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시설의 녹색건축인증 등급별 득점경향에 대한 조사연구 = Study on the Trend Analysis according to Grade of G-SEED for University Fac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516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average acquisition ratio between the 1st and 4th grade and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acquisition between the assessment items based on the case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GBCS) for the educational facilities on the university campus. By evalu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best scored grade (Green 1st Grade) and the general grade (Green 4th Grade), we classified the cases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grades with little or big difference. By doing this, we were able to analyze the trend that were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difficult to score and an easy task. G-SEED should be used not only as a formal system for certifying certification, but also to provide environmentally-friendly technology for buildings as well as meeting market needs.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further refine the evaluation criteria.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qualitative evaluation system by providing detailed criteria for items that are not distinguishable among grad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to improve the detailed evaluation items by analyzing trends in the average acquisition rate presented in this study.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average acquisition ratio between the 1st and 4th grade and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acquisition between the assessment items based on the case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GBCS) for the educational...

      This study analyzes the average acquisition ratio between the 1st and 4th grade and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acquisition between the assessment items based on the case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GBCS) for the educational facilities on the university campus. By evalu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best scored grade (Green 1st Grade) and the general grade (Green 4th Grade), we classified the cases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grades with little or big difference. By doing this, we were able to analyze the trend that were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difficult to score and an easy task. G-SEED should be used not only as a formal system for certifying certification, but also to provide environmentally-friendly technology for buildings as well as meeting market needs.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further refine the evaluation criteria.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qualitative evaluation system by providing detailed criteria for items that are not distinguishable among grad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to improve the detailed evaluation items by analyzing trends in the average acquisition rate presented in this stud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임호, "학교건축에서의 친환경 기술요소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14 (14): 75-82, 2012

      2 김정화,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녹색건축인증제도 활성화 정책의 실효성 평가" 한국건설관리학회 17 (17): 28-39, 2016

      3 윤요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녹색건축 인증제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부문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3 (13): 31-42, 2013

      4 장현숙, "녹색건축인증제도 진행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연구 - 업무시설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4 (14): 91-99, 2014

      5 조성우, "녹색건축인증 기준 변화에 따른 인증특성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9 (19): 103-112, 2017

      6 왕정준, "녹색건축 재인증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3 (13): 67-75, 2013

      7 염동우,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평가항목 분석" 대한건축학회 32 (32): 49-57, 2016

      8 김지현, "기후·에너지 정책변화에 따른 녹색건축인증제도 개선방향 연구" 대한건축학회 32 (32): 25-35, 2016

      9 현은미, "그린리모델링 건축물을 위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방향에 대한 기초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7 (17): 51-58, 2017

      10 이성옥, "공동주택 친환경건축물인증 평가항목별 득점현황 및 분석" 대한건축학회 29 (29): 306-316, 2013

      1 박임호, "학교건축에서의 친환경 기술요소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 14 (14): 75-82, 2012

      2 김정화,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이용한 녹색건축인증제도 활성화 정책의 실효성 평가" 한국건설관리학회 17 (17): 28-39, 2016

      3 윤요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녹색건축 인증제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부문을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3 (13): 31-42, 2013

      4 장현숙, "녹색건축인증제도 진행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연구 - 업무시설 중심으로-"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4 (14): 91-99, 2014

      5 조성우, "녹색건축인증 기준 변화에 따른 인증특성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9 (19): 103-112, 2017

      6 왕정준, "녹색건축 재인증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3 (13): 67-75, 2013

      7 염동우,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평가항목 분석" 대한건축학회 32 (32): 49-57, 2016

      8 김지현, "기후·에너지 정책변화에 따른 녹색건축인증제도 개선방향 연구" 대한건축학회 32 (32): 25-35, 2016

      9 현은미, "그린리모델링 건축물을 위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방향에 대한 기초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7 (17): 51-58, 2017

      10 이성옥, "공동주택 친환경건축물인증 평가항목별 득점현황 및 분석" 대한건축학회 29 (29): 306-316, 2013

      11 Kim, J., "Improving Assessment of External Environment for Green Standard for Energy & Environmental Design Certification according to Climate Change)" 8 (8): 171-180, 2017

      12 "G-SEED"

      13 Kwon, H., "A Survey to Improve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4 (4): 435-477,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2-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36 1.002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