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서관견(籌書管見)>의 구장문답(九章問答)에서의 구장(九章)에 대한 이해 = Understanding of Gujang in the Gujang-Mundab of Ju-Seo-Gwan-Gy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78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u-Seo-Gwan-Gyeon is a mathematical book of Chosun dynasty by Jo Tae Gu. This study is to analyze his understanding for the 'Gujang' in the 'Gujang-Mundab'. From this study, we were able to see the contents of 'Gujang-Mundab' that has been unknown in detail so far. In this study, the following facts are found. Most parts of 'Gujang' in 'Gujang-Mundab' was explained the same as Gu-Jang-San-Sul. This indicates that Ju-Seo-Gwan-Gyeon was influenced by Gu-Jang-San-Sul. However, Ju-Seo-Gwan-Gyeon also contains what he wrote with his own understanding. We expect that the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mathematics history in Korea.
      번역하기

      Ju-Seo-Gwan-Gyeon is a mathematical book of Chosun dynasty by Jo Tae Gu. This study is to analyze his understanding for the 'Gujang' in the 'Gujang-Mundab'. From this study, we were able to see the contents of 'Gujang-Mundab' that has been unknown in ...

      Ju-Seo-Gwan-Gyeon is a mathematical book of Chosun dynasty by Jo Tae Gu. This study is to analyze his understanding for the 'Gujang' in the 'Gujang-Mundab'. From this study, we were able to see the contents of 'Gujang-Mundab' that has been unknown in detail so far. In this study, the following facts are found. Most parts of 'Gujang' in 'Gujang-Mundab' was explained the same as Gu-Jang-San-Sul. This indicates that Ju-Seo-Gwan-Gyeon was influenced by Gu-Jang-San-Sul. However, Ju-Seo-Gwan-Gyeon also contains what he wrote with his own understanding. We expect that the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mathematics history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종천, "한간 <산수서>와 <구장산술>의 비교" 15 : 273-280, 2003

      2 양성현, "측량도해(測量圖解)의 현대적 해석 및 수학교육적 활용 방안" 한국수학사학회 31 (31): 127-150, 2018

      3 장혜원,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의 내용 분석 및 교육적 활용 방안 탐구" 대한수학교육학회 13 (13): 1-446, 2003

      4 한미경, "조선시대 수학관계문헌 간행에 대한 분석" 한국서지학회 (38) : 53-76, 2011

      5 양성현, "조선 후기 산학서에 수록된 망해도술(望海島術)의 내용 분석 및 수학교육적 활용 방안" 대한수학교육학회 28 (28): 49-73, 2018

      6 허민, "산학서의 직각 삼각형" 한국수학사학회 18 (18): 25-38, 2005

      7 양성현, "묵사집산법(黙思集算法)에 수록된 퇴타개적문(堆垜開積門)의 현대적 재구성 및 수학교육적 활용 방안" 한국수학사학회 33 (33): 1-19, 2020

      8 조태구, "국역주서관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8

      9 한길준, "구장산술의 수학교육학적 가치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사학회 17 (17): 61-72, 2004

      10 장혜원, "구장산술을 활용한 수학 교육-분수의 사칙 계산과 관련하여-" 한국수학사학회 15 (15): 101-112, 2002

      1 차종천, "한간 <산수서>와 <구장산술>의 비교" 15 : 273-280, 2003

      2 양성현, "측량도해(測量圖解)의 현대적 해석 및 수학교육적 활용 방안" 한국수학사학회 31 (31): 127-150, 2018

      3 장혜원, "조선시대의 산학서 <구일집>의 내용 분석 및 교육적 활용 방안 탐구" 대한수학교육학회 13 (13): 1-446, 2003

      4 한미경, "조선시대 수학관계문헌 간행에 대한 분석" 한국서지학회 (38) : 53-76, 2011

      5 양성현, "조선 후기 산학서에 수록된 망해도술(望海島術)의 내용 분석 및 수학교육적 활용 방안" 대한수학교육학회 28 (28): 49-73, 2018

      6 허민, "산학서의 직각 삼각형" 한국수학사학회 18 (18): 25-38, 2005

      7 양성현, "묵사집산법(黙思集算法)에 수록된 퇴타개적문(堆垜開積門)의 현대적 재구성 및 수학교육적 활용 방안" 한국수학사학회 33 (33): 1-19, 2020

      8 조태구, "국역주서관견"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8

      9 한길준, "구장산술의 수학교육학적 가치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사학회 17 (17): 61-72, 2004

      10 장혜원, "구장산술을 활용한 수학 교육-분수의 사칙 계산과 관련하여-" 한국수학사학회 15 (15): 101-112, 2002

      11 이종희, "구장산술에 포함된 증명의 유형과 역할" 한국수학사학회 16 (16): 11-22, 2003

      12 유휘, "구장산술․주비산경" 범양출판사 2000

      13 유휘, "구장산술" 서해 문집 1998

      14 차종천, "算數書·算經十書 上" 교우사 2006

      15 柳寅永, "九章算術의 原版과 英文飜譯版의 間隔" 한국수학사학회 16 (16): 1-14, 2003

      16 허난, "「주서관견(籌書管見)」과 「구장산술(九章算術)」의 내용 비교" 한국수학교육학회 30 (30): 419-434, 2016

      17 강민정, "Understanding《Jiuzhang suanshu九章算術》 through《Kujang sulhae 九章術解》" 한국수학사학회 28 (28): 207-231, 2015

      18 홍성사, "Jo Tae-gu's Juseo Gwan-gyeon and Jihe Yuanben" 한국수학사학회 31 (31): 55-72, 2018

      19 NCTM, "Historical topics for the mathe-matical classroom"

      20 정해남, "<구장산술九章算術>과 남병길의 <구장술해九章術解>의 교육적 활용 방안" 한국수학교육학회 14 (14): 103-116, 2011

      21 강민정, "<九章術解>의 연구와 역주" 성균관대학교 2016

      22 김영욱, "2014년도 한국고전번역원 정책연구과제 최종보고서 (ITKC-2014-RE –02)" 한국고전번역원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4-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부산경남수학회 -> 영남수학회
      영문명 : The Busan Gyeongnam Mathematical Society -> Youngnam Mathematical Societ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4 0.14 0.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3 0.12 0.30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