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충직, "영화의 편집 스타일에 관한 연구" (10) : 1995
2 Jacques A., "영화미학" 동문선 2003
3 Marita S., "영상문화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4 David N. R., "디지털 영화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5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디지털 영화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6 "가상현실(VR) 영상의 문법을 찾기 위한 제작자들의 잇따른 시도, VR 플랫폼 확대촉발할 수 있을까?"
7 박아녜스, "‘VR’ 시대의 ‘영화’"
8 원경훈, "VR효과기반 영상문법의 융합사례 연구 : 영화 <나인데이즈>와 <부고>를중심으로" 세종대학교 2019
9 장욱상 ; 이영권, "VR영상 연출 분석 - 롱 테이크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1 (11): 294-309, 2015
10 문원립, "VR과 영화"
1 이충직, "영화의 편집 스타일에 관한 연구" (10) : 1995
2 Jacques A., "영화미학" 동문선 2003
3 Marita S., "영상문화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4 David N. R., "디지털 영화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5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디지털 영화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6 "가상현실(VR) 영상의 문법을 찾기 위한 제작자들의 잇따른 시도, VR 플랫폼 확대촉발할 수 있을까?"
7 박아녜스, "‘VR’ 시대의 ‘영화’"
8 원경훈, "VR효과기반 영상문법의 융합사례 연구 : 영화 <나인데이즈>와 <부고>를중심으로" 세종대학교 2019
9 장욱상 ; 이영권, "VR영상 연출 분석 - 롱 테이크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1 (11): 294-309, 2015
10 문원립, "VR과 영화"
11 장효진 ; 김영재, "VR 테마파크 어트랙션 체험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4 (14): 132-147, 2018
12 김현수, "VR 영화의 확장과 도전"
13 김선아, "VR 영화의 시점과 프레임-VR단편영화<동두천>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518-529, 2020
14 조수진 ; 최유미, "VR 애니메이션의 효과적인 영상 연출방법 분석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6 (16): 95-119, 2020
15 임왕태, "The New Film Grammar of VR Movie"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1 (1): 83-103, 2017
16 전병원, "Questions for VR Cinema Research as a New Media" 한국디지털영상학회 18 (18): 57-80, 2021
17 전우열, "HERO4 14대로 촬영된 360 VR 3D 단편영화 : ‘타임패러독스’ 제작기"
18 이익희, "A Study of Directing on 360 Degree Virtual Reality : Focusing on Shot Continuity" Institute of Science Culture Exhibition and Design 25 : 295-, 2016
19 이상욱, "A Study of Aesthetic Approach to Virtual Reality Visual Contents"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9 (9): 247-271, 2016
20 김주용, "360도 영상과 VR 콘텐츠의 설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