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산조 감상 관련 내용 분석 및 구성 방안 = Analyzing and Organizing the Contents for Appreciating Sanjo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00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anjo, one of the representative pieces of Korean instrumental music is considered to be the appropriate musical piece for instruct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described in the Music Curriculum, for example, the characteristics of form, jangdan, sigimsae, and timbre. Since the seventh edition of the Music Curriculum, even though sanjo has been included in the music textbooks, the detailed activities or content for the music has not been explained in the texts. Thus, this paper's aim is to organize the most appropriate approaches for appreciating this music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music appreciation of sang into the music textbooks of middle schools.
      From the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aims and activities of the lesson to instruct sanjo were limited, and even the main activity of the musical flow as changed by the hanbae of jangdan was not detailed. Since the contents for understanding the music were only explained in the initial course or by the originators, more exact and detailed contents needed to be added to the explanation of sanjo.
      Also, some faults in the transcription of sigimsae, gueum, and time signature of the music were found to have been made in the staff notations when sang was written.
      As a result, this study chose the gayageum sanjo by Kim, Juk-Pa, and presented the appropriate instructional approaches. The contents of the music should be explain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music were based on gueum, sigimsae, jangdan, and chuimsae as selected by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9. Garaksun notation of the lines of the melodies was used as the score for sanjo, and also indicated gueum, jangdan, and the technique of gayageum on the score. From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and organization of sanjo will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Korean music education.
      번역하기

      Sanjo, one of the representative pieces of Korean instrumental music is considered to be the appropriate musical piece for instruct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described in the Music Curriculum, for example, the characteristics of form, jangdan, si...

      Sanjo, one of the representative pieces of Korean instrumental music is considered to be the appropriate musical piece for instructing the musical characteristics described in the Music Curriculum, for example, the characteristics of form, jangdan, sigimsae, and timbre. Since the seventh edition of the Music Curriculum, even though sanjo has been included in the music textbooks, the detailed activities or content for the music has not been explained in the texts. Thus, this paper's aim is to organize the most appropriate approaches for appreciating this music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music appreciation of sang into the music textbooks of middle schools.
      From the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he aims and activities of the lesson to instruct sanjo were limited, and even the main activity of the musical flow as changed by the hanbae of jangdan was not detailed. Since the contents for understanding the music were only explained in the initial course or by the originators, more exact and detailed contents needed to be added to the explanation of sanjo.
      Also, some faults in the transcription of sigimsae, gueum, and time signature of the music were found to have been made in the staff notations when sang was written.
      As a result, this study chose the gayageum sanjo by Kim, Juk-Pa, and presented the appropriate instructional approaches. The contents of the music should be explain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music were based on gueum, sigimsae, jangdan, and chuimsae as selected by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9. Garaksun notation of the lines of the melodies was used as the score for sanjo, and also indicated gueum, jangdan, and the technique of gayageum on the score. From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and organization of sanjo will contribute to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Korean music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악의 대표적인 민속 기악곡인 ‘산조’는 형식, 장단, 시김새, 음색 등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음악적 특징을 지도하는데 적합한 감상 제재곡이다. 이러한 산조는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부터 음악 교과서에서 언급되고 있었지만, 그 음악의 구체적인 내용 및 활동이 제시되지 않았거나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실린 산조 감상 내용의 분석을 통해 더 적합한 지도 내용의 구성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교과서의 산조 내용을 분석결과, ‘학습내용(악곡 설명)’은 역사․사회․문화적인 맥락과 음악적 특징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이 필요했으며, 학습활동은 다양하지 못하였고 구체적이지 않았다. 또한 악보는 대부분 오선보의 형태였는데 악보의 채보, 시김새, 구음, 박자표 등에서 많은 오류를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여러 가지 산조 중 김죽파류 가야금 산조를 선정하여 구성방안을 모색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학습내용, 학습활동, 악보와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여 구성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학습내용은 사회문화적 배경과 음악적 특징으로 구분하여 요소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학습활동은 지도 요소를 추출하여 구음, 장단, 시김새, 추임새, 비교감상 등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악보는 가락의 흐름을 볼 수 있도록 가락선으로 표시하고 구음보와 정간보 등을 활용하여 구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산조의 지도 내용과 구성방안이 국악교육의 질적 제고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기 기대한다.
      번역하기

      국악의 대표적인 민속 기악곡인 ‘산조’는 형식, 장단, 시김새, 음색 등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음악적 특징을 지도하는데 적합한 감상 제재곡이다. 이러한 산조는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

      국악의 대표적인 민속 기악곡인 ‘산조’는 형식, 장단, 시김새, 음색 등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음악적 특징을 지도하는데 적합한 감상 제재곡이다. 이러한 산조는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부터 음악 교과서에서 언급되고 있었지만, 그 음악의 구체적인 내용 및 활동이 제시되지 않았거나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실린 산조 감상 내용의 분석을 통해 더 적합한 지도 내용의 구성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교과서의 산조 내용을 분석결과, ‘학습내용(악곡 설명)’은 역사․사회․문화적인 맥락과 음악적 특징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이 필요했으며, 학습활동은 다양하지 못하였고 구체적이지 않았다. 또한 악보는 대부분 오선보의 형태였는데 악보의 채보, 시김새, 구음, 박자표 등에서 많은 오류를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여러 가지 산조 중 김죽파류 가야금 산조를 선정하여 구성방안을 모색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학습내용, 학습활동, 악보와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여 구성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학습내용은 사회문화적 배경과 음악적 특징으로 구분하여 요소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학습활동은 지도 요소를 추출하여 구음, 장단, 시김새, 추임새, 비교감상 등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악보는 가락의 흐름을 볼 수 있도록 가락선으로 표시하고 구음보와 정간보 등을 활용하여 구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산조의 지도 내용과 구성방안이 국악교육의 질적 제고 측면에서 활용될 수 있기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병주, "황병주 가야금교본" 은하출판사 2001

      2 "현대음악출판사 사이트"

      3 정욱희, "중학교 음악자습서" 성안당 2013

      4 정욱희, "중학교 음악 지도서" 성안당 2013

      5 정욱희, "중학교 음악 지도서" 성안당 2013

      6 백병동, "중학교 음악 1" 천재교육 2010

      7 김미숙, "중학교 음악" ㈜와이비엠 2013

      8 홍미희, "중학교 음악" 비상교육 2013

      9 허화병, "중학교 음악" 세광음악출판사 2013

      10 최은식, "중학교 음악" 두산동아 2013

      1 황병주, "황병주 가야금교본" 은하출판사 2001

      2 "현대음악출판사 사이트"

      3 정욱희, "중학교 음악자습서" 성안당 2013

      4 정욱희, "중학교 음악 지도서" 성안당 2013

      5 정욱희, "중학교 음악 지도서" 성안당 2013

      6 백병동, "중학교 음악 1" 천재교육 2010

      7 김미숙, "중학교 음악" ㈜와이비엠 2013

      8 홍미희, "중학교 음악" 비상교육 2013

      9 허화병, "중학교 음악" 세광음악출판사 2013

      10 최은식, "중학교 음악" 두산동아 2013

      11 주대창, "중학교 음악" 도서출판 태성 2013

      12 주광식, "중학교 음악" ㈜박영사 2013

      13 정길선, "중학교 음악" ㈜지학사 2013

      14 장보윤, "중학교 음악" 현대음악출판사 2013

      15 장기범, "중학교 음악" ㈜미래엔 2013

      16 이홍수, "중학교 음악" ㈜교학사 2013

      17 윤명원, "중학교 음악" ㈜천재교과서 2013

      18 양종모, "중학교 음악" 음악과 생활 2013

      19 민은기, "중학교 음악" 천재교육 2013

      20 김용희, "중학교 음악" 금성출판사 2013

      21 경기도교육청, "중학교 음악" 경기도 교육청 2013

      22 강민선, "중학교 음악" 교학사 2013

      23 이보형, "전통동요와 민요의 가야금 편곡법" 한국국악교육학회 4 : 1981

      24 유선미, "장단별 내드름을 통한 산조 감상 지도방안 연구-성금련류 가야금산조를 중심으로-"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7 (7): 77-105, 2013

      25 박현숙, "예술문화논총" 서원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2002

      26 "성안당 사이트"

      27 김일륜, "성금연류 가야금산조의 변천 및 교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28 황규일, "서용석류 대금산조" 은하출판사 1998

      29 김해숙, "산조의 음악학적 연구" 전통예술원 2003

      30 이보형, "산조의 생성과 전승" 국립민속국악원 6 : 2006

      31 "두클래서 스마트 교과서"

      32 변미혜, "국악용어사전" 민속원 2011

      33 성기련, "국악 어법에 맞는 국악 교수법 고찰"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3 (3): 2009

      34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12] 음악과 교육과정"

      35 정대석, "거문고산조세바탕" 은하출판사 1998

      36 변미혜,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교과서의 국악 내용" 한국교원대학교 예술교육연구소 18 : 2012

      37 이재숙, "가야금산조 김죽파류" 수문당 1986

      38 김해숙, "가야금․아쟁․단소․산조연구" 세광음악출판사 1988

      39 정미영, "가야금 병창 ‘호남가’의 지도 내용 연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3 (3):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88 1.394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