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nvestigates Pungnaptoseong Fortress(風納土城) in terms of its wall construction technique, time of construction, and extension pattern, based on the excavation survey results of the eastern wall in undertaken in 1999 and 2011. It apper...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965656
2021
-
900
KCI등재
학술저널
93-126(3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Pungnaptoseong Fortress(風納土城) in terms of its wall construction technique, time of construction, and extension pattern, based on the excavation survey results of the eastern wall in undertaken in 1999 and 2011. It apper...
This study investigates Pungnaptoseong Fortress(風納土城) in terms of its wall construction technique, time of construction, and extension pattern, based on the excavation survey results of the eastern wall in undertaken in 1999 and 2011.
It appers that the walls of Pungnaptoseong Fortress were built using the panchuk (stamped earth) technique (版築技法). The construction process bega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which was followed by the central earthwork (土壘) and the addition of more earthwork to partition inside and outside the central earthwork to complete the fortress walls. The finishing touches involved the covering of completed internal and external walls with gravel. The foundation was built by digging pits along the direction of the fortress walls or by digging the ground shallow to reinforce the contact between the ground and the fortress walls. Clay was laid out from the central earthwork to the internal walls to reinforce the basis of the fortress walls. The dominant opinion had been that the wooden frame (mold) was installed perpendicularly to the earthwork by cutting the walls of the completed earthwork in a slanted direction. The inclination of the walls, however, indicates that it had been installed obliquely.
It is estimated that the original fortress walls were extended once in the case of the internal walls and twice in the case of the external walls. Earthwork V,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second extension of the old internal walls, seems to have been built at the same time as Earthwork IV,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extension.
Finally, there are different theories about the construction period of Pungnaptoseong Fortress, including the second century, the latter part of the third century, the early to middle part of the fourth century, and the latter part of the fourth century.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as built in the latter part of the fourth century based on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original fortress walls.
참고문헌 (Reference)
1 심광주, "한성백제의 왕궁은 어디에 있었나" 한성백제박물관 2014
2 이성준, "한성백제의 성장" 진인진 2018
3 이혁희, "한성백제기 토성의 축조기법과 그 의미" 한국고고학회 (89) : 173-215, 2013
4 권오영, "한성백제 왕궁은 어디에 있었나" 한성백제박물관 2014
5 박중균, "한성백제 성곽유적의 최근 발굴성과와 과제, In 서울지역 고중세 성곽유적에 대한 주요 조사연구 성과와 과제" 2017
6 박순발, "한강과 마을의 흔적" 한성백제박물관 2017
7 권오영, "풍납토성, 건국의 기틀을 다지다" 한성백제박물관 2015
8 이성준, "풍납토성 축조연대의 고고과학적 연구 –2011년 동성벽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88) : 42-71, 2013
9 강형태외, "풍납동토성의 절대연대 측정" 34 : 2001
10 신희권, "판축토성(版築土城) 축조기법(築造技法)의 이해(理解) - 풍납토성(風納土城) 축조기술(築造技術)을 중심(中心)으로 -" 국립문화재연구원 47 (47): 102-115, 2014
1 심광주, "한성백제의 왕궁은 어디에 있었나" 한성백제박물관 2014
2 이성준, "한성백제의 성장" 진인진 2018
3 이혁희, "한성백제기 토성의 축조기법과 그 의미" 한국고고학회 (89) : 173-215, 2013
4 권오영, "한성백제 왕궁은 어디에 있었나" 한성백제박물관 2014
5 박중균, "한성백제 성곽유적의 최근 발굴성과와 과제, In 서울지역 고중세 성곽유적에 대한 주요 조사연구 성과와 과제" 2017
6 박순발, "한강과 마을의 흔적" 한성백제박물관 2017
7 권오영, "풍납토성, 건국의 기틀을 다지다" 한성백제박물관 2015
8 이성준, "풍납토성 축조연대의 고고과학적 연구 –2011년 동성벽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88) : 42-71, 2013
9 강형태외, "풍납동토성의 절대연대 측정" 34 : 2001
10 신희권, "판축토성(版築土城) 축조기법(築造技法)의 이해(理解) - 풍납토성(風納土城) 축조기술(築造技術)을 중심(中心)으로 -" 국립문화재연구원 47 (47): 102-115, 2014
11 차용걸, "증평 이성산성의 성격과 특징, In 증평 이성산성의 조사 성과와 사적화 방안" 2013
12 신희권, "중한고대 축성방법 비교연구" 호서고고학회 (18) : 56-77, 2008
13 이보람, "중부지역 문화유적 발굴성과" 중부고고학회 1999
14 孫机, "중국물질문화사" 2017
15 박중균, "정북동토성의 성벽 축조기법과 축조시기 검토" 백제학회 (27) : 127-153, 2019
16 권도희, "오산 수청동 분묘군 馬具에 대하여, In 오산 수청동 백제 분묘군-오산 세교 택지개발지구 내 문화유적(4,5지점) 발굴조사 보고서- Ⅳ" 경기문화재연구원 2012
17 권오영, "삼국시대 고고학개론 1" 대한문화재연구원 2014
18 박순발, "백제토기 탐구" 주류성 2006
19 박순발, "백제의 도성" 충남대학교출판부 2010
20 신희권, "백제왕성 서울 풍납동 토성의 현재와 미래" 서울특별시 2017
21 권오영, "백제와 주변세계" 성주탁교수 추모논총간행위원회 2012
22 김성남, "백제 한성기 편년의 현상과 성찰, In 쟁점, 중부지역 원삼국시대~한성백제기 물질문 화 편년" 2014
23 이혁희, "백제 한성기 도성지역 경관의 변화 — 마한 백제국에서 고구려 점령기까지" 한국고고학회 (111) : 194-225, 2019
24 김일규, "백제 국가형성단계의 연대검토, In 쟁점, 중부지역 원삼국시대~한성백제기 물질문화편년" 2014
25 박중균, "미호천유역 원삼국시대 분묘와 사회집단"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26 王志高, "동북아시아속의 풍납토성" 학연문화사 2012
27 中央文化財硏究院, "고양 멱절산유적(1차)" 2014
28 낙중, "고대 동아시아의 왕성과 풍납토성" 서을 특별시 2016
29 권오영, "고대 동아시아의 왕성과 풍납토성" 서울특별시 2016
30 김기섭, "고대 동아시아의 왕성과 풍납토성" 서울특별시 2016
31 崔鍾圭, "鳳凰土城의 特徵에 대한 摸索, In 鳳凰土城-김해 회현리동사사무소~분성로간 소방도로개설구간 발굴조사 보고서-" 慶南考古學硏究所 2005
32 慶南考古學硏究所, "鳳凰土城-김해 회현리동사사무소~분성로간 소방도로개설구간 발굴조사 보고서-" 2005
33 김종만, "鳥足文土器의 起源과 展開樣相" 한국고대사학회 (52) : 233-274, 2008
34 최영주, "鳥足文土器의 變遷樣相" 한국상고사학회 55 (55): 79-114, 2007
35 심정보, "風納土城의 築造技法과 性格에 대한 考察" 동아시아문물연구소 07 (07): 3-30, 2003
36 申熙權, "風納土城의 築造技法과 性格에 대하여, in 風納土城의 發掘과 그 成果" 2001
37 최종규, "風納土城의 築造技法, In 風納土城 500년 백제왕도의 비젼과 과제" 2007
38 沈正輔, "風納土城과 중국고대도성과의 비교연구, In 중국고대도성 조사보고서"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39 申熙權, "風納土城の構造と築造技法に對ある小考, In 大阪府立 狹山池博物館硏究報告1" 2004
40 국립문화재연구소, "風納土城Ⅱ-동벽 발굴조사 보고서-" 2002
41 신희권, "風納土城 築造年代 試論" 한국상고사학회 37 : 29-51, 2002
42 이성주, "風納土城 土器遺物群의 年代와 百濟土器 漢城樣式의 成立" 호남고고학회 49 : 135-174, 2015
43 權五榮, "風納土城 Ⅻ-慶堂地區 196號 遺構에 대한 報告-" 한성백제박물관 한신대학교박물관 2011
44 국립문화재연구소, "風納土城 XⅧ-(구)태양열주택부지 발굴조사 보고서" 2017
45 국립문화재연구소, "風納土城 XⅥ-성벽의 축조공법 및 연대규명을 위한 학제간 융합연구-" 2014
46 高龍圭, "韓國南部地域 版築土城의 硏究" 한국대한박물관협회 58 : 2001
47 이영훈, "鎭川 石帳里 鐵生産遺蹟" 國立淸州博物館·浦項産業科學硏究院 2004
48 湖北省文物考古硏究所, "赤壁土城(战國西漢城址墓地調査勘探發掘報告)" 科學出版社 2004
49 中部考古學硏究所, "華城 吉城里土城" 2013
50 차용걸, "百濟의 建築과 土木" 충청남도역사문화원 2007
51 尹武炳, "百濟考古學硏究" 학연문화사 1992
52 土田純子, "百濟土器 東아시아 交叉編年 硏究" 서경문화사 2014
53 한지선, "百濟土器 成立期 樣相에 대한 再檢討" 백제연구소 (41) : 1-31, 2005
54 金起燮, "百濟 前期의 漢城에 대한 再檢討" 55 : 1995
55 丁若鏞, "牧民心書"
56 李明仲, "營造法式"
57 朴淳發, "漢城百濟의 誕生" 서경문화사 2001
58 권오영, "漢城百濟의 時間的 上限과 下限" 백제연구소 (53) : 131-157, 2011
59 한지선, "漢城百濟期 聚落과 土器遺物群의 變遷樣相 -서울·경기권 편년수립을 위하여-" 중앙문화재연구원 (12) : 1-59, 2013
60 이혁희, "漢城百濟期 土城의 築造技法"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3
61 朴淳發, "漢城百濟 考古學의 硏究 現況 點檢" 서울경기고고학회 3 (3): 2004
62 박순발, "漢城期 百濟의 城郭" 62 : 2002
63 여호규, "漢城時期 百濟의 都城制와 防禦體系" 백제연구소 36 : 1-23, 2002
64 차용걸, "淸州 鳳鳴洞遺蹟(Ⅱ)-Ⅳ지구 조사보고 ① -" 2005
65 조순흠, "淸州 井北洞土城Ⅲ-北門址 發掘調査-" 중원문화재연구원 2013
66 차용걸, "淸州 井北洞 土城Ⅰ-1997년도 발굴조사 보고서-" 忠北大學校 中原文化 1999
67 朴淳發, "泗沘都城- 陵山里 및 軍守里地點 發掘調査 報告書 -"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2003
68 중원문화재연구원, "曾坪 二城山城 Ⅲ-南城 1·2·3次 發掘調査 綜合報告書" 2013
69 小山田宏一, "挾山池博物館硏究報告 6" 2009
70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扶蘇山城 發掘調査報告書 Ⅴ-2000~2002년도 조사-" 2003
71 扶餘文化財硏究所, "扶蘇山城 發掘調査中間報告" 1995
72 申鍾煥, "忠北地方 三韓 三國土器의 變遷-遺蹟의 編年的 相對序列을 提示하며-" 韓國考古美術硏究所 8 : 1997
73 박중균, "忠北地域 百濟 初期 山城의 類型" 한국성곽학회 26 : 2014
74 殷滌非, "安徽省壽縣安豊塘發見漢代閘壩工程遺址" 1960 (1960): 1960
75 諸橋轍次, "大漢和辭典"
76 한성백제박물관, "夢村土城Ⅱ-2014년 몽촌토성 북서벽 舊 목책재설치구간 발굴조사보고서" 2016
77 岡山縣總社市敎育委員會, "古代山城 鬼ノ城-鬼城山史蹟整備事業に伴う發掘調査-" 2005
78 小山田宏一, "古代 東亞細亞와 百濟" 서경 2003
79 박중균, "原三國期 錦江流域의 住居와 聚落類型 -湖西地域을 중심으로-" 호서사학회 (63) : 1-37, 2012
80 성정용, "中西部地域 原三國時代 土器 樣相" 한국고고학회 (60) : 120-157, 2006
81 경기문화재연구원, "『烏山 水淸洞 百濟 古墳群-오산 세교 택지개발지구 내 문화유적(4,5지점) 발굴조사 보고서-』Ⅳ" 2012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7-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archaeology -> Archaeology: Journal of the Jungbu Archaeological Society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4-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서울경기고고학회 -> 중부고고학회영문명 : Seoul Kyonggi Archaeology Society -> The Jungbu Archaeological Society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4 | 1.04 | 0.9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5 | 2.135 | 0.43 |