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시출현단어분석을 통한 데이터과학 분야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Data Science Using Co-Word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530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ta Science is emerging as a closely related field of study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and as an interdisciplinary subject combining LIS, statistics and computer science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value of data by applying what LIS has been doing for collecting, storing, organizing, analyz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To investigate which subject fields other than LIS, statistics, and computer science are related to Data Science, this study retrieved 667 materials from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 extracted terms representing Web of Science Categories, examined subject fields that are studying Data Science using descriptive analysis, analyze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field by co-word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ed the results as a Pathfinder network with clustering created with the PNNC clustering algorithm. The result of this study might help to understan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Data Science field, and may be helpful to give an idea for developing relatively new curriculum.
      번역하기

      Data Science is emerging as a closely related field of study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and as an interdisciplinary subject combining LIS, statistics and computer science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value of data by applying what LI...

      Data Science is emerging as a closely related field of study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and as an interdisciplinary subject combining LIS, statistics and computer science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value of data by applying what LIS has been doing for collecting, storing, organizing, analyz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To investigate which subject fields other than LIS, statistics, and computer science are related to Data Science, this study retrieved 667 materials from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 extracted terms representing Web of Science Categories, examined subject fields that are studying Data Science using descriptive analysis, analyze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field by co-word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ed the results as a Pathfinder network with clustering created with the PNNC clustering algorithm. The result of this study might help to understan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Data Science field, and may be helpful to give an idea for developing relatively new curricul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문헌정보학의 관련 분야로 주목받고 있는 데이터과학은 오랫동안 문헌정보학에서 해오던 정보의 수집, 저장, 조직, 분석, 활용 등의 활동을 데이터에 적용하여 그 가치를 이해하려는 학문이며, 통계학과 컴퓨터공학 등 다른 학문분야와의 연계가 필요한 분야이다. 이러한 데이터과학 분야의 연구 영역을 파악하기 위하여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사용하여 Web of Science 핵심컬렉션에 수록된 문헌들 중 데이터과학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고, 그 주제범주를 활용하여 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667건의 자료에 대한 159개의 주제범주를 기술분석하여 데이터과학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학문분야를 조사하였고, 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데이터과학 분야 연구영역의 지적구조를 시각적으로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데이터과학 분야의 연구들은 2개 영역 9개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주제범주의 용어들 중 중심성이 높은 용어들을 통해 각 군집의 대표적인 주제들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데이터과학 분야의 연구들에 대한 지적구조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문헌정보학과의 연계융합전공으로서의 데이터과학 교과과정 개발에 방향성을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최근 문헌정보학의 관련 분야로 주목받고 있는 데이터과학은 오랫동안 문헌정보학에서 해오던 정보의 수집, 저장, 조직, 분석, 활용 등의 활동을 데이터에 적용하여 그 가치를 이해하려는 ...

      최근 문헌정보학의 관련 분야로 주목받고 있는 데이터과학은 오랫동안 문헌정보학에서 해오던 정보의 수집, 저장, 조직, 분석, 활용 등의 활동을 데이터에 적용하여 그 가치를 이해하려는 학문이며, 통계학과 컴퓨터공학 등 다른 학문분야와의 연계가 필요한 분야이다. 이러한 데이터과학 분야의 연구 영역을 파악하기 위하여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사용하여 Web of Science 핵심컬렉션에 수록된 문헌들 중 데이터과학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고, 그 주제범주를 활용하여 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667건의 자료에 대한 159개의 주제범주를 기술분석하여 데이터과학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학문분야를 조사하였고, 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데이터과학 분야 연구영역의 지적구조를 시각적으로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데이터과학 분야의 연구들은 2개 영역 9개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주제범주의 용어들 중 중심성이 높은 용어들을 통해 각 군집의 대표적인 주제들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데이터과학 분야의 연구들에 대한 지적구조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고, 문헌정보학과의 연계융합전공으로서의 데이터과학 교과과정 개발에 방향성을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선회, "한국 환경사회학의 지적 구조 — ECO 논문 제목의 동시출현단어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9 (19): 165-211, 2015

      2 장령령, "학술지 중요도와 키워드 순서를 고려한 단어동시출현 분석을 이용한 독서분야의 지적구조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 25 (25): 295-318, 2014

      3 강범일, "프로파일링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0 (30): 195-213, 2013

      4 강범일, "트위터 관련 연구에 대한 계량정보학적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293-311, 2014

      5 이재윤, "지적 구조 분석을 위한 새로운 클러스터링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3 (23): 215-231, 2006

      6 허고은, "저자동시인용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의료정보학 저널의 지적구조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0 (30): 207-225, 2013

      7 이수상,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49-68, 2014

      8 최형욱, "사회학 분야의 연구데이터 특성과 지적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34 (34): 109-124, 2017

      9 강지혜, "문헌정보학과의 데이터 사이언스 커리큘럼 개발 실태와 방향성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7 (47): 343-363, 2016

      10 김판준, "디지털 큐레이션 연구동향 분석과 과제: 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32 (32): 265-295, 2015

      1 김선회, "한국 환경사회학의 지적 구조 — ECO 논문 제목의 동시출현단어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9 (19): 165-211, 2015

      2 장령령, "학술지 중요도와 키워드 순서를 고려한 단어동시출현 분석을 이용한 독서분야의 지적구조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 25 (25): 295-318, 2014

      3 강범일, "프로파일링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0 (30): 195-213, 2013

      4 강범일, "트위터 관련 연구에 대한 계량정보학적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293-311, 2014

      5 이재윤, "지적 구조 분석을 위한 새로운 클러스터링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3 (23): 215-231, 2006

      6 허고은, "저자동시인용 분석과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의료정보학 저널의 지적구조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0 (30): 207-225, 2013

      7 이수상,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49-68, 2014

      8 최형욱, "사회학 분야의 연구데이터 특성과 지적구조 규명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34 (34): 109-124, 2017

      9 강지혜, "문헌정보학과의 데이터 사이언스 커리큘럼 개발 실태와 방향성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7 (47): 343-363, 2016

      10 김판준, "디지털 큐레이션 연구동향 분석과 과제: 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32 (32): 265-295, 2015

      11 최상희, "동시출현단어분석을 이용한 연관영화정보 분석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161-178, 2014

      12 김하진,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한 국내외 정보학 학회지 연구동향 파악"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99-118, 2014

      13 이정규,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이용한 도서관경영 분야의 지적구조 분석" 23-26, 2013

      14 최예진, "동시출현단어 분석에 기반한 메타데이터 분야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33 (33): 63-83, 2016

      15 서선경, "동시출현단어 분석 기반 오픈 액세스 분야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4 (24): 207-228, 2013

      16 이재윤, "데이터 사이언스와 데이터 리터러시" 11-15, 2015

      17 이명호, "데이터 사이언스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7 (27): 263-290, 2016

      18 김판준, "국외 독서 및 독서교육 연구동향 분석: 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32 (32): 69-97, 2015

      19 이재윤, "국내 재난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한 계량정보학적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3 (33): 103-124, 2016

      20 이재윤, "tnet과 WNET의 가중 네트워크 중심성 지수 비교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30 (30): 241-264, 2013

      21 Web of Science, "Web of Science Core Collection Help"

      22 Kuhn, T.,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23 Zongshui Wang, "Social networks in marketing research 2001–2014: a co-word analysis" Springer Nature 105 (105): 65-82, 2015

      24 Zhong-Yi Wang, "Research on the semantic-based co-word analysis" Springer Nature 90 (90): 855-875, 2012

      25 Chunmei Gan, "Research characteristics and status on social media in China: A bibliometric and co-word analysis" Springer Nature 105 (105): 1167-1182, 2015

      26 Danowski, J., "Progress in Communication Sciences IV" Ablex 197-221, 1993

      27 Howard D. White, "Pathfinder networks and author cocitation analysis: A remapping of paradigmatic information scientists" Wiley-Blackwell 54 (54): 423-434, 2003

      28 S. Ravikumar, "Mapp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scientometrics: a co-word analysis of the journal Scientometrics (2005–2010)" Springer Nature 102 (102): 929-955, 2015

      29 He, Q., "Knowledge discovery through co-word analysis" 48 (48): 133-159, 1999

      30 Jane Cho,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institutional repository field: A co-word analysis" SAGE Publications 40 (40): 386-397, 2014

      31 Ying Yang, "Integration of three visualization methods based on co-word analysis" Springer Nature 90 (90): 659-673, 2012

      32 H Frank Cervone, "Informatics and data science: an overview for the information professional" Emerald 32 (32): 7-10, 2016

      33 Qian-Jin Zong, "Doctoral dissertation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China: A co-word analysis" Springer Nature 94 (94): 781-799, 2013

      34 Rong Tang, "Data science programs in U.S. higher education: An exploratory content analysis of program description, curriculum structure, and course focus" IOS Press 32 (32): 269-290, 2016

      35 Loet Leydesdorff, "Co-word maps and topic modeling: A comparison using small and medium-sized corpora (N < 1,000)" Wiley-Blackwell 68 (68): 1024-1035, 2017

      36 Lu Trong Khiem Nguyen, "A data-driven approach to nonlinear elasticity" Elsevier BV 194 : 97-115,

      37 Chang-Ping Hu, "A co-word analysi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China" Springer Nature 97 (97): 369-382, 2013

      38 Gao-Yong Liu, "A co-word analysis of digital library field in China" Springer Nature 91 (91): 203-217,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 2.02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