - “고전독서세미나”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2 (12): 299-332, 2021

      10 이근식,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읽기" 세창미디어 2013

      11 이용화, "세인트존스 칼리지의 세미나 모델을 적용한 교양 세미나 수업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국교양교육학회 15 (15): 113-132, 2021

      12 신의향, "미국과 싱가폴 대학의 교양교육 현황 분석" 2 (2): 79-151, 2008

      13 이상원, "독서토론 교양 교과목의 개발과 운영 - ‘독서 세미나 - 고전에 길을 묻다’ 『안나 카레니나』 강좌를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9 (9): 235-262, 2016

      14 신의항, "대학교육을 베스트셀러 읽기, 토론으로 시작하다 - 미국대학의 신입생을 위한 하계 독서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교양교육학회 4 (4): 133-175, 2010

      15 김우진, "대학 교양수업으로서 비판적 독서와 토론" 동아인문학회 (47) : 57-82, 2019

      16 김정녀,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독서토론 교육 방안 연구-비교과 프로그램 <창의적 고전 읽기 세미나> 지도 사례를 중심으로" 배달말학회 (55) : 423-450, 2014

      17 최애순,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고전읽기 - 계명대학교 <교양세미나> 교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소 (33) : 107-128, 2020

      18 신희선,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문학독서토론> 수업 사례" 한국사고와표현학회 5 (5): 7-46, 2012

      19 Smith, A, "국부론" 비봉출판사 2007

      20 Marx, K, "공산당선언" 책세상 2002

      21 Foucault, M, "감시와 처벌; 감옥의 역사" 나남 2016

      22 손승남, "‘위대한 저서(The Great Books)’ 프로그램을 토대로 본 우리나라 대학 인문고전교육의 방향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449-472, 2013

      23 변상출, "‘교양 키워드 읽기’를 활용한 《독서와 토론》의 수업내용 연구-대구대학교 공통교양 《독서와 토론》강좌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7 (7): 287-312, 2013

      24 김혜진, "‌독서와 토론 교양 수업이 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양교육학회 8 (8): 513-540, 2014

      25 서울대 기초교육원, "2015 서울대 새내기 기초교육과정 길잡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학회 -> 한국 리터러시 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Literacy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 -> 리터러시 연구
      외국어명 : Korea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 ->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