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광양지역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실태와 해결방안: 광양제철소 협력사를 사례로 = Current Status and Solutions of Youth Job Mismatch in Gwangyang Area: A Case of the POSCO Outsourcing Part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858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OSCO Outsourcing Partners(POSOP) consisted of 59 compani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jobs in Gwangyang City of Jeonnam Province, the representative steel city of Korea. However POSOP are suffering from a job shor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ismatch between job-seekers and job-openers in relation to employment in Gwangyang City. As a result of the job-mismatch analysis of nine factors, there was a clear mismatch in recognition of suppliers, access to corporate and employment information, employment information acquisition path, and employment preference factors. However, there was no mismatch in the factors of employment avoidance and difficulty in the job-seeking and recruitment process. As solutions to the mismatch, it proposes to redefine the role of POPOS, promote capacity building projects for labor-management co-prosperity and cooperation, and gradually promote related projects in connection with the master plan related a comprehensive plan for youth jobs.
      번역하기

      The POSCO Outsourcing Partners(POSOP) consisted of 59 compani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jobs in Gwangyang City of Jeonnam Province, the representative steel city of Korea. However POSOP are suffering from a job shortage. The purpose of thi...

      The POSCO Outsourcing Partners(POSOP) consisted of 59 compani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creating jobs in Gwangyang City of Jeonnam Province, the representative steel city of Korea. However POSOP are suffering from a job shor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ismatch between job-seekers and job-openers in relation to employment in Gwangyang City. As a result of the job-mismatch analysis of nine factors, there was a clear mismatch in recognition of suppliers, access to corporate and employment information, employment information acquisition path, and employment preference factors. However, there was no mismatch in the factors of employment avoidance and difficulty in the job-seeking and recruitment process. As solutions to the mismatch, it proposes to redefine the role of POPOS, promote capacity building projects for labor-management co-prosperity and cooperation, and gradually promote related projects in connection with the master plan related a comprehensive plan for youth job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준석, "한국 지역노동시장에서의 일자리 미스매치에 관한 연구 - 확률변경생산함수를 이용한 결합 효율성 분석 -" 한국경제지리학회 15 (15): 752-765, 2012

      2 사호석, "청년층 교육-일자리 매치의 공간적 특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 특성 및 지역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55 (55): 501-519, 2020

      3 송부용, "청년일자리 미스매치 요인분석 - 경남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경제학회 9 (9): 287-312, 2011

      4 송영조,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원인으로서의 취업선호도 요인에 대한 영향 분석과 정보활용 정책방향"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 (20): 61-88, 2017

      5 김을식, "지역별 일자리 미스매치의 특징과 추이"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5 (15): 263-286, 2013

      6 김소라, "지역별 구직자 분해를 통한 일자리 미스매치 분석 및 정책 제언: 광양만권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23 (23): 51-69, 2016

      7 이성균, "지역노동시장의 구조적 미스매치 - 서울과 울산의 비교" 비판사회학회 (108) : 137-165, 2015

      8 안은경, "지역노동시장권별 창업에 의한 일자리 창출 격차 및 일자리 질 비교" 한국경제지리학회 18 (18): 168-189, 2015

      9 이정록, "지역 일자리에 대한 잠재적 구직자의 선호도 분석: 광양제철소 협력사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 22 (22): 337-350, 2019

      10 배진한, "지역 일자리 미스매치의 원인과 대책" 120 : 6-14, 2012

      1 양준석, "한국 지역노동시장에서의 일자리 미스매치에 관한 연구 - 확률변경생산함수를 이용한 결합 효율성 분석 -" 한국경제지리학회 15 (15): 752-765, 2012

      2 사호석, "청년층 교육-일자리 매치의 공간적 특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 특성 및 지역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55 (55): 501-519, 2020

      3 송부용, "청년일자리 미스매치 요인분석 - 경남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경제학회 9 (9): 287-312, 2011

      4 송영조,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원인으로서의 취업선호도 요인에 대한 영향 분석과 정보활용 정책방향"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 (20): 61-88, 2017

      5 김을식, "지역별 일자리 미스매치의 특징과 추이"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15 (15): 263-286, 2013

      6 김소라, "지역별 구직자 분해를 통한 일자리 미스매치 분석 및 정책 제언: 광양만권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23 (23): 51-69, 2016

      7 이성균, "지역노동시장의 구조적 미스매치 - 서울과 울산의 비교" 비판사회학회 (108) : 137-165, 2015

      8 안은경, "지역노동시장권별 창업에 의한 일자리 창출 격차 및 일자리 질 비교" 한국경제지리학회 18 (18): 168-189, 2015

      9 이정록, "지역 일자리에 대한 잠재적 구직자의 선호도 분석: 광양제철소 협력사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 22 (22): 337-350, 2019

      10 배진한, "지역 일자리 미스매치의 원인과 대책" 120 : 6-14, 2012

      11 조강철, "제주지역 노동수급 미스매치 현황 및정책적 시사점" 한국은행 2012

      12 최창곤, "전북 지역노동시장 미스매치의 특징" 3 (3): 29-46, 2011

      13 이정섭, "전라북도 14개 시군의 일자리 창출과 직주불일치에 관한 연구 -지역별고용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48 (48): 239-258, 2013

      14 이원호, "장소기반 정책과 도시빈곤: 일자리 미스매치와 지역노동시장의 장소성 분석" 대한지리학회 51 (51): 41-56, 2016

      15 최창곤, "일자리와 고용창출의 차이와 미스매치" 한국경제통상학회 35 (35): 99-113, 2017

      16 이정섭, "일자리 수급 불균형과 불일치의 지역 간 차이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 45 (45): 439-453, 2011

      17 김형근, "일자리 미스매치와 성별 임금격차에 따른 사회적 고용정책 방안 고찰 : 대전지역 경력단절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사회연구소 4 (4): 139-160, 2020

      18 신옥희, "일자리 미스매치에 대한 연구 : 청주시인력관리센터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11

      19 김을식, "일자리 미스매치 현장 실태조사" 경기연구원 2012

      20 유형관,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방안 연구" 421-428, 2018

      21 차운아,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미스매치 지수측정" 한국경제통상학회 33 (33): 133-156, 2015

      22 문남철, "대학 졸업자의 지역간 취업이동과 지역발전" 국토지리학회 44 (44): 581-593, 2010

      23 최창훈, "대구경북 일자리 미스매치 측정" 통계청 20 (20): 93-121, 2015

      24 이정록, "기업도시 인구이동과 인구구조의 변화: 광양시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51 (51): 837-851, 2016

      25 김봉진, "광주지역 중소기업 구인구직자간 일자리 인식차이 해소방안" 44 (44): 161-173, 2012

      26 이정현, "광역경제권별 구인‧구직의 지역 간 미스매치 특성 비교" 한국지역학회 31 (31): 79-100, 2015

      27 이정록, "광양제철소의 입지와 지역의 인구변화: 1980~2001" 한국경제지리학회 7 (7): 83-96, 2004

      28 이정록, "광양만권 트라이앵글 도시의 공간구조 변화: 중심지형에서 네트워크형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 23 (23): 93-109, 2020

      29 유일, "광양만권 일자리 미스매치 완화를 위한 구직자와 재직자의 요구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56 (56): 235-266, 2017

      30 Hensen, M. M., "The role of geographic mobility in reducing education-job mismatches in the Netherlands" 88 (88): 667-683,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09 1.319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