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해주 말갈성곽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Mohe(Malgal)'s castles in Russian Primorsky kra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546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s of Mohe's castles in Russian Primorsky krai. Examining characteristics such as their location, topography, form, size, function, constructional materials and structure, defense works along the walls my research provides an analysis of Primorsky krai castle’s peculiarities, characteristic,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Mohe castles.
      The object of this study are 23 castle sites located along major rivers, including the Suifen, Upper Ussuri basin, Middle and Lower Ussuri basin and coastal district. Mohe’s castles is generality (about 15 castles) mountain castle or castle located on the small hill. That’s reason why irregular form castle is more prevalent in this territory. Otherwise, plain castle usually featured a rectangular or square form. Small castles are dominated in this culture, there are only few medium castle. As may be supposed, only Krinichi plain castle could have administrative function. Irregular mountain castles or hill castle defended settlements and were located near a river at strategic positions where they could overlook vast territories. Their earthen walls were constructed without any special methods, except castles located on the coastal district with stone construction. It could be territorial difference among Mohe’s castles. Mohe castles featuring one to three walls with moats and featured no defensive structures along them.
      Mohe‘s mountain castles in the Primorsky Krai share a lot of similarities with Early-Iron Age castles and derives that constructional traditional. Palhae begins to supersede Mohe expanding territory to Primorsky Krai. It influenced on local architectural traditions like featured a rectangular or square form in plain castle. Nevertheless, Palhae’s influence on Mohe’s castles in Primorsky Krai wasn’t so strong as on Mohe’s castles in Amur Region. Mohe castles are spread out huge territory except Heilongjiang province. That’s why it’s important to study castles on this area. It is necessary to point out that Mohe architectural features were observed on early Jurchen period, Pokrovka culture and even on Eastern Xia castles. It show that Mohe architectural traditions continue for a long time on this territory.
      번역하기

      This study is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s of Mohe's castles in Russian Primorsky krai. Examining characteristics such as their location, topography, form, size, function, constructional materials and structure, defense works along the...

      This study is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s of Mohe's castles in Russian Primorsky krai. Examining characteristics such as their location, topography, form, size, function, constructional materials and structure, defense works along the walls my research provides an analysis of Primorsky krai castle’s peculiarities, characteristic,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Mohe castles.
      The object of this study are 23 castle sites located along major rivers, including the Suifen, Upper Ussuri basin, Middle and Lower Ussuri basin and coastal district. Mohe’s castles is generality (about 15 castles) mountain castle or castle located on the small hill. That’s reason why irregular form castle is more prevalent in this territory. Otherwise, plain castle usually featured a rectangular or square form. Small castles are dominated in this culture, there are only few medium castle. As may be supposed, only Krinichi plain castle could have administrative function. Irregular mountain castles or hill castle defended settlements and were located near a river at strategic positions where they could overlook vast territories. Their earthen walls were constructed without any special methods, except castles located on the coastal district with stone construction. It could be territorial difference among Mohe’s castles. Mohe castles featuring one to three walls with moats and featured no defensive structures along them.
      Mohe‘s mountain castles in the Primorsky Krai share a lot of similarities with Early-Iron Age castles and derives that constructional traditional. Palhae begins to supersede Mohe expanding territory to Primorsky Krai. It influenced on local architectural traditions like featured a rectangular or square form in plain castle. Nevertheless, Palhae’s influence on Mohe’s castles in Primorsky Krai wasn’t so strong as on Mohe’s castles in Amur Region. Mohe castles are spread out huge territory except Heilongjiang province. That’s why it’s important to study castles on this area. It is necessary to point out that Mohe architectural features were observed on early Jurchen period, Pokrovka culture and even on Eastern Xia castles. It show that Mohe architectural traditions continue for a long time on this territ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러시아 연해주에 위치한 말갈성곽의 분포에 대해 살펴보고 고고학적 검토를 통해 말갈성곽의 구조와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해당지역을 수계에 따라 몇 개의 유역으로 나누어 각 유역별 성곽 유적 현황을 정리하고 평지성과 산성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의 규모, 건축재료, 평면형태, 방어시설, 내부 구조 등을 살펴본 후 성곽의 기능과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연해주 지역 말갈성곽의 성격, 특징, 기원과 축성전통의 발달과 관련된 문제를 살펴보았다.
      연해주지역에 23개의 말갈성곽 중 15개가 산성/단애성으로 다수를 차지한다. 분포상으로 성곽은 수분하, 우수리강 상류, 우수리강 중・하류 유역과 연안 지역에 위치한다. 성곽은 대부분 아주 소형이고 중형이 별로 없다. 크리니치노예 평지성만 지방을 다스리기 위한 행정의 중심지로 추정할 수 있다. 산성/단애성은 주변 지역을 방어-감시하는 역할을 했다. 성의 대부분은 토축성이지만 예외로 연안 지역에서는 석축도 발견되어 지역성을 볼 수 있다. 지형조건으로 인해 단애성의 형태는 주로 불규칙하다. 반면 평지성은 주로 규칙적인 장방형으로 성곽을 축조한다. 해자 빼고 성벽 위에는 부속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상황이 보인다.
      말갈산성은 초기철기시대의 성곽과 주로 유사해 이 전통을 이어받았다. 이 지역으로 확장된 발해와 관련해 말갈 축성에서도 일부 영향을 끼쳤다. 이는 평지성이 규칙적인 형태로 축조되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아무르지역의 말갈성곽보다 영향이 강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중국지역에는 말갈성곽이 발견되지 않아 이 지역의 말갈성곽의 연구가 중요하다. 연해주의 이른 시기 여진, 포크로프카 문화, 동하국의 성곽 일부 말갈식 성곽이 발견되는데 이는 말갈축성이 오랫동안 유지된 것으로 생각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러시아 연해주에 위치한 말갈성곽의 분포에 대해 살펴보고 고고학적 검토를 통해 말갈성곽의 구조와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해당지역을 수계에 따라 몇 개의 ...

      본고는 러시아 연해주에 위치한 말갈성곽의 분포에 대해 살펴보고 고고학적 검토를 통해 말갈성곽의 구조와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해당지역을 수계에 따라 몇 개의 유역으로 나누어 각 유역별 성곽 유적 현황을 정리하고 평지성과 산성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의 규모, 건축재료, 평면형태, 방어시설, 내부 구조 등을 살펴본 후 성곽의 기능과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연해주 지역 말갈성곽의 성격, 특징, 기원과 축성전통의 발달과 관련된 문제를 살펴보았다.
      연해주지역에 23개의 말갈성곽 중 15개가 산성/단애성으로 다수를 차지한다. 분포상으로 성곽은 수분하, 우수리강 상류, 우수리강 중・하류 유역과 연안 지역에 위치한다. 성곽은 대부분 아주 소형이고 중형이 별로 없다. 크리니치노예 평지성만 지방을 다스리기 위한 행정의 중심지로 추정할 수 있다. 산성/단애성은 주변 지역을 방어-감시하는 역할을 했다. 성의 대부분은 토축성이지만 예외로 연안 지역에서는 석축도 발견되어 지역성을 볼 수 있다. 지형조건으로 인해 단애성의 형태는 주로 불규칙하다. 반면 평지성은 주로 규칙적인 장방형으로 성곽을 축조한다. 해자 빼고 성벽 위에는 부속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상황이 보인다.
      말갈산성은 초기철기시대의 성곽과 주로 유사해 이 전통을 이어받았다. 이 지역으로 확장된 발해와 관련해 말갈 축성에서도 일부 영향을 끼쳤다. 이는 평지성이 규칙적인 형태로 축조되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아무르지역의 말갈성곽보다 영향이 강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중국지역에는 말갈성곽이 발견되지 않아 이 지역의 말갈성곽의 연구가 중요하다. 연해주의 이른 시기 여진, 포크로프카 문화, 동하국의 성곽 일부 말갈식 성곽이 발견되는데 이는 말갈축성이 오랫동안 유지된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의 역사와 문화 Ⅳ" 2014

      2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의 역사와 문화 Ⅲ" 2010

      3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의 역사와 문화 Ⅱ" 2008

      4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의 역사와 문화 Ⅰ" 2007

      1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의 역사와 문화 Ⅳ" 2014

      2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의 역사와 문화 Ⅲ" 2010

      3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의 역사와 문화 Ⅱ" 2008

      4 국립문화재연구소, "연해주의 역사와 문화 Ⅰ"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7 2.484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