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양준석, "한국 지역노동시장에서의 일자리 미스매치에 관한 연구 - 확률변경생산함수를 이용한 결합 효율성 분석 -" 한국경제지리학회 15 (15): 752-765, 2012
2 사호석, "청년층 교육-일자리 매치의 공간적 특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 특성 및 지역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55 (55): 501-519, 2020
3 송부용, "청년일자리 미스매치 요인분석 - 경남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경제학회 9 (9): 287-312, 2011
4 송영조,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원인으로서의 취업선호도 요인에 대한 영향 분석과 정보활용 정책방향"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 (20): 61-88, 2017
5 김을식, "지역별 일자리 미스매치의 특징과 추이"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5 (15): 263-286, 2013
6 김소라, "지역별 구직자 분해를 통한 일자리 미스매치 분석 및 정책 제언: 광양만권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23 (23): 51-69, 2016
7 이성균, "지역노동시장의 구조적 미스매치 - 서울과 울산의 비교" 비판사회학회 (108) : 137-165, 2015
8 안은경, "지역노동시장권별 창업에 의한 일자리 창출 격차 및 일자리 질 비교" 한국경제지리학회 18 (18): 168-189, 2015
9 이정록, "지역 일자리에 대한 잠재적 구직자의 선호도 분석: 광양제철소 협력사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 22 (22): 337-350, 2019
10 배진한, "지역 일자리 미스매치의 원인과 대책" 120 : 6-14, 2012
1 양준석, "한국 지역노동시장에서의 일자리 미스매치에 관한 연구 - 확률변경생산함수를 이용한 결합 효율성 분석 -" 한국경제지리학회 15 (15): 752-765, 2012
2 사호석, "청년층 교육-일자리 매치의 공간적 특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 특성 및 지역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55 (55): 501-519, 2020
3 송부용, "청년일자리 미스매치 요인분석 - 경남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경제학회 9 (9): 287-312, 2011
4 송영조,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원인으로서의 취업선호도 요인에 대한 영향 분석과 정보활용 정책방향"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 (20): 61-88, 2017
5 김을식, "지역별 일자리 미스매치의 특징과 추이"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5 (15): 263-286, 2013
6 김소라, "지역별 구직자 분해를 통한 일자리 미스매치 분석 및 정책 제언: 광양만권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23 (23): 51-69, 2016
7 이성균, "지역노동시장의 구조적 미스매치 - 서울과 울산의 비교" 비판사회학회 (108) : 137-165, 2015
8 안은경, "지역노동시장권별 창업에 의한 일자리 창출 격차 및 일자리 질 비교" 한국경제지리학회 18 (18): 168-189, 2015
9 이정록, "지역 일자리에 대한 잠재적 구직자의 선호도 분석: 광양제철소 협력사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 22 (22): 337-350, 2019
10 배진한, "지역 일자리 미스매치의 원인과 대책" 120 : 6-14, 2012
11 조강철, "제주지역 노동수급 미스매치 현황 및정책적 시사점" 한국은행 2012
12 최창곤, "전북 지역노동시장 미스매치의 특징" 3 (3): 29-46, 2011
13 이정섭, "전라북도 14개 시군의 일자리 창출과 직주불일치에 관한 연구 -지역별고용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48 (48): 239-258, 2013
14 이원호, "장소기반 정책과 도시빈곤: 일자리 미스매치와 지역노동시장의 장소성 분석" 대한지리학회 51 (51): 41-56, 2016
15 최창곤, "일자리와 고용창출의 차이와 미스매치" 한국경제통상학회 35 (35): 99-113, 2017
16 이정섭, "일자리 수급 불균형과 불일치의 지역 간 차이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 45 (45): 439-453, 2011
17 김형근, "일자리 미스매치와 성별 임금격차에 따른 사회적 고용정책 방안 고찰 : 대전지역 경력단절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사회연구소 4 (4): 139-160, 2020
18 신옥희, "일자리 미스매치에 대한 연구 : 청주시인력관리센터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11
19 김을식, "일자리 미스매치 현장 실태조사" 경기연구원 2012
20 유형관,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방안 연구" 421-428, 2018
21 차운아,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미스매치 지수측정" 한국경제통상학회 33 (33): 133-156, 2015
22 문남철, "대학 졸업자의 지역간 취업이동과 지역발전" 국토지리학회 44 (44): 581-593, 2010
23 최창훈, "대구경북 일자리 미스매치 측정" 통계청 20 (20): 93-121, 2015
24 이정록, "기업도시 인구이동과 인구구조의 변화: 광양시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51 (51): 837-851, 2016
25 김봉진, "광주지역 중소기업 구인구직자간 일자리 인식차이 해소방안" 44 (44): 161-173, 2012
26 이정현, "광역경제권별 구인‧구직의 지역 간 미스매치 특성 비교" 한국지역학회 31 (31): 79-100, 2015
27 이정록, "광양제철소의 입지와 지역의 인구변화: 1980~2001" 한국경제지리학회 7 (7): 83-96, 2004
28 이정록, "광양만권 트라이앵글 도시의 공간구조 변화: 중심지형에서 네트워크형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 23 (23): 93-109, 2020
29 유일, "광양만권 일자리 미스매치 완화를 위한 구직자와 재직자의 요구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56 (56): 235-266, 2017
30 Hensen, M. M., "The role of geographic mobility in reducing education-job mismatches in the Netherlands" 88 (88): 667-683,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