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VR Cinema를 위한 영상문법 연구 = A Study on The Visual Grammar for VR Cinem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552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ttempts to VR video are continuing. However, killer content that can establish itself in the media ecosystem by effectivel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VR images has not yet appeared. This is not because there is a lack of skills for later work such as understanding filming and stitching.
      This is because an appropriate means of communication that can effectively contain messages and meanings beyond the media splendor of VR has not been secur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ze image grammar for VR to move toward Cinema. More specifically, after the movie is born, we will review the process of establishing video grammar and review the existing video grammar. Subsequently, along with the case study, I would like to propose a video grammar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VR by reflecting the experience that researchers have produced VR images. Rather than simply presenting possibilities at the theoretical level, based on the experience of continuously researching and producing new media such as 3D stereoscopic images, holograms, and VR images, the methodology for changing images in VR will be systematized and verified.
      번역하기

      Attempts to VR video are continuing. However, killer content that can establish itself in the media ecosystem by effectivel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VR images has not yet appeared. This is not because there is a lack of skills for later work ...

      Attempts to VR video are continuing. However, killer content that can establish itself in the media ecosystem by effectivel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VR images has not yet appeared. This is not because there is a lack of skills for later work such as understanding filming and stitching.
      This is because an appropriate means of communication that can effectively contain messages and meanings beyond the media splendor of VR has not been secur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ze image grammar for VR to move toward Cinema. More specifically, after the movie is born, we will review the process of establishing video grammar and review the existing video grammar. Subsequently, along with the case study, I would like to propose a video grammar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VR by reflecting the experience that researchers have produced VR images. Rather than simply presenting possibilities at the theoretical level, based on the experience of continuously researching and producing new media such as 3D stereoscopic images, holograms, and VR images, the methodology for changing images in VR will be systematized and verifi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VR영상에 대한 시도는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 VR영상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미디어 생태계에 자리매김할 수 있는 킬러 콘텐츠는 등장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촬영에 대한 이해, Stitching 등 후반작업에 대한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이 아니다. VR이라는 미디어의 매체적 화려함을 넘어 메시지와 의미를 효과적으로 담을 수 있는 적절한 소통의 수단이 확보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R이 Cinema로 나아가기 위한 영상문법을 체계화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영화가 탄생한 후, 영상문법이 정립된 과정을 되짚어보고, 기존의 영상문법을 검토할 것이다. 이어 사례조사와 함께 연구자가 VR영상을 제작해온 경험을 반영함으로써 VR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영상문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단순히 이론적인 수준에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3D입체영상, 홀로그램, VR영상 등 뉴미디어를 지속적으로 연구, 제작해온 경험을 토대로 VR에서 영상을 전개하기 위한 기법, 샷의 변화를 위한 방법론을 체계화하고, 이를 직접 시작품으로 제작하여 검증할 것이다.
      번역하기

      VR영상에 대한 시도는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 VR영상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미디어 생태계에 자리매김할 수 있는 킬러 콘텐츠는 등장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촬영에 대한 이...

      VR영상에 대한 시도는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 VR영상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미디어 생태계에 자리매김할 수 있는 킬러 콘텐츠는 등장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촬영에 대한 이해, Stitching 등 후반작업에 대한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이 아니다. VR이라는 미디어의 매체적 화려함을 넘어 메시지와 의미를 효과적으로 담을 수 있는 적절한 소통의 수단이 확보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R이 Cinema로 나아가기 위한 영상문법을 체계화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영화가 탄생한 후, 영상문법이 정립된 과정을 되짚어보고, 기존의 영상문법을 검토할 것이다. 이어 사례조사와 함께 연구자가 VR영상을 제작해온 경험을 반영함으로써 VR에 효과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영상문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단순히 이론적인 수준에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3D입체영상, 홀로그램, VR영상 등 뉴미디어를 지속적으로 연구, 제작해온 경험을 토대로 VR에서 영상을 전개하기 위한 기법, 샷의 변화를 위한 방법론을 체계화하고, 이를 직접 시작품으로 제작하여 검증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충직, "영화의 편집 스타일에 관한 연구" (10) : 1995

      2 Jacques A., "영화미학" 동문선 2003

      3 Marita S., "영상문화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4 David N. R., "디지털 영화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5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디지털 영화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6 "가상현실(VR) 영상의 문법을 찾기 위한 제작자들의 잇따른 시도, VR 플랫폼 확대촉발할 수 있을까?"

      7 박아녜스, "‘VR’ 시대의 ‘영화’"

      8 원경훈, "VR효과기반 영상문법의 융합사례 연구 : 영화 <나인데이즈>와 <부고>를중심으로" 세종대학교 2019

      9 장욱상 ; 이영권, "VR영상 연출 분석 - 롱 테이크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1 (11): 294-309, 2015

      10 문원립, "VR과 영화"

      1 이충직, "영화의 편집 스타일에 관한 연구" (10) : 1995

      2 Jacques A., "영화미학" 동문선 2003

      3 Marita S., "영상문화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4 David N. R., "디지털 영화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5 데이비드 노먼 로도윅, "디지털 영화 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6 "가상현실(VR) 영상의 문법을 찾기 위한 제작자들의 잇따른 시도, VR 플랫폼 확대촉발할 수 있을까?"

      7 박아녜스, "‘VR’ 시대의 ‘영화’"

      8 원경훈, "VR효과기반 영상문법의 융합사례 연구 : 영화 <나인데이즈>와 <부고>를중심으로" 세종대학교 2019

      9 장욱상 ; 이영권, "VR영상 연출 분석 - 롱 테이크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1 (11): 294-309, 2015

      10 문원립, "VR과 영화"

      11 장효진 ; 김영재, "VR 테마파크 어트랙션 체험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4 (14): 132-147, 2018

      12 김현수, "VR 영화의 확장과 도전"

      13 김선아, "VR 영화의 시점과 프레임-VR단편영화<동두천>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518-529, 2020

      14 조수진 ; 최유미, "VR 애니메이션의 효과적인 영상 연출방법 분석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6 (16): 95-119, 2020

      15 임왕태, "The New Film Grammar of VR Movie"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1 (1): 83-103, 2017

      16 전병원, "Questions for VR Cinema Research as a New Media" 한국디지털영상학회 18 (18): 57-80, 2021

      17 전우열, "HERO4 14대로 촬영된 360 VR 3D 단편영화 : ‘타임패러독스’ 제작기"

      18 이익희, "A Study of Directing on 360 Degree Virtual Reality : Focusing on Shot Continuity" Institute of Science Culture Exhibition and Design 25 : 295-, 2016

      19 이상욱, "A Study of Aesthetic Approach to Virtual Reality Visual Contents"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9 (9): 247-271, 2016

      20 김주용, "360도 영상과 VR 콘텐츠의 설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3-05-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영상기술학회 ->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 0.1 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1 0.12 0.36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